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 뜨거웠다. 부끄러웠다. 영화를 보는 내내 한숨이 멈추지 않았으며, 표정은 일그러졌다.  시사회에서 영화를 접한 어느 영화 담당 기자는 "영화 상영시간 내내 얻어맞은 기분이었다"는데 영화 상영 시간 내내 얻어 터진 기분이었다. 

<경계도시 2>를 보는 내내 난 우리 사회의 미숙성함에 놀랐으며 이 때문에 수치스러웠다. 그 수치스러움은 진보와 보수를 막론한 우리 사회 전체를 향한 것이었으며, 나를 향한 것이기도 했다.   

  

송두율 교수가 37년 만에 귀국길에 오르기 전 한국 사회의 성숙함에 대해 걸었던 기대는, 영화를 보기 전 내가 했던 한국사회에 대한 일말의 기대와 비슷했다. 하지만 독립투사를 때려잡는 일제 시대의 사생아 <국가보안법>과 보수정당과 보수 언론에 의해 진보적 철학자에서 한 순간에 '김철수'라는 거물 간첩으로 추락한 송두율 교수는 진보와 보수가 투쟁하는 집단 광기를 온몸으로 체감하며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적 성숙함에 대한 실망에 몸서리쳤다. 영화 상영 시작과 동시에 한국 사회를 향한 나의 기대도 처참히 무너졌다.   

누구보다 레드 콤플렉스에 자유롭다고 자부해왔던 나지만, 나 또한 2003년 당시 송두율 교수가 김철수라는 것에 실망했으며, 노동당 가입은 법적 처벌이 불가피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입국 전 그를 옹호하던 진보 인사들이 그가 노동당에 가입한 사실을 실망하며 그에게 전향을 강권하고, 개인이 아닌 진보 집단의 미래를 위해 희생하라고 요구하는 모습은 2003년의 내가 송두율 교수에게 바랐던 기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를 사형의 중형에 처해야 한다는 어느 보수 사내의 일갈은 2003년 나의 생각보다 조금, 아주 조금 과격할 뿐이다. 나 또한 레드 바이러스에 자유로울 수 없으며 한국사회의 일개 우매한 개인이라는 쓴 웃음이 나왔다. 

북한이 적인 동시에 적이 아닌 아이니러한 상황. 친북=진보, 반북=보수라는 어처구니 없는 도식이 상식으로 통하는 사회.   

7년이 지났지만  한국 사회는 그 당시에서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국방부 불온도서 선정 사건, 최근의 방문진 이사장의 좌빨 척결 논란, 집권여당 대표의 봉은사 직영 관여 논란까지. 철 지난 이데올로기는 현재진행형이며 여전히 유효하다. 지배세력은 여전히 '좌빨', '친북'등의 언어적 레토릭으로 지지 세력을 규합하고 있으며, 10년 전, 아니 20년 전의 이 철 지난 수법은 여전히 가장 잘 먹히는 전략 중의 전략이다. 이 비상식적인 레토릭에 농락당하는 우리는 레드 콤플렉스의 피의자인 동시에 피해자이다. 언제쯤 우리는 이러한 말장난에 자유로울 수 있을까?      

최근 러시아의 한국 유학생들을 피습한 러시아 스킨헤드가 떠오른다.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타 인종에 무자비한 폭행과 살인을 저지르는 스킨헤드들. 사상의 색깔이 다른다는 이유로 법적 응징과 무자비한 언어적 폭력을 저지르며 사회적 사형을 선고하는 한국 사회.  

스킨헤드와 한국사회는 무엇이 다른가? 차이가 있다면 스킨헤드 그들이 좀 더 과격할 뿐.

PS. <경계도시 2>의 압권은 사건의 관찰자를 넘어 이미 게임 플레이어로 활동하는 언론의 행태다. 한 때 잠시 마음에 품었던 직업이었기에 다큐 속 기자의 모습은 나에게 실망을 넘어 분노를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현상은 정지되어 있으나 언론들의 상호모방적 받아쓰기로 인해 어느새 현상은 유기체가 되어 계속해서 진화 발전한다. <경계인 재독학자 송두율>은 어느새 언론이 던져 준 엄청난 양의 기사를 먹잇감 삼아 건국 이후 최대 <거물 간첩 김철수>로 변모된다. 여론의 관심이 시들해진 후 <거물 간첩 김철수>는 법적으로 <경계인 재독학자 송두율>로 판명났으나 거의 대부분의 언론은 이를 단신으로 처리했다. 언론이 틈만 나면 사명인냥 떠벌리는 진실한 보도와 건전한 비판이란 수사가 실은 사주의 이익을 위한 자극하는 보도와 제 입맛에 맞는 비판은 아닐까? 출소 후 언론에 진실함을 호소했던 송두율 교수의 외침이 메아리가 되어 아직도 내 귓가에 맴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