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전히 김규항을 보기 위해서 갔다. 물론 나 또한 "고래 삼촌"이기에 올해는 꼬옥 참석해야겠다 마음 먹고 있었지만, 금요일 저녁이라서 갈까 말까 약간 망설여졌다. 하지만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책에 마음껏 싸인해 주겠다며 유혹하는 김규항의 멘션에 퇴근 후 곧바로 홍대로 향했다.
<500>이란 이름의 클럽이었는데 묘한 아우라가 느껴지는 고즈넉한 클럽이었다. 나는 들고 간 김규항의 책 중 가장 최근에 출간된<B급 좌파 :세 번째 이야기>에 싸인을 받았고, "반갑습니다. OOO님"이라는 지극히 평범하기 짝이 없는 싸인 문구를 오늘도 흐뭇하게 바라보며 이렇게 글을 쓰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5964145615767.jpg)
김규항은 몸이 좋았으며, 그의 퍼커션 연주 실력은 일품이었다. 그를 보고 나도 까혼을 배우기로 마음먹었다. 공연을 한 <하이 미스터 메모리>의 노랫말은 간지러웠고, 곱창 전골 <사토 유키에>의 노래는 엔까스러웠으며, <김두수>의 유니크한 애시드 포크는 아름다웠다. 그의 노래 제목처럼 진정한 보헤미안 같았다. 비록 편협한 인간관계로 인해 고래 이웃을 단 한명도 추천하진 못했지만, 여러모로 뜻 깊은 밤이었다.
![](http://image.aladin.co.kr/coveretc/music/cover150/45240201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80/80/cover150/358119272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76/22/cover150/9273770223_1.jpg)
공저한 <아웃사이더>시리즈, <쾌도난담> 등을 제외하고도 단행본으로 김규항의 이름을 달고 출간된 책이 벌써 다섯 권이나 된다. 다섯 권의 출간 시기를 살펴보니 갈수록 밭다. 알마에서 인터뷰집 시리즈 중 하나로 나올 정도로 김규항 글에 대한 출판계 및 독자 니즈가 형성되었다고 생각하면 김규항의 팬으로서는 참으로 반가워 할 일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숙고해보면 "신자유주의 체제"라는 달리는 기차 위에 몸을 맡긴 채 갈수록 피폐해지는 한국 사회에 대한 김규항의 일갈이, 전에 비해 갈수록 계속 늘어나고 있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어 안타깝기도 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8/65/cover150/898530471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57/cover150/897199219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75/17/cover150/899176018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70/7/cover150/899252577X_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