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004/pimg_7209081333142287.jpg)
요즘은 거의 모든 책을 온라인 서점을 통하여 구입하지만
저 책들이 초판의 이름을 달고 나온 시절, 출판사에 주문하면 소포로 받는 통신판매 제도가 있었지요.
컴퓨터가 있었지만 퍼스널은 아니었고 온라인 서점은 존재하지도 않던 시절 이야기입니다.
김우창교수를 우상쯤으로 생각하던 문학평론가의 글에서 김우창의 평론집,
<궁핍한 시대의 시인>과 <지상의 척도>에 대해 예찬한 글을 보았던 차에
민음사에서 김우창전집이 다섯권으로 나왔다는 신문 기사를 보고 구입하기 위해
거금(?)을 마련하여 전철을 타고 상경하고 종로 2가에서 내려 교보문고까지 걸어서 갔죠.
제가 살던 도시에 있는 서점에도 이 책들이 있었지만 신간임에도 여러 사람의 손때를 타거나,
표지가 우그러지고 제 맘이 들지 않아 책에 대한 결벽이 심했던 저는
힘이 들지만 저 책들을 직접 구입하러 단일층 동양 최대의 서점이라고 선전하던
교보문고에 직접 가보기로 마음 먹었던 것입니다.
신간이니까 당연히 인문학 매대에 쌓여 있는 책 중에서 가장 상태가 좋은 책을 골라
종이 봉투에 담아 내려올 때의 기분은 한마디로 GOOD이었죠.
이런 나들이를 반복하며 유종호 전집 다섯권도 마련하였구요.
일년에 한두번 교보문고로 가서 책을 구매하는 일을 반복하다보니
나중에는 구입할 책 목록과 비용을 마련해서 책을 구입하고
교보문고의 매대와 진열장을 한번 쭉 살펴보면 나중에는 발바닥에 통증이 다 생길 지경이었죠.
간 김에 쉬어간다고 문고 뒷쪽에 있던 항상 손님들이 많아 북새통이었던 삼계탕집에 들러
맛있는 식사도 함께 하는 일이 일종의 연례행사가 되었습니다.
저의 서가에 있는 책들 중 상당수가 이렇게 나에게 온 귀한 손님들입니다.
요즘처럼 많은 사람들이 전철이나 버스 안에서 스마트폰만 들여다 볼 줄 누가 알았을까요.
어린 친구들은 저 시절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면서 책에 코를 박고 있던 광경을 상상이나 할까요.
저는 지금도 전철을 이용할 일이 있으면 스마트폰 대신 책을 봅니다.
누가 뭐라해도 애인같이 품었던 종이책이 좋아서요.
코로나 때문에 운동이 부족하신 분들!
걷기 운동하고 싶거든 대형서점 나들이를 강력 추천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9451/6/cover/8937455404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