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자의 건강법 - 개정판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민정 옮김 / 문학세계사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을 앞둔 한 작가를 상대로 한 인터뷰로 이야기가 진행되어 간다. 그러면서 그 작가가 오늘날 어떻게 그런 모습이 되었는지, 그리고 잘려나간 듯 알 수 없던 유년 시절이 서서히 밝혀진다. 그렇게 해서 밝혀진 그의 과거는 보통 사람이 보기에는 미친 사람의 그것이었지만, 작가 자신으로서는 자신이 만들어 낸 완벽한 세계 속에서 그 이상 완벽할 수 없는 행동이었다. 그의 눈으로 바라본 어린 시절 세계의 묘사는 읽고 있는 나에게 애잔하고 고혹적인 영상을 불러일으켰고, 책을 읽은 지 한참이 지난 지금도 그 영상, 소녀가 짙푸른 연못 속에서 하얀 다리를 저으며 물에 젖은 눈으로 소년, 아니 나를 바라보는 듯한 모습이 보이는 듯하다. 그리고 그 소녀와 소년의 사랑이 비록 세상의 잣대로는 미친 짓이고 진정한 사랑일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아름답다고 느꼈으며 문학이 나에게 줄 수 있는 또 하나의 사랑을 보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작가는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는 두려움을 느끼며 과거, 자신이 사랑했던 소녀에게 했던 행동을 후회하는 듯 보이기도 하지만 지금 또 다른 소녀, 어른의 모습으로 신랄한 비판을 쏟아붓는 기자의 모습을 한 소녀에게 숨은 본성을 이끌어냄으로써 나로서는 말로 정의내릴 수 없는 인간의 부조리함을 느끼게 했다.
작가의 죽음으로, 물론 그는 자신은 이미 오래 전에 죽었다고 했지만 그건 그의 생각이고, 한 편의 사랑은 마무리되었고, 그토록 비난했던 작가의 행동을 따라하게 된 기자에게서 또 다른 사랑이 시작되고 있다고 본다면 무리일까? 인생은 그렇게 한 마디로 딱 끊을 수 없는 무언가를 늘 남기고, 정의할 수 없는 그런 거 같다.
아멜리 노통의 톡톡 튀는 재치 있는 글 솜씨와 그녀만의 독특한 가치관, 그러나 결코 정상적인 가치관을 벗어나지 않는(내 생각이구, 노통은 이런 내 말을 만약에, 만약에 들어서 기분나쁠 수도 있겠지만) 내가 좋아하는 그녀만의 매력이 돋보인 흥미로운 이야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