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픈 날들이다. 장마가 시작되고 폭우가 쏟아진다. 베란다 난간에 기대어 담배를 피는데 빗방울마저도 아프게 내리친다. 그런 날들이다. 하염없이 울어도 결국 손등으로 훔친 묽은 눈물을 탈탈 털어낼 수 밖에 없는 날들. 도무지 책을 읽을 수 없어 책장 조차 바로 볼 수 없을지경이 되어 한 없이 지나 온 과거를 되새김질하던 때, 불현듯 더 고통스러워지고 더 슬퍼지고 더 아파지고 싶은 마음들이 들어찬다. 이 여름, 고이 보낼 수 만은 없겠구나 싶어 포기하는 심정으로 집어 든 책이 신경숙의 작품이다. 작가의 문체만으로도 눈물이 뚝뚝 떨어질 듯 한 신경숙작가만의 작품.

 

 마지막 작가의 말까지 완벽하게 읽어내니 다른때와는 달리 개운함이 첨벙거리며 가슴으로 뛰어든다. 수고했어,라고 누군가가 내 귓가에 숨을 불어넣는 듯 해 괜스레 기분이 좋아진다.  정윤과 명서, 미루 그리고 단이. 어떠한 출구도 없어 비상구로 뛰어다니던 스무살 청춘들의 사랑으로 일그러진 이야기들. 소설의 주제와 소재가 아닌 오로지 신경숙의 문체에만 집중하려했던 초반의 마음들이 어느새 윤과 명서와 미루를 따라 서울 한복판을 걷고 명동거리를 쏘다니며 윤이 누웠던 누에 함께 눕기도 하고 명서를 따라 시위도 하고 미루의 플레어 치마자락 끄트머리에서 위태로이 휘청였다. 그리고 단이를 따라 내 입 속 가득 총구를 밀어넣기도 했다.

 

 주인공 어느 누구에게도 애정을 가질 수 없었다고 해야 하나. 윤 보다는윤의 옥탑방이, 명서보다는 명서의 갈색노트가, 미루보다는 고양이 에밀리가 그리고 단이보다는 스케치북이 되려, 더 깊은 애정이 가 닿았다. 그들에게 어떠한 애정을 품었다가는 남은 윤과 명서조차도 무사하지 못 할 듯 너무도 가냘파 손 한 번 잡아줄 수도, 꼭 한 번 끌어안아 줄 수 없어 지켜보는 두 눈에 실핏줄이 깨어질 듯 힘을 줄 수밖에 없었다. 단이의 자의에 의한 혹은 타인에 의한 죽음과 목을 맨 미루의 자살과 그들을 이어주던 윤교수의 죽임이 치닫기까지 그들 모두 완벽한 이별은 하지 못 한 채, 소설의 끄트머리에서조차도 서성거리다 남겨져있는 청춘 그대로의 이십세의 청춘으로 꾹꾹 보듬고 또 보듬었다.

 

 감히 말해보자면 신경숙의 작품속 주인공은 슬픔과 고통이 수반되지 않은 인생은 삶일 수 없다는 듯 켜켜이 묵은 아픔들까지 질척거리며 현실적이게 풀어낸다. 현실의 이데올로기에 갇힌 꿈과 이상들이 곧은 길로 뻗어나갈 수 만은 없는 것 처럼 철저한 슬픔들이 존재한다. 개인적인 기호로서, 삶의 무게에 지쳐 고독과 우울과 마주칠때면 늘 신경숙의 작품은 이루말 할 수 없는 힘이 된다. 나 보다 더한 고통속을 헤메는 사람들에게서 받는 위로라고 해두어도 괜찮을까. 무시치 못 할 강력한 힘으로 내 가슴을 후려친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나는 윤이었으면 했었고 미루였으면 했다. 잃은 것에 마음은 주되 몸은 두지 아니하는 윤이었으면 했고 떠나고 버리는 것에 의연해하지 않고 죽음을 가까이함에 있어 두려워하지 않는 미루였으면 했다. 쉬이 끊어낼 수 없는 것들이 수두룩하여 걷는 발끝마다 채이는 것이 사람인지라, 무던히도 느끼며 깨닫는 것은 삶이 나를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나와 손을 잡은 사람들이 나를 더 고달프게 한다는 지리멸렬한 분명함. 허나, 그 분명함이 삶을 버티게하고 견디게 해준다는 사실 또한 묵과할 수 없는 진실임을, 그로인해 이리도 오롯이 살아있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