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란한 보통날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그러니까 만에 하나

네 마음이 다른 사람에게로 옮겨 갔다면,

그때는 거리낄 것 없이 그 사람 품으로 가거라.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며 '아, 다행입니다. 에쿠니씨' 했다. 도저히 소설, 그 자체만으로밖에 받아들일 수 없었던 전작 「빨간 장화」나 「달콤한 작은 거짓말」과 같은 처참한 여운에 휩싸일까봐 지레 겁부터 먹은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오래 그리고 지속적으로 작품을 출간해내는 그녀를 보면서 슬슬 이제 '끝'이 보이는구나, 싶었던거다. 간결한, 흩어지는 문체를 써도 너그러이 받아 줄 수 있고 인내하며 읽어 줄 수 있는 작가는 에쿠니씨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가슴 벅차게 기다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이번 작품「소란한 보통날」은 특별했다. 전작들과 비교를 하자면 연애 소설 부근에서 끈덕지게 달라붙다가 허무맹랑하게 시집으로 결혼의 단면을 보여주는가 싶더니 본격적으로 결혼 생활을 주제로 두개의 작품을 출간하기에 이르러 이번 소설은 나아가 '가족' 이라는 코드를 어루만지는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에쿠니만이 가진 독특한 짧은 호흡 그리고 흩날리는 감성의 파편들이 삶의 본질과 맹목적인 사랑의 이야기들을 펼쳐내는 것, 그것은 이번 소설의 제목과도 같은 그저 '보통' 혹은 '평범' 함이겠지만 에쿠니의 손끝에 머무는 것들은 늘 그랬듯 '보통'의 것에서 오는 '특별함', 바로 그것이었다.

 

 소설이 탄생시킨 미야자카가의 가족은 무심한 듯 하지만 누구보다 가족에 충실한 아버지와 작은 움직임에도 세심함이 엿 보이는 어머니를 주체로 이루어진 단란한 가족이다. 결혼을 했지만 이혼을 품고 있는 큰 언니인 소요와 자유분방하고 자신의 주관이 뚜렷한 둘째 시마코, 그리고 이 소설의 화자인 셋째 고토코와 조용한 듯 하지만 사랑스럽고 어른스러운 막내 아들, 리쓰가 미야자카가의 가족 구성원이다. 소설에서 에쿠니씨가 가장 중요시했다고 생각 할 수 있는 것은 '가족'이라는 단체에 소속되어진 구성원들이 보호를 받는 방식이다. 맹목적인 사랑과 무조건적인 '내 편'이라는 무한한 신뢰와 믿음, 그것은 소설의 화자인 고토코와 후카마치 나오토와의 연애에서 불거지는 사랑 따위와는 다른 '가족愛' 이다. 그것은 자신이 원하는 반려자와 결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반죽음 당한 상태로 이혼을 감행하는 소요의 짧은 결혼 생활을 받아들이는 미야자카가의 모습이 그러했으며, 매번 누구도 예상할 수 없는 '소중한 사람'을 가족에게 소개 시키는 둘째 시마코의 사랑을 보듬어주는 모습에서도 볼 수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정학을 받을만큼 타인에게는 눈살을 찌푸리게하는 리쓰의 취미 생활도 하나의 '문화'로 인정해주는 가족의 모습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리쓰의 취미를 단순히 취미 생활로 받아들이지 않는 학교측이 너무했다!- 미야자카가의 가족에게는 어떠한 질서가 존재하는데 그것은 수칙과도 같다. 가족의 생일때에는 생일 당사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만들어서 먹거나, 고등학교 졸업때까지는 아침 메뉴가 시리얼이나 채소로 정해져있는 것 따위의 것이다. 적어도 나는, 에쿠니씨의 소설을 읽을때에는 어느 한 주인공에게 에쿠니씨의 모습을 투영시키는데 이번에는 화자쪽인 고토코와 세심한 엄마 쪽이었다. 화자쪽에 시선을 맞춘 이유는 늘 그랬듯 에쿠니씨가 그려내는 사랑은 잔잔하면서도 부드러웠고 따스했다. 이것은 고토코와 후카마치 나오토가 그리는 연애에서 볼 수 있는데 평범하면서도 으레 누구나 할 수 있는 사랑, 이것이 에쿠니씨가 전작들에서도 아무렇지않게 무덤덤히 풀어냈던 사랑이기도 하다. 혹은, 그녀가 꿈에 그리는 이상적인 사랑이 그럴지도. 그리고 세심한 엄마 쪽은 현재의 에쿠니씨의 삶의 방식이 아닐까, 하는 -그리고 내가 상상하는 에쿠니씨의 모습- 가장 적절했던 에쿠니씨의 모습이었다.

 

 타인의 시선을 철저히 배제한 소설, 이라고도 할 수 있고 자녀들의 잘못된 행보에 어떠한 지적도 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과연 올바른 가족애인지 묻는 어떤 분의 리뷰를 보았다. -이건 정말 우연적으로 읽은거지만, 읽고 좀 마음이 상했다.- 우선 가족이라는 공동체는 타인의 시선에 부닥치는 관계가 아니다.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일본에서라면 그것은 더더욱이나 배제되어질 수 있는 시선이다. 구태여 일본소설이 한국처럼 타인의 일에 떠들기 좋아하는 문화에 맞출 필요는 없다는거다. 소요의 이혼이라던가, 시마코의 동성애, 그리고 성인물로 취급받는 리쓰의 취미생활에 가타부타 이야기하는 건 더더욱이나 아니올시다이다. 미성년자도 아닌 소요의 이혼은 자신의 의지에서 온 결단이고 시마코의 동생애 역시 감히 손가락질 받을 만한 사랑이 아니다. 쉽게 볼 수 없다고 해서 그것을 틀렸다고 말하는 것은 그것이야말로 가족이라는 공동체에서는 묶일 수 없는 에쿠니씨가 배제한 타인의 시선이다. 리쓰의 취미 생활 역시 타인에게는 성인물이겠지만, 인형을 만드는 리쓰의 의도가 그것이 아니라면, 일종의 프라모델일 뿐인것이다. 어째서 이 모든것이 반사회적인 것이라 취급을 하는지 모르겠다. 또한 '일본' 소설이니 '일본' 문화에 맞춰지는게 당연한것인데도 도대체 '일본' 소설을 국내 소설인 마냥 읽으려고 하는건지, 이것은 이 책을 읽는 이의 자세부터가 틀린것이다. 에쿠니씨가 타인의 시선을 배제하고 썼다면, 우리가 배제하며 읽어야 하는 것은 일반적 '보통'의 상식이다. 책이라고 하여 무조건적인 지헤와 배움을 주는 것은 아니다. 안목을 넓히려면 차라리 이런 허구 소설말고 자기계발서를 읽는 것이 빠를것이다.

 

 내게는 그저 예쁘기 그지없는 가족의 모습이었다. 공동체 의식에서 어우러지는 개개인의 존중이 그러했고 무엇보다 에쿠니씨가 숨을 불어넣은 소요와 시마코, 고토코, 리쓰의 캐릭터가 사랑스러웠다. 다부진 큰 언니 역할을 소화해 낸 소요와 사랑이 전부인 애처로운 시마코와 평범하지만 머리를 쓰다듬어주고 싶은 고토코 그리고 귀여운 어린 동생 리쓰까지. 좀 더 그들의 이야기를 듣지 못해 아쉬웠던만큼 적은 페이지였지만 에쿠니씨의 다음 작품은 분명 다시금 연애소설이 되어지기를 바래본다. 흩날리는 문체에서 벗어나려 노력한 티가 역력했던지라 조금은 답답했던게 사실이다. 그런 간결함이 싫어, 늘상 에쿠니씨에게 야무진 문체로 소설을 썼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왠지 모르게 간결한 문체가 그리워진다. 분명, 가볍게 마음을 휑 - 하니 비워주는 건 단연코 에쿠니 가오리, 이 작가 한 명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