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고치기 교본
장하늘 지음 / 문장미디어(문장연구사)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지은이 장하늘은 본명이 장재성으로 일본에서 문장론을 전공한 사람으로, 문장론에 대한 많은 책을 내고 있다. 인터넷에서 원고지 교정법을 찾다가 알게 되었는데, 원래 사려는 책은 문장 표현 사전이었지만, 대신 이 책을 샀다. 책도 240여쪽이라 부담이 적고, 독자평도 좋아서 샀는데 기대에는 조금 못 미친다.


일단 논문전용 지침서가 아니라서 연구에서 사용하는 글은 여기서 말하는 내용과 조금씩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학생용 논설자료를 많이 써서 그런지 개조식(개론식)으로 되어 있어 마치 자습서를 요약한 것 같다. 그래서 보기에는 편하지만, 너무 간결하고 설명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되도록 우리말(순우리말)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어떤 경우는 우리말 자체가 낯설어서 이해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구체적인 내용이 들어 있고 문장, 문법, 수사학, 표기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머리말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사람들이 <글고치기의 표준>을 대라는 요구를 하는데, 이 책은 그 회답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책은 실제적 지침서임을 강조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동아 2006.11
과학동아 편집부 엮음 / 동아사이언스(잡지)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과학자들이 흔히 하고 있는 활동이지만, 조금은 비과학적으로 보일 수 있는 어림에 대한 내용이 나와 있더군요. 평소에 어림에 관심이 있기에 반가웠습니다. 그래서 좀 적어보려고 합니다.

어림은 과학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유에서 무를 창조하는 과학활동에서 어림은 첫단계라고 볼 수 있지요. 특히 유명한 과학자들이 어림을 잘 했다는 것은 어림과 과학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짐작이 그리 틀린 생각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장난삼아서 건물 높이를 어림하거나, 사람수를 어림하던 경험이 있다면 조금 더 과학적으로 근거를 가지고 어림해보는 것은 과학적 직관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 서울대 대학원 시험에서 사람을 구성하는 원자핵의 갯수를 묻는 문제가 나온 적도 있지요.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 커피물 끓이는 시간 등을 어림해보는 것은 좋은 경험일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우스로 잡는 SPSS 12.0
우수명 지음 / 인간과복지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처음 SPSS를 접한 것은 대학원 석사 1년차 때 였을 것이다. 처음에는 맥을 조금 썼는데, 후에 계속 MS 윈도를 쓰면서 매켄토시를 안 쓰다보니, statview와 비슷한 통계프로그램을 찾게 되었다. 그래서 그후 석사 2년차부터는 SPSS를 쓰고 있다. 이때는 SPSS에 관한 책들을 선배들에게 빌려서 읽어보았다. 그런데 별로 좋다는 생각이 안 들어서 책을 사지는 않았다. 하지만 필요할 때 쓸 책 하나는 있어야 할 것 같고, 동료가 추천하게 사 보았다.

 

사용법에 대한 책이라서 꼼꼼하게 읽은 것은 아니다. 또 너무 많은 시간을 들일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서평을 기록하는 것은 이 책의 특징 정도는 기록해두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회과학(지은이는 사회복지사)의 조사를 하는 입장에서 간단하게 SPSS를 활용하려는 사람들을 위하여 쓰여졌다. 글쓴이도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면 통계책을 참고하라고 충고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법에 대한 책답게, 구체적인 방법이 자세하게 나와 있고 내용도 쉽다. 또 요약이 잘 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표를 편집하는 방법이 부록으로 함께 있어서 참고할 만하다. 또한 다중응답의 처리나 글 프로그램과 함께 활용하는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그러나 군데군데 오자가 있고, 통계적인 의미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이 책만으로 통계처리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렇다고 통계이론에 대한 내용이 적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내가 알고 있는 부분에 대한 설명이 대부분이고, 내가 더 알고 싶은 부분(예를 들어 stepwise 방식, kurtness 의 계산 공식 등)에 대한 내용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앞으로 SPSS를 사용할 때는 항상 참고하여야 할 책이다. 그래야 사소한 실수를 하지 않고, 귀찮은 반복잡업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초급 수준이 대부분이라서, 고급통계를 원하는 사람에는 그리 적합하지 않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문통계 2014-09-08 0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http://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140001748P&orderClick=LAN&Kc=

이 책도 정말 쉽게 쓰여져 있습니다. 물론 거창한 통계가 없어서 조금은 아쉽지만, 고급통계까지 있어서 논문 쓰는데는 지장없었습니다. 통계학을 배우고 싶으면 다른 책을 사면 될거 같아서요 ㅎㅎㅎ
쉬운 SPSS 논문 통계라는 책입니다. 전 그럭저럭 가격이 3,500이라 만족했습니다. 하루만에 논문 통계 끝냈구요 ㅎㅎ
 
나의 한국어 바로 쓰기 노트
남영신 지음 / 까치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한국어 글쓰기에 대한 책이다. 이 책도 역시 인터넷 서점의 판매고와 독자서평을 보고 골랐다. 특히 조사의 쓰임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다른 책에서 보지 못한 세밀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어서 내용도 만족스럽다. 그러나 몇 가지 안타까운 점이 있는데, 특히 제목이 별로 마음에 안 든다. 어쩌면 출판사에서 이렇게 제목을 정했을 지도 모르겠지만, 일단 ‘나의’는 ‘내’로 간략하게 바꿀 수가 있다. 또 ‘한국어’도 ‘우리말’로 쓰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리고 무엇보다 노트 라는 영어가 가장 좋은 표현이었을까? ‘우리말 바로 쓰기’ 정도가 오히려 군더더기가 없어 간단하고, 아니면 글쓴이가 맺음말에서도 말했듯이 ‘바른 문장이 아름답다’도 제목으로 좋을 것 같다.


또한 법대를 졸업한 사람이라서 그런지, 언어를 규칙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를 하였는데, 이는 ‘이’와 ‘은’의 분류와 같은 부분에서는 신선한 시도로 보였으나, 시제 등을 설명할 때에는 마치 영문법을 그대로 적용한 듯한 느낌을 주었다. 또 몇 군데에 오자가 있었는데, 남의 잘못을 바로 잡아주는 책이므로 특히 오자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몇 가지를 제외하면, 책에 들인 시간이 전혀 아깝지 않은 책이다. 특히 앞부분의 조사와 어미에 대한 내용은 다른 책에서 본 적이 없다. 예문도 많고, 연습문제도 있어서 설명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도 예문과 연습문제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글쓴이가 말하듯이 한국어가 야생 상태의 언어(p. 311)라면, 조금 더 정교하게 다듬어 현대 사회에서 수많은 정보를 교환하기에 적합한 언어가 될 것이다. 한때 한국어가 논리를 위하여 적합한 언어가 아니라고 푸념을 한 적이 있는데, 그것은 한국어의 논리적 측면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내 잘못일 수도 있고, 한국어의 논리적 측면을 제대로 개발하지 못한 소위 연구자 집단의 잘못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제 분명한 것은 두 가지 경우에 모두 내가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물론 연구자만을 위한 글쓰기 지침이 아니어서 아쉽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문장을 쓸 때에 주의해야할 사항들을 언급하고 있어서 도움이 된다. 각론은 아니지만, 총론에 해당한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리, 공기의 질주? 선생님도 놀란 과학 뒤집기 4
이정원 지음 / 도서출판성우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동아사이언스에서 만든 선생님도 놀란 과학 뒤집기 시리즈의 4권이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가만히 생각해 보니 내가 음향학에 대하여 알고 있는 지식은 대학 1학년때 일반 물리에서 배운 것이 거의 전부였다. 물론 파동에 대하여 그 이후에도 전자기, 각종 실험, 광학 등에서 배웠지만,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것 같지는 않았다. 전공할 생각이 아니라서 등한히 한 탓도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런 종류의 책은 중고등학생뿐 아니라, 일반물리 전공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책전체의 내용은 별로 어렵지 않고 몇 군데를 제외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소리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그리고 탐구마당(science adventure)에서 cool edit를 사용하는 법에 대한 설명도 들어 있다.

생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 예로 나와 있어서 좋다. 3장까지 제목과 간략한 내용을 적어보았다.

 

1. 소리와 청각

(1) 소리의 시작 : 떨림으로 출발!

(2) 소리의 전달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

(3) 사람의 소리 : 건강을 듣는다

p. 33 진맥과 청진 : 청진이 양의학의 기본이듯, 진맥 역시 한의학 진단의 출발점

(4) 동물의 소리 : 우리도 이야기해요

p. 34 사람들은 보통 20-2만 Hz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2백-6천1백 Hz의 소리로 대화를 나누며, 3천 Hz 부근의 소리를 가장 잘 듣는다

p. 35 소리는 주파수가 높은면 멀리 퍼져나가지 못한다, 낮은 주파수는 멀리 퍼져 나감

탐구마당


2. 주변의 소리

(1) 재미있는 소리현상 : 소리가 이상해요

p. 45 도플터 효과 그림 - 응급차

p. 47 충격파 설명

p. 48 맥놀이


(2) 음색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

p. 54 우리가 듣는 피아노의 ‘도’음이나 바이올린의 ‘도’음은 실제로는 많은 배음을 지니는 합성파다. 이때 만들어지는 합성파의 모양이 다르면 음색이 다르게 느껴진다.

배음 : 양끝을 묶은 줄에서 배가 하나 생기는 것이 정상파이고 이때 생기는 음이 기본음이다. 그러나 이때 진동이 얼마나 빨리 일어나느냐에 따라 배가 2개, 3개 등인 파동들도 함께 만들어지는데, 이때의 진동수에 의한 음을 배음이라고 한다


(3) 음향과 감성 : 같은 소리, 다른 느낌

p. 57 소리의 반사가 없는 무향실에서는 귀가 멍멍해지며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4) 소음의 존재 이유 : 세상은 왜 이렇게 시끄러울까

p. 65 뇌기능에 필수적인 소음

p. 68 레스토랑 소음은 돼지 우리 수준 (약 100 dB)

탐구마당


3. 소리를 이용한 기술

(1) 수중음향학 : 고기떼 탐지에서 기상이변 예측까지

p. 73 Sonar(Sound Navigation And Ranging): 음파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바다 속에 있는 물체의 거리나 방향 등을 측정하는 장치

(2) 음성인식 : 인간을 닮아가는 기술

p. 85 음성 파형과 스펙트로그램

(3) 보이스 레코드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4) 도청과 감청 : 마음만 먹으면 들을 수 있다

탐구마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