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니자키 준이치로 ]

창비에서 새로 번역된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작품 <열쇠>는 부부간의 성이라는 주제를 거의 민낯과 다름없이 드러낸 문제작이라고 한다. 뭐 그렇다고 엽색적인 작품은 아닌 것 같고 어느정도 선은 지킨 모양새다. (원래 문학에 선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역시나 창비는 '다니자키 준이치로'를 '다니자끼 준이찌로오'라고 표기했다. 확 다 찢어버리고 싶지만 그것이 오랜 출판사의 표기규범인걸 어쩌랴. 아쉬운 사람이 접고 들어가는 거지. 얼마전에 시공사에서도 <미친 사랑>이라는 작품이 나왔었고 문학동네에서는 <만 시게모토 소장의 어머니>가 번역됐었다.

 

 

 

 

 

 

 

 

 

 

 

 

 

 

[ 미하일 불가코프 ]

러시아작가 미하일 불가코프의 <개의 심장>이 열린책들에서 번역됐다. 213번째 세계문학전집 작품이다. 불가코프의 사실주의 정서가 잘 반영된 작품이라고 평가받는 <개의 심장>은 나도 처음 접하는 작품이다. 꽤 구미가 당기는 작품이라 꼭 읽어보려 한다. 나는 민음사의 <거장과 마르가르타>보다 문학과지성사께 왠지 더 잘 읽히는 느낌이다. 을유에서는 <젊은 의사의 수기. 모르핀>이 나왔었다.

 

 

 

 

 

 

 

 

 

 

 

 

 

 

 

[ 샬럿 브론테 ]

샬럿 브론테를 넣을까 말까 하다가 넣은 이유는 그녀의 번역작이 거의 <제인 에어>위주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몇 작품 더 있을텐데 <교수>나 <빌레트>밖에 번역이 안돼 답답하다. 온통 <제인에어>뿐이니 어쩔 수 없었다. 역시나 을유의 장점은 왠만하면 단권화 시킨다는 점이다.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도 단권화 되고 번역의 질도 좋아 만족했었는데 이번 <제인 에어>도 각 출판사별로 펴놓고 한 번 비교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