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검색하다 생뚱맞게 <한국 주거문화사>라는 다소 전문적인 뉘앙스를 풍기는 제목의 책에 끌렸다. 내용을 살펴보니, 인문학 발전에 기여하는 취지로 사비를 털어 이른바 '우정문고'를 설립했고, 자신의 글도 시대상황과 맥락에 맞게 고쳐 낸 것이었다. 전통주거, 주거환경, 재료, 시대별 전개등으로 내용도 세분화 돼 있어 대학의 교양교재로도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책을 살펴보면서 생각난 책은 얼마전 나온 <아파트 한국사회>다. 가장 최근경향의 한국주거의 형태와 속성을 보여주는 책이라 한국주거의 역사와 최신 트랜드를 한번에 알 수 있는 책들인 것 같다.
조금 손품을 팔아보니 돌베개에서 <한국 주거의 사회사>, <한국 주거의 미시사>, <한국 주거의 공간사>라는 제목으로 한국주거 시리즈가 나왔었다. 한국주거사를 막힘없이 훑어보기에 더 없이 긴요한 책이 될 듯 하다.
그 외 참고해 볼 수 있는 책으로는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라던가 서양의 도시주거 역사를 다룬 <도시주거 형성과 역사>, 그리고 인간의 주거문화 문제를 분석한 <인간과 주거문화>도 주제를 심화해 볼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