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인 박지향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친일>이라는 표현이 행사하는 대단한 영향력에 비추어 볼때 정작 그에 대한 진지한 학문적 연구는 창피할 정도로 적다고 안타까워 한다. 특히 친일은 근본적으로 불명예스러운 것, 병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이에 대한 연구 자체가 일천하다고 말하며 저항(반일)에 대한 신화의 해체와 더불어 협력(친일)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그 복잡성과 다면성을 이해하자고 서두에서 그 집필 의도를 밝힌다.

 

 

 

 

 

 

 

그는 이러한 의도를 설파하고자 이완용과 더불어 친일파의 거두 중 한 사람인 <윤치호>의 일기를 통해 윤치호의 고뇌와 사상을 면밀히 분석한다. 이를 통해 윤치호의 친일이 일신상의 영화를 위한 기회주의적인 협력이 아니라 애국의 한 방식이었으며 이는 그가 평소 가지고 있던 사상을 고스란히 실천한 결과라고 말한다.  

그럼 친일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윤치호의 기본 사상은 무엇이었을까?

 윤치호는 기본적으로 자유주의자였다. 그는 자유가 인간의 가장 중요한 본성이라고 믿었으며, 그 외 자유주의의 가치인 근면과 자립, 점진적 역사 발전 등에 대한 깊은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중간 생략) 중요한 점은 윤치호에게 자유는 악과 싸워서 이기고 쟁취해야 하는 것이었다. (중간 생략) 여기서 조선 사람들이 도덕적으로 갱생하지 않으면 독립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윤치호 사고의 근거를 볼 수 있다. - page 83 -

윤치호는 민족(혹은 국가)를 위하여 개인의 복리를 희생하라고 강요되었던 당시의 일반적인 유교적 사상(그 후에는 민족주의 사상)을 비판하였으며 집단적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지 않고 개인적 관점에서 바라봤다. 이는 그가 미국에서 보고 배운 서구적 사상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그는 적자생존과 양육강식이 세상의 법칙임을 깨닫고 사회적 다윈주의가 그의 사상이 핵심을 이루었다. 

윤치호는 인간사를 지배하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고, 일생 그 믿음을 버리지 않았다. 첫째는 인간의 본성은 사악하다는 것이다.(중간 생략) 이처럼 사악한 인간사의 법칙은 인간관계마이 아니라 국제관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중간 생략) 그가 받아들인 인간사에 관한 두번째 법칙은 하나님은 인종 간에 우열의 차이를 만들고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종속시키게 했으며, 인간 본성 안에는 인종적, 민족적, 신분적, 분파적, 개인적 차별이 뿌리박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백인종이 다른 인종을 멸시하는 것에 분노하지만, 그들이 자만심을 가지는 것을 당연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자유주의적 시각과 사회적 다윈주의적 시각을 견지했던 윤치호는 강한 인종이 약한 인종을 지배하는 것을 어쩔 수 없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필요악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사상이 고스란히 친일에 대한 긍정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그는 무능한 조선의 집권세력과 지배세력들에 지배당하느니 차라리 정치,사회적으로 발달된 제국의 지배를 받는 것이 낫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윤치호는 준비되지 않은 저항보다는 인민들의 교육과 계몽을 통해 독립을 준비하여 국제정치적으로 기회가 찾아왔을 때 독립을 추진하자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사상은 현실적이었나, 한편으로는 비현실적이었다. 아니 순진했다는 표현이 적확할 것 같다. 비록 윤치호는 자신의 친일 행위가 향후에 맞게 될 조선의 떳떳한 자치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할지라도 결과적으론 일제의 조선 통치를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 행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제국주의의 사악함은 그가 생각하는 것하는 것보다 훨씬 악랄했다.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것은 조선의 문명의 개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영토에 대한 야욕과 이익을 위한 것일 뿐이었다.  

또한 저자의 설명하과는 달리 1930년대 말이 되면 윤치호는 조선이 일본에 정치적으로 통합되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었으며, 가족의 안위를 생각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일 협력에 나섰다. 이와 같은 1930년 말의 각종 부역행위 때문에 나는  "이 모든 기록에서 드러나는 사실은 윤치호가 적극적으로 협력에 나선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상황에 타협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라고 주장하는 저자의 말에 동의할 수 없으며, 1930년대의 적극적 협력은 결국 그의 일신상의 영화를 위한 협력 그 이상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설령 그가 한 협력이 그 시대의 엘리트로서 일제의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는 행해진 친일(저자는 이렇게 판단하고 있다)이라고 할지라도 결코 합리화될 수는 없으며, 그의 그릇된 인식이 결국은 일제의 지배를 강화, 연장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데는 일체의 반론이 있을 수 없다. 

저자의 말대로 일제시대의 저항(반일)과 협력(친일)에 대한 보다 유연하고 심층적인 연구가 앞으로 계속 진행되길 기대한다. 하지만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판단을 유보해 달라는" 저자의 의도야 어찌되었든 친일이라는 행위는 긍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불편한 동시에 흥미로운 읽기였다.  

ps.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에 핵심 공저자로 참여한 의심스런(?) 이력이 있는 저자의 앞으로의 연구,저작활동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