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는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사람들을 위해 씌어졌다’며 여러 대상자를 죽 나열하는 서문이 나온다. 그 대상은 과로에 지쳐 있는, 혹은 노동현장의 부자유에 불만을 느끼고 있는 노동자, 자신의 밭이 공장화되는 것에 혐오감을 갖고 있는 농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나는 여기에 빠진 대상자 중 한 명을 추가하고 싶다. 바로 우리의 당선인 이명박씨. 7%의 경제 성장이란 고전적 망령에 집착하고 있는 그. 이 책의 제목은 고스란히 그의 천박하고 철 지난 경제 성장론에 대한 반기다. 처음에는 책 제목 때문에 이번 대통령 선거 이후에 맞춰서 나온 책이라 생각했는데 발행 시기를 보니 2002년이다. 2002년에 발행된 책이라고 하기엔 그 소재와 내용이 너무 시의적절하다. 특히나 마지막 부록 ‘영어회화의 이데올로기’를 보고서는 혀를 내둘렀다.(이경숙씨도 추가요) 녹색평론사에서 나온 책이라 가볍고 투박해 읽기에도 무난했다. 특히나 그 적절한 분량이란.  





  

 

 

 

 

 

 

 

 

 

  

지난 수십 년 간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부작용과 피해를 고스란히 몸으로 기억하고 있는 우리지만 현재까지도 우리는 ‘경제성장’이란 망령에서 벋어나지 못했다. 파이가 커지면 그 조각도 커진다는 거짓은 여전히 유효하다. 모두가 부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은 알면서도 나 자신은 예외일 것이라는 신화에 허덕인다. 저자인 더글러스 러미스의 말대로 그는 새로운 것을 독자들에게 가르치는 게 아니라 이미 독자들이 알고 있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그 것을 공통상식으로 변화되길 기대할 뿐이다.



 저자의 언어 중 인상 깊은 것 중 하나가 바로 ‘타이타닉 현실주의’다. 우리는 자연 파괴와 그로 인한 지구 온난화, 해수면 상승 등의 자연 재해 등에 대한 학자들의 경고를 매스컴을 통해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왔다. 하지만 우리는 ‘다 알고 있어, 또 그 소리!’라며 흘려  듣는다. 이 같은 현실을 저자는 빙산을 향해 돌진하는 타이타닉호에 비유한다. 우리는 지구의 멸망이라는 빙산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 우리는 마침내 빙산에 부딪힐 거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진하는 행위를 멈추지 못하고 여전히 자연 파괴 행동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엔진을 멈추는 행위를 현실주의라고 부른다. 흔히 우리는 삼림보호, 반전, 비핵 등을 현실을 간과한 이상주의자의 수사라고 치부하지만 사실 그들의 의식과 행동이야말로 진정한 현실주의라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아름다운 들과 산을 간직한 시골의 풍경을 보고 발전이 덜 된 지역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발전이란 무엇인가? 자연의 제 모습을 잃고 수세기에 걸쳐 우리만의 전통문화가 사라진, 콘크리트에 덩어리의 집합체를 과연 발전이라 부를 수 있을까? 저자의 말대로 경제성장, 경제 발전은 하나의 자연스런 현상(누구나 바라는)이 아닌 이데올로기란 말이 옳다. 지배세력의 힘의 의해 주입된 이데올로기인 것이다. 빈곤의 근대화라는 말은 그래서 모순적으로 들리지만 사실이다. 빈곤은 근대화와 뗄려야 뗄 수 없는 종속변수다.



 빈곤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첫 번째는 전통적인 빈곤이다. 이는 자급자족의 사회에 존재하던 빈곤이다. 이들 사회에서는 필요한 만큼만 자연에서 얻고 그 만큼 소비했기에 큰 불편함이 없었다. 두 번째는 세계은행에서 말하는 ‘절대빈곤’이다. 이는 말 그대로 먹을 것이 없고 입을 것이 없어 가난해 시달리는 빈곤이다. 지금의 아프리카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세 번째가 부자의 전제가 되어 있는 빈곤이다. 흔히 말하는 상대적인 빈곤이다. 빈익빈 부익부의 우리 사회를 떠오르면 이해가 쉽다. 경제발전이란 바로 이 세 가지 빈곤 가운데 첫 번째, 두번째를 세 번째로 고쳐 만드는 과정이다. 백년 전에는 자급자족의 생활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지구상에 상당히 많았지만 이른바 선진국이라 불리우는 ‘南’의 나라들은 자급자족 사회에 다수 존재했던 ‘北’의 여러 나라들을 ‘경제 발전’이라는 강제적인 이데올로기(이는 식민지 주의 → 제국주의 → 경제발전론 → 세계화 라는 허울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를 이용해 ‘北 ’의 나라들을 착취하고 자연 파괴를 일삼았다. 수십 년 간 꾸준히 경제발전을 이룬 우리나라만 봐도 상대빈곤의 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먹고 사는 문제는 여전히 우리를 위협한다. 
 

 저자는 이러한 경제 발전의 망령을 걷어내고 ‘대항발전(Counter-development)'을 이루어 나가자고 단언한다. 그 동안의 성장을 멈추고 줄이는 발전을 하자고 공언한다. 빙산을 향해 질주하는 경제성장을 부정하고 경제 이외의 가치, 이외의 활동, 시장 이외의 모든 즐거움, 행동, 문화, 그런 것을 발전시켜 진짜 행복을 추구하자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그가 말하는 진짜 ’현실주의‘인 것이다. 현재의 상식이 비상식이 되는 사회. 현재의 비상식이 상식이 되는 사회. 그것 역시 내가 바라는 사회이자 지구에게 이로운 우리의 의무일 것이다. 경제 성장이 안되도 우리는 풍요로울 수 있다는 상식이 통하는 사회일 것이다.  가짜 '현실주의'를 유난히도 강조하는 새로운 정부의 구성원들에게 정중히 한 권 권하고 싶다. 

 

 

 



이 글은 테마카페에 등록된 테마입니다.
테마는 '먼댓글(트랙백)'이나 '댓글'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제(테마)를 놓고 여럿이 함께 얘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테마카페 바로가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