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혁명사>로 이미 알만한 독자들은 다 알고 있는 김학준의 새 책이 나왔다. 제목은 <혁명가들>인데 90년대 후반에 동아일보사에서 나왔던 두 권 짜리 책을 합본하고 내용을 수정증보한 개정판이다. 출판은 문학과지성사에서 맡았고, 언론사에 한 때 몸담았던 경력 때문인지는 몰라도 초지일관하게 쉬운 문체로 써내려 간 점이 마음에 든다. 로버트 서비스가 쓴 <코뮤니스트>가 다루지 않는 일본의 공산주의자들과 모택동 이외의 중국 공산주의자들, 체코나 루마니아 등의 공산주의자도 미약하지만 다루고 있어서 약간은 백과사전식의 구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로버트 서비스의 <코뮤니스트>와 병행해 읽는다면 시너지 효과가 날 것 같다.

 

 

 

 

 

 

 

 

 

 

 

 

 

 

더 읽어 볼 책으로 프랜서스 윈의 <마르크스 평전>과 영국의 소장학자 트리스트럼 헌트의 <엥겔스 평전>을 추천한다. 그리고 로버트 서비스가 쓴 <레닌>도 참고 할 만 한데, 지금은 아쉽게도 절판됐다.

 

 

 

 

 

 

 

 

 

 

 

 

 

 

마르크스의 이론들의 허점을 보완해 마르크스주의를 한층 더 발전시켰다고 평가받는 로자 룩셈부르크를 다룬 <로자 룩셈부르크 평전>도 번역이 돼 있다. 로버트 서비스가 쓴 <스탈린>또한 번역돼 있고 마오쩌둥을 알 만한 책으로는 로스 테릴의 <마오쩌둥>을 골랐다. 까치에서 나온 <마오>와 갈등하다가 되도록 단권으로 된 것을 고르자고 생각해서 이 책을 골랐다. 

 

 

 

 

 

 

 

 

 

 

 

 

 

하지만 트로츠키의 책만은 단권화 된 것중에 고를 수가 없었다. 이렇다 할 책도 없거니와 아이작 도이처의 트로츠키 3부작이 지금까지 번역된 트로츠키 책들 중 가장 볼만하기 때문이다. 스탈린의 손에 의해 숙청된 트로츠키의 일생을 알아보는것도 코뮤니스트와 혁명가들을 읽어보기엔 재미진일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