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 연휴에 꽤 많은 책을 읽었는데 차례대로 <불안 세대><부서지는 아이들> <편안함의 습격> <경험의 멸종><도둑맞은 집중력>. 이 책들은 작년과 올해를 휩쓴 인문교양서들인데 신기하게도 모두 같은 세계관 위에서 쓰여졌 다는 것이 느껴졌다. 바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그리고 심리학의 일상화와 과잉 정서 진단, 편리와 효율 멸균과 풍족에 회오리처럼 빨려들어간 우리의 진짜 모습,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들 말이다.
이 책들은 묻는다. 지금 우리가 잃어버린 것이 무엇이냐고. 그렇게 편리하고 재미있게 가짜 결핍 속에 사는 동안 우리의 우울증과 불안증은 높아졌고, 아이들은 자신을 깨지기 쉬운 존재처럼 여기고, 불편함과 지루함을 못 견디게 되고,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잊어버리게 되었다고. 그리고 그 가장 큰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아이들의 삶을 빼앗아가고 있다고 말이다. 지금의 현실을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이 책들을 읽으며 줄을 죽죽 그으며 그래, 맞아 맞아, 하고 고개를 끄덕이는 것도 잠시. <편안함의 습격>을 읽는 내내 내가 이러고 있는 거다. 도대체 순록은 언제 잡는다는 말이야?!
<편안함의 습격>은 주제면에서는 위에서 나열한 책들과 비슷하지만 글쓰는 방식에서는 빌 브라이슨의 <나를 부르는 숲>과 비슷했다. 빌 브라이슨이 지금 시대에 알래스카 오지 순록 사냥을 떠난다면 바로 이런 책을 쓰지 않을까? 빌 브라이슨만큼 정신없으면서도 본인의 알콜 중독 이야기부터 시작해 우울증, 불안, 자살, 비만, 번아웃, 지루함, 운반본능까지 다양한 이야기거리들을 맛깔나게 풀어내는 이 책을 읽으면서 정작 나는 ‘그래서 순록은 언제 잡는거야?’ 생각하고 있었다니.
그리고 책을 다 읽고나서야 깨달았다. 내가 이 편안함의 습격에서 이야기하는, 편안함과 효율과 멸균에 푹 파묻혀 기다림과 지루함을 미친 듯이 못 견뎌한다는 것을 말이다. 하다못해 책에서 순록을 잡으러 떠났으면 순록을 잡아야지 왜 이렇게 말이 많아 하고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불과 10~20년 전 빌 브라이슨의 다양한 기행기를 보면서 킥킥댔던 내가 말이다. 세월은 사람을 이렇게 바꿔놓는단 말인가. 아님 내 안에 있는 통제강박과 극강의 효율추구가 시대와 더불어 더 강화되고 빛나게 발현된 것일지도.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몇 십년간 우리는 많은 것을 잃어버렸다. 이 모든 책들에서 결국 이야기하는 것은 ‘인간다움’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경험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우리를 인간답게 하는가? 주의를 집중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가치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우리가 자신을 깨어지기 쉬운 존재로 여긴다면 인간의 고통은 왜 필요한가? 우리의 상처와 번뇌와 깊은 슬픔이 그저 정신과의 하나의 병명일 뿐이라면 그 심연을 지나온 후의 성숙은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손해보기 싫어하는 세상에서 기꺼이 사랑하고 상처받음을 선택하는 사람은 그저 호구인 것일까? 터치 몇 번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다 경험한 듯 느껴지는 지금 우리에게 진짜 경험이라는 것이, 진짜 몸으로 경험을 경험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렇게 생각하다보니 왜 요즘에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달리기에 빠져있는지도 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그 원시적 감각, 그냥 몸뚱이 하나로 지면을 박차면서 느껴지는 터질듯한 심장박동, 후둑 떨어지는 땀, 손끝의 저릿함, 그 원시적 감각을 다시 느끼고 싶은 것은 아닐까. 그렇게 관계도 사라지고, 경험도 사라지고, 불편함과 지루함도 사라지는 이 시대에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우리 몸의 경험. 그 자체가 아닐까. 정말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았던 시간이 언제였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몸을 움직이면서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몰입의 시간,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그것이 아닐까 싶다. 나도 달리기나 시작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