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그림의 기초는 정물화일듯.
고흐의 꽃병은 그의 열정을 닮아 거친듯 용솟음 치는 느낌을 준다.

선명한 대비를 보이는 원색들의 향연은 용무늬의 꽃병과 조화를 이루며
우리에게 '열심히 오늘을 살아내라~!'는 교훈을 주고 있는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120여 곡이라는 방대한 곡을 창조한 음악 창조의 아버지 요한 세바스찬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성악곡, 협주곡, 솔로 기악곡, 관현악, 카논 등 오페라를 제외한 여러 장르의 곡을 섭렵한
이전에도 없었고 이 후에도 나올 수 없는 위대한 작곡가.

대개 작품이 많다면 그 중에서 빼어난 작품이 있게 마련이고, 덜한 작품도 있을 법하다.

그러나 바흐의 작품은 그런 대개의 경우가 적용되지 않는다.
다양한 악기의 (오르간, 하프시코드, 플릇, 첼로, 바이올린, 기타, 류트, 클라비어등)의 곡을
들어 오다가... 몇 년 전부터 Bach의 Cantata에 접근 하기 시작했다.

성스러움, 고결함, 웅장함과 애뜻함... 그리고 따스함.
그 음악에는 이런 것들로 가득 차 있다.

칸타타는 크게 교회 칸타타와 세속 칸타타로 구분하는데, 교회 칸타타는 주일에 교회에서
성가대에 의해 불려질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세속 칸타타는 그 시대의 풍류에 대해
노래한 것들이다.

커피 칸타타(BWV211), 결혼 칸타타(BWV202), 사냥칸타타(BWV208)와 같은..
물론 신앙심이 두터웠던 바흐는 교회 칸타타를 더 자주 많이 만들었음에는 두말할 나위가 없다. (BWV1 ~ BWV200, BWV 11번 제외)

오늘 소개하고 싶은 곡은,,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BWV 147 (마음과 입과 생명과 행동으로) 중에서
제 10곡 Chorale : "Jesus bleibet meine Freude" (코랄 "예수는 나의 기쁨")이다.


바이마르 시대인 1716년에 창작한 이곡은 모두 10곡으로 되어있고,
특히 6곡과 10곡이 유명하여 어디선가 들어본 선율일 줄로 믿는다.

연주는 바흐 성악곡에 대한 탁월한 해석으로 주목받는 칼 리히터(Karl Richter)가 지휘하는 Munchener Bach-Chor & Bach Orchester이다..


1. Chorus :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제1곡: 합창 "마음과 입과 행동과 생명으로"

2. Recitative (tenor) : "Gebenedeiter Mund"
제2곡: 레치타티보 "축복받은 입이여"

3. Aria (contralto) : "Schame dich, o Selle, nicht"
제3곡: 아리아 '오! 영혼이여 부끄러워 말지어다"

4. Recitative (bass) : "Vestockung kann Gewaltige verblenden"
제4곡: 레치타티보 "완고한 마음은 권력자를 맹목적이 되게 한다"

5. Aria (soprano) : "Bereite dir, Jesu, noch itzo die Bahn"
제5곡: 코랄 '예수를 지닌 나의 기쁨"

6. Chorale : "Whol mir, dass ich Jesum habe"

7. Aria (tenor) : "Hilf, Jesu, hilf, dass ich auch yach bekenne"
제7곡: 아리아 "도와주소서, 예수여"

8. Recitative (contralto) : "Der hochsten Allmacht Wunderhand"
제8곡: 레치타티보 "전능하신 기적의 손은"

9. Aria (bass) : "Ich will von Jesu Wundern singen"
제9곡: 아리아 "나는 노래하리 예수의 상처를

10. Chorale : "Jesus bleibet meine Freude"
제10곡: 코랄 "예수는 나의 기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상영시간 2시간 내내 다른 생각 한번 못했다.
몰입하기에도 그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갇힌 남자의 분노..
장난으로 던지 돌에 맞아 죽은 시퍼런 가슴을 가지고 살아왔던 남자의 처절한 복수..
이것들의 뒤엉킴으로 술렁대기 바빴던 두남자의 이야기.

사랑해선 안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로 그 사람을 잃었고,
사랑한 사람을 잃은 원망으로 한평생을 살아갈 수 있었던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남자,,
유.지.태.

남의 치부를 아무런 생각없이 발설한 죄로 가정을 잃었고,
가정을 잃은 원망으로 갇힌 15년을 살아갈 수 있었던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남자,,
최.민.식.

꼭 내가 당한 것만큼 해주겠다는 복수의 결말이..
"역지사지"를 생각케하기에 충분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를 보고 기립박수를 치고 싶었다.
단연 올해 최고의 영화라고 말하고 싶으며, 박찬욱 감독의 천재성에 감탄했다.

아직 못보신 분들에게 열렬 강추!!




영화에서 간과하지 말아야할 것.

1. 유지태의 존댓말 : 비아냥의 진수를 보여준 유지태의 정중한 말투는,
                            사람을 더 비하시키는 묘한 극대 효과가 있었다는..
                            개인적으로 유지태의 목소리와 말투를 아주 좋아함..ㅡㅡ;

2. 홍콩 영화 같은 단락 단락 정지되어 있는 커트 : 편집이 아주 훌륭했다고 여겨지는 부분.
                                                               덕분에 미적으로 보는 재미도 아주 쏠쏠했다.
                            
3. 영화 음악 : 끔찍한 장면에 비발디의 사계 여름 3악장을 쓴것이 이해가 좀 안가지만,
                    그래도 여러부분에 있어서 음악이 상당히 좋았음.

4. 유지태의 전라 : 뒷모습이었지만 다리는 왜 그렇게 긴것이유?
                         극장을 나설 때 저마다 하는 얘기들이 그것이더이다..ㅋㅋ

5. 유지태, 최민식의 청소년기 배우들 : 어쩜 그리 닮았던지..
                                                    특히 고딩 유지태는 판박이라는..


6. 환상적인 캐스팅 : 신들린 연기의 최민식과 물오른 연기를 보여준 유지태,
                             당돌한 신세대 연기가 썩 잘어울리는 강혜정을 물론이고,
                             조폭들까지 아주 환상적인 호흡이었다는 생각.
                             단, 최면술사 역할의 이승신이 좀 안 어울리지 않았나?

7. 1: 30으로 싸우는 전설적인 망치씬 : 믿을 수 없는 영화같은 부분이지만,
                                                최민식이라면..하고 믿어버리게 만드는 씬이기도 했었죠.



청룡영화제는 못봤지만, 남우 주연상, 여우 조연상, 감독상등을 수상하게 된
<올드보이>팀들에게 축하를 드립니다..짝짝짝~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otoven 2004-01-01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젯밤 또다시 올드보이를 봤는데, 두번봐도 역시 지루하지 않고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강하게 왔습니다. 보면 볼수록 주인공들의 심리를 이해하겠는 이 영화는 정말 자랑스런 한국 영화라 할 수 있겠네요..^^
 





2002년 7월 말 Air Canada 안에서 이 영화를 봤었다.
승객의 대부분이 잠든 사이 나는 화면을 지그시 바라보며, '이런영화를 왜 안봤었지?'하며
눈물을 훔쳤다. (아직 상영하지 않은 영화였던걸 몰랐던 무지에서 비롯한..)

그리고 그로부터 3개월이 지난 오늘 재감상을 하게 되었다.. 명동에 있는 중앙극장에서..

기대했던 것 이하라고 말하는 사람도 많았다..
그리고 사실 평가도 그리 좋지 않은 모양이다.

이틀 전 그 극장에서 '본 아이덴티티'를 볼때만해도 '아이엠 샘'은 제일 큰 상영관에서 하고
있었건만 오늘 갔을때는 '굳세어라 금순아'에게 그 자리를 물려준 것을 보면..

그래도 어쨌건..내게는 꽤 괜찮은 영화였다.
못마땅한 점이 없을까? 맘 먹고 봤는데도 말이다..



1.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에 부족함 없는 연기

   숀펜의 연기는 무르 익을대로 익어서 진짜 샘인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고도 남았다.
   '나의 왼발'에서의 다니엘 데이 루이스를 연상하는 훌륭한 연기 그 자체였다.


2. 비틀즈
  
    비틀즈의 음악은 물론 그들의 앨범, 존레논과 조지해리슨, 매카트니 이야기는 적절한
    비유가 되어 썩 잘 어울렸다.
    루시의 이름이나 샘의 아파트 호수들.. 재판장에서의 비유들..


3. 재미있는 장면

   루시와 샘 그리고 그의 친구들이 신발 가게에서 나와 횡단보도를 지나는 장면은
   Beatles의 앨범 "ABBEY ROAD"의 표지 사진을 패러디 한 것.






3. 닮고 싶은 여자 미쉘 파이퍼.

   미쉘 파이퍼에게는 지성미, 인간미, 요염함, 정숙함, 카리스마가 있다.
   여배우로서 한가지 색만을 가져도 큰 성공일텐데.. 그녀에게는 이 모든 것이 있다.
   그런 면들은 따로 따로 다른 작품에서 보여지는게 아니라 언제나 늘 함께 공존한다.


4. 의상에 대한 이야기

   이 영화에서 보면 두 여인의 의상이 그녀들의 마음을 표현해 주고 있다.

   미쉘 파이퍼는 유능하고 자존심 강한 변호사 답게 블랙, 그레이, 화이트만의
   블라우스나 수트를 입는다.
   그녀의 이성적이기만 한 성격이나 환경을 나타내 주는 의상 컨셉이었으리라..
   그러나 샘으로 인해 자아를 찾게 된 후, 그 의상의 color가  Navy blue로 바뀌었다는
   것을 눈여겨 보지 않을 수 없었다.
   하늘과 구름같은 평온을 찾았다는 표현이었을거다.

   또 다른 여인은 루시의 양육을 맡은 양 어머니 로라던..
   그녀는 줄곳 붉은 색상의 옷만을 고집한다.
   영화 후반부에 '루시의 그림에 있는 수많은 빨강색은 어머니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샘이
   그녀에게 말하는 장면이 있다.
   그녀 또한 루시에게 다가가고 싶은 맘에 의도하여 늘 빨간 의상만을 고집한것을 짐작가능.

   (비행기 안에서 본 기억으로는 그녀가 샘에게 늘 빨간 옷을 입는 것은 루시가 그 색을
    좋아하기때문이라고... 조금이라도 루시의 환심을 사고팠다고..했던것 같은데.. 그래서
    그 장면에서 또 한번 왈칵 했던 것 같은데 오늘 아무리 봐도 그런 대화는 없었다..
    내 환상인지, 영화가 잘린건지???)



5. 다른 방향으로의 해피엔딩

   영화를 보면서 관객들은 미쉘파이퍼와 숀펜이 승리하여 루시가 친아버지 품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했을것이다.
   샘의 가정도 미쉘 파이퍼의 가정도 함께 이루는 삶으로서의 해피엔딩을
   기대했건만 둘 다 그렇지 못한 상황으로 만든 감독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차지하는 것만이 사랑이 아님을 알려주려한 것 이었을까?
   하지 못하는걸 하지 못한다고 인정하는 것이 현인이라는 것을 일깨워주려했던 것일까?
  


루시의 지나치게 새침한 연기(목소리는 또 어쩜 그렇게 앙증맞은가?),
자기 고백의 장면에서 눈물 한방울도 흘리지 않고 우는 미쉘파이퍼의 연기가
옥이면서도 티였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관람감상

히가시노 게이코의 동명 소설을 영화로 만든 비밀..
교통 사고를 당하게 되어 중태에 빠지게 된 모녀 - 결국 엄마인 나오코가 숨을 거두면서
영혼이 딸인 모나미의 몸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가장인 헤이스케는 딸의 몸을 가진 아내와 동거를 하게 되면서 비밀을 갖게 된다.

빙의 현상을 소재로 만든 영화 답게 미스테리가 여기저기 뭍어나지만, 언밸런스 하게도
그 안에 웃음이 뒤엉켜있다.

오랜만에 영화를 보고 많이 울었다.
비밀을 가지고 살아가야하는 남편과 아내와 딸의 심정이 내 맘으로 이사를 왔는지
겪어보지 않고도 알 수 있을 것 같은 그런 느낌 때문에..

영화를 보면서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사건과 사건 사이에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점.
즉 계산이 치밀하지 못한 점이었다.
영화를 보면서 몇가지 의문을 갖게 된 것이 그것.
영화를 보고 집으로 오는 차 안에서 계속 '이런 이런 점은 왜 그랬을까?'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2. 왜?

♥ 왜 아버지는 딸을 잃었음에도 슬퍼하지 않는가?

하루아침에 아내와 딸을 잃어버린 중년남자. 그러나 그는 아내를 완전히 잃은것도 딸을
완전히 보낸 것도 아닌 상태가 된 것이다. 딸은 육으로 아내는 혼으로 살아 있는 것이다.
헤이스케는 잃어버린 것보다 남아있는 것에 치중할 수 밖에 없다.


♥ 왜 어머니의 영혼에 딸의 몸인가?

만약, 빙의현상이 딸의 의식에 어머니의 몸으로 되었다면 이야기는 덜 다양할 수 밖에
없어졌으리라.. 어머니의 몸을 빌린 딸은 남이 보기에 헤이스케의 아내로, 집에서는 그의
딸로 조용히 살아갈 수 밖에 없었을테니..

외적으로는 젊고 발랄하며, 내적으로는 깊이와 경험과 여유를 가진 인물의 설정.
다소 무거운 소재로 인해 어두울 수 있는 영화에 코믹 코드를 갖게 해줄 수 있었던 것은
타임머신을 타고 20 여 년 전으로 돌아갈 수 있었던 나오코의 희망때문이 아니었을까?


♥ 왜 버스 기사의 아들과 결혼하게 되는가?

버스 기사의 아들은 모나미의 엄마를 죽인 장본인이다.
그런데 왜 그런 원수의 아들과 결혼하게 되는걸까?
영화 후반부에 치닫게 되면 운전기사 아들은 기사의 친자식이 아님이 밝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들을 거둔 아버지의 부성애가 드러난다. 그 큰 사랑을 깨닫게 된
아들은 적극적인 인생관을 가지게 되고 성공을 거두게 된다.
큰사랑에 대한 경험이 있는 두 인물의 새로운 결합은 해피엔딩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주는 선물이었을 것이다.



3. 장면

아내 나오코가 남편 헤이스케에게 늘 하는 행동이 있다. 턱수염을 깍은 턱 아래를 쓰다듬어
주면서 양볼을 눌러서 흔들어주는 것. 너무나 사랑스럽고 애정이 가득 묻어 있는 표현 같아서
나중에 꼭 실습을 하고자 굳게 맘 먹었다는..^^



4. 이름

어쩌면 가장 가슴 아픈 비밀을 묻고 살아가야 할 사람인 나오코의 이름을 보면..
일본에서는 흔한 이름이지만,  

直る : 고치다, 바꾸다 + 子 : 아이, 자식 --> 直子(나오코)

뭔가 인생이(?) 바뀔 사람이라는 조짐이 있지는 않은 것일까? 지나친 상상일까? ㅋㅋ



5. 노래

원숙미와 침착함을 느끼게 해주는 다케우치 마리아(竹內まりや)가 불러주는 앤딩곡
천사의 한숨 (天使のため息)에서는 엄마인 나오코의 마음이 느껴져서 심장이 조여옴을
한번 더 느낄 수 있었다. (동봉한 노래파일을 열면 그녀의 음색을 들을 수 있다)



まぶたを閉じれば浮かぶふたりの歷史を 今でもこんなに近くに感じてる
마부타오토지레바우카부후타리노레키시오 이마데모콘나니치카쿠니칸지테루
눈을감으면떠오르는두사람의시간을 지금도이렇게가깝게느끼고있어요

春の日のくちづけと夏の夜のときめきと けんかしたあの秋と幸せな冬の朝
하루노히노쿠치즈케토나츠노요루노토키메키토 켄카시타아노아키토시아와세나후유노아사
봄날의키스와여름밤의두근거림과 다투었던그가을과행복했던겨울아침

人はなぜ皆失って初めて氣づくの 見えない糸で結ばれた愛の重さに
히토와나제미나우시낫테하지메테키즈쿠노 미에나이이토데무스바레타아이노오모사니
사람은왜모두잃고나서야처음깨닫는거죠 보이지않는실로묶여진사랑의무게를

もう少しそばにいて私を守って 偶然と呼ばれる出來事は何もなくて
모-스코시소바니이테와타시오마못테 구-젠토요바레루데키코토와나니모나쿠테
조금만더곁에있어요나를지켜줘요 우연이라고불릴수있는사건은아무것도없이

出會いも別れも最初に決まってる 束の間の喜びとたわむれを引きかえに
데아이모와카레모사이쇼니키맛테루 츠카노마노요로코비토타와무레오히키카에니
만남도헤어짐도처음부터정해져있어요 짧은시간의기쁨과유희를바꾸어

永遠の戀だって奪われてゆくことも 人はなぜ皆淋しさを抱えて生きるの
에이엔노코이닷테우바와레테유쿠코토모 히토와나제미나사미시사오카카에테이키루노
영원한사랑이라는것을앗아가는것도 사람은왜모두외로움을끌어안고살아가는거죠

たった今來た道さえも迷路の始まり 光のあたる場所いつも探してる
탓타이마키타미치사에모메이로노하지마리 히카리노아타루바쇼이츠모사가시테루
지금걸어온길조차도미로의시작 빛이닿는곳을언제나찾고있어요

懷かしいあの歌がどこからか流れてく 何もかも美しい思い出に變わるけど
나츠카시이아노우타가도코카라나가레테쿠 나니모카모우츠쿠시이오모이데니카와루케도
그리운그노래가어디서부터인가흐르죠 모든것이아름다운추억으로변하지만

人はなぜ皆限りある命を燃やすの 天使のようなため息で最後につぶやく
히토와나제미나카기리아리이노치오모야스노 텐시노요-나타메이키데사이고니츠부야쿠
사람은왜모두끝이보이는생명을불태우나요 천사의것같은한숨으로마지막을말하죠

再び會う爲の短いさよなら あなたにさよなら忘れないでね
후타타비아우타메노미지카이사요나라 아나타니사요나라와스레나이데네
다시만나기위해짧은안녕을해요 그대여안녕잊지말아요

 

6. 포스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