통기타 그룹 해바라기의 노래 끝말에 이런 것이 있습니다.

잃어버린 세월/ 잃어버린 추억 /잃어버린 내청춘

 

제게 책과 관련된 물리적 노화현상으로 딱 하나를 들라하면

신간소설을 찾아 읽는 일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입니다.

그러나 새로 나온 소설이 오래 전에 인연을 맺은 소설가의 작품일 경우

관심을 갖고서 일단 보관함에 넣고, 소장하는 수순을 가집니다.

 

아주 가끔 차현숙, 이 양반은 뭐 하는가 궁금해서

소설가의 이름을 알라딘 검색창에 넣고 엔터키를 누를 때마다

아주 오래 전 작품만 끌려 나오고 말았는데

당시 구독하던 조간신문 북리뷰 기사를 읽고서야 저간의 사정을 살필 수 있었습니다.

'중증 우울증과의 사투'

















이 소설집은 긴 시간의 우울증과의 대면을 그린 책이라고 리뷰기자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흔히 창작의 고통을 들어 펜으로 핏방울을 찍어 글을 썼다라는 표현을 하는데

작가의 자살체험을 형상화하였다는 이 소설집이야말로 말 그대로인 셈이었습니다.

















최근작이라해도 벌써 3년 전에 나온 작가의 에세이를 우연히 만나서 요 며칠 읽었습니다.

책에 박경리 선생님과 박완서 선생님과의 이야기가 있어 옮겨 적어봅니다.

 

하루는 박경리 선생님이 나와 남편을 횟집으로 데려가셨다.

그리고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흘러가는 말처럼 말씀하셨다.

차 선생, 무슨 병인지 모르겠지만 문학으로 이겨내야 해.”

나는 고개를 떨어뜨렸다. 잠깐 틈을 두었다가 선생님은 다시 남편에게도

나를 잘 돌봐주라고 당부하셨다.

 

한때 나는 박완서 선생님과 같이 토지문화관에 있었다.

어느 날 내가 선생님께 물었다.

선생님, 어쩜 그렇게 소설을 잘 쓰세요?”

“.......”

비결 좀 알려주세요.”

, 비결이 있나. 고치고 고치고, 또 고치는 거지.”

계속 고치면 언제 끝내요?”

질릴 때까지. 다시는 들여다보기 싫을 때까지.”

한 번 고쳤는데 질리면요?”

그 한 번을 반복해. 1 곱하기 1은 영원히 1이니.”

 

입퇴원을 반복하기 십상인 중증의 우울증 환자에게 필요한 것 가운데

햇볕아래 산책과 삶에 대한 열정을 찾는 것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저런 일로 세상사는 것이 힘든 독자들을 위해서라도 꼭 신작 소설로 만나고 싶습니다.

힘내세요. 차현숙 작가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5-11-29 0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경리 선생님도 정말 멋진 말씀을 하셨네요. 글을 수정하고 수정해도 끝이 없을을 보여주네요. 1곱하기1은 1이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