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도 어느덧 저물어 가고 있다. 지난 페이퍼는 잘 들여다 보지 않게 돼서 기억력이 가물가물 한데 상반기에 소설대전을 다루면서 여성작가 중심으로 한국문학을 엮어봤던 것 같다. 하반기에는 굵직한 남성작가들의 작품이 대거 나오면서 문학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작가의 순서는 무작위다. 생각나는대로.

 

 

 

 

 

 

 

 

 

 

 

 

 

 

[ 김연수 ]

<사월의 미, 칠월의 솔>로 굉장히 잘나가고 있는 김연수 작가. 사실은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던 작가 중 한명이다.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내 취향 탓도 있지만. 근데 이번 책은 괜찮다.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은 읽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여튼 이번껀 좋다.

 

 

 

 

 

 

 

 

 

 

 

 

 

 

[ 김영하 ]

<살인자의 기억법>이 나왔지만, 나온 직후 별다른 반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잠깐 반짝했지만 꾸준함이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퀴즈쇼>는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해고 그 이전의 소설들도 꽤 무게감 있는 작품들이 많다. 책을 보면 알겠지만 중장편이라 하기엔 뭔가 부족한 느낌도 든다. 경장편이라 하기엔 뭔가 또 길고 무겁다.

 

 

 

 

 

 

 

 

 

 

 

 

 

 

[ 백가흠 ]

백가흠은 <나프탈렌>으로 처음 알게 된 작가다. 이번 <향>은 신문매체를 비롯해 잡지에서도 많이 다뤄진 듯 하다. 이번엔 죽음에 대해서 다뤘다고 하니 스산한 겨울 밤 읽어보는 것도 괜찮겠다. 몰랐는데 그간 꽤 많은 책을 냈다.

 

 

 

 

 

 

 

 

 

 

 

 

 

 

 

[ 이응준 ]

이응준은 역시 <내 연애의 모든 것>. 제목으로만 알고 있는 작가였다. <국가의 사생활>이 반응이 꽤 좋았다고 해서 관심이 갔는데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다. (밤의 첼로도 못 읽고 있는 판에) <밤의 첼로>는 연작소설을 묶은 형식이라 읽는 호흡이 길지 않다.

 

 

 

 

 

 

 

 

 

 

 

 

 

 

[ 구효서 ]

<별명의 달인>을 펴낸 구효서의 이름을 어디서 들었다 했더니 <랩소디 인 베를린>을 쓴 작가였다. 시기가 좀 오래지나 기억을 못하고 있었는데 그 사이에 윤동주를 다룬 <동주>라는 소설도 냈었다. 판매순위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알음알음 읽히고 있는 책이다. (내 주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12-22 04: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2 15: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