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가장 슬퍼하던 내용의 책 중의 하나이다. 진짜 특별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책을 보면서 쉽게 눈물을 흘리지는 못한다(아닌가?) 당시 눈시울이 찡해옴을 많이도 느끼해 했던 책으로 기억이 되는데…
보통 사람들은 책에 쉽게 빠져들지 못하는 편인다.
그저, 눈으로 읽고 간혹 내 마음에 쏘옥 드는 내용이나 문구가 띄지않는 한은 정말로 책으로 빠져들어 책의 세계를 돌아다니지는 못한다. 하지만 이 책은 달랐다.
당시로는 책을 덮기가 안타까울 정도로...
그리고, 예전의 그때 그 감수성이 예민했던 시절이었으므로…
나는 당시 이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의 내용속의 주인공 제제 는 참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성숙하고 어른 같다는 느낌을 많이 받기도 하고 많은 부분을 기억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런 부분이 생각이 난다.
아버지에게 엉덩이를 맞고 자기와 말 친구가 대준 아저씨에게 달려가 이렇게 말했다.
"나는 아버지를 죽일꺼예요! 총으로 죽이는 게 아니라 내 마음에서 아버지를 죽이겠어요."
나는 이 대목을 읽고 마음이 아팠다.
마치 나의 이야기를 연상시키는 듯하기도 해서… 나 역시도 폭력과 구타라고 까지는 할 수 없지만… 엄하고 늘 너그러운 듯 넉넉한 애정을 갖고 자라난 어린시절은 아니었기에… 그래서 였을까? 마치 동병상련의 심정으로 나는 주인공 '제제'가 불쌍하기만 하고 가슴 한 구석이 저려왔다.
그리고 나를 다시 돌아보게 했다.
사랑과 이해심이 넉넉하지는 못했어도 또 한편 나 역시도 그런 사랑을 충분히 받을 만큼 행동하며 살아온 것일까 하는 생각도 들었고…
내용을 보면 당시 제제와 제제의 그 말벗이 되어준 아저씨와는 정말 잘 통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비록 나이차이는 많이 났지만 제제가 유일하게 마음을 털어놓고 얘기를 하고는 했던 그 제제의 아저씨는 불행하게 생을 마감하게 되어버리고...
차에 타고 있던 그 아저씨는 기차와 부딪쳐 어처구니없게도 생을 마감하게 되어버리게 되는데...
나는 그 장면에서 또 한번 눈시울이 뜨거워져 옴을 느낄 수 있었다.
아니 하마터면 눈물이 확~ 쏟아질뻔 했지만…
그리고 예전의 그 기억을 되살려 글을 쓰는 지금도 예전에 그 책을 처음 대하고 읽을 적 생각이 나서 하면 순간 감상적이 되기도 하는 듯 하다. 내가 제제라도 당연히 그 아저씨의 죽음은 정말 마음이 아플 것이다.
소중한 사람을 잃었을때의 그 순간 만큼 세상이 무너질 정도로... 큰 슬픔은 없으므로…
그런 제제만이 누릴 수 있는 한가지 일이 또 있었다.
그것은 바로 제제와만이 대화할 수 있는 라임 오렌지 나무였다. 처음에 제제는 이 라임 오렌지 나무를 굉장히 싫어했다.
이 나무와의 만남은 제제 네 가족이 이사를 오면서 부터다.
제제의 형과 누나들은 나무를 한가지씩 자기 것으로 선택하였다. 하지만 제제는 형과 누나들이 모두 좋은 나무들을 선택하여서
제제는 자기 키만한 작은 라임 오렌지 나무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라임 오렌지 나무는 제제와 대화를 하면서 제제와 함께 성장을 했다.
나중에는 제제보다 훨씬 커졌고. 그리고 나는 그런 제제가 무척 부러웠다.
정말 동화 같은 이야기이다.
나 역시도 어렸을 적 살아있는 생물과 죽어있는 생물과 내 친구인 것처럼 얘기를 했다. 물론 상대방 대답도 내가 말을 하고 하는 식으로 마치 1인2역을 하듯이...
하지만 조금 자란 지금은 그런 것들이 동화 같고 생소하기만 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동화 같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버리고 어렸을 적 그때 그 유년기적으로 한번 되돌아가는 생각에 잠겨본다.
그러나, 이 책이 슬펐던 책인 만큼 재미 있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
그리고 다시 생각해도 이 책을 읽은 지도 정말 오래되었고.
솔직히 언제 읽혔던 책이었는지도 가물가물 할 정도로…
하지만, 대부분 내가 읽은 책들은 기억 속에 없어지지는 않지만 이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처럼 가슴속 깊은 곳에서 남아있는 책도 드문 듯 하다.
마지막으로 여러면에서 나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지만, 그중에서도 이 책은 가족의 사랑에 대한 부분을 절실하게 느끼게 했던 책이아니었나싶다. 그리고 이 글을 쓰고 나서 내 책꽂이 어딘가에 꽂혀있을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를 다시 한 번 펼쳐봐야 되겠다.
예전처럼 그런 기억과 감정이 다시금 떠오를지는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