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 뒤에서
사라 델 주디체 지음, 박재연 옮김 / 바람북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 책에서 동생 에밀리와 나는 전쟁 중에 성장한다. 숨바꼭질을 하던 나는 커튼 뒤에 숨으려다 커튼 뒤에서 금발 여자와 아빠의 목소리와 맞닥뜨린다. 무슨 일이 일어난건지 아빠에게 묻지 못하고, 아빠는 나의 눈치를 본다. 


이야기의 마지막에 나와 동생은 유태인을 잡으러 온 경관을 피해 커튼 뒤에 숨는다. 경관과 부하들은 집을 뒤지고, 

커튼이 열리며 이야기는 끝난다. 


아이의 눈으로 본 홀로코스트 배경의 이야기들은 많다. 전쟁 중에 성장할 수 밖에 없었던 아이들의 이야기들. 루이르 로리의 <별의 헤아리며 Number the stars>, R.J. 팔라시오의 그래픽 노블 <화이트 버드> I survived 시리즈 중 Nazi Invasion, 안네 프랑크의 일기 등이 많이 읽힌다. 아이들은 그 안에서 유태인 친구를 숨겨주기도 하고, 홀로코스트를 겪은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기도 한다. 수용소에 잡혀 갔다가 탈출하기도 하고, 숨어 있다 수용소로 가서 죽기도 한다. 


<커튼 뒤에서>의 배경은 2차 대전 시기의 프랑스 남부지방이다. 독일에 점령 당한 프랑스 북부는 독일에 의해 통치 당하고, 남부는 1차대전 전쟁 영웅인 페텡이 독일과 협정을 맺고 친나찌 정부를 이끌며 유대인을 탄압한다. 이 당시 희생된 유태인의 수가 7만여명이고 그 중 아이들이 11,000명이라고 한다. 끔찍한 지난 역사 이야기가 현재에도 지구 어느 곳에서 진행중이다.


법이 계속 유태인들에게 불리하게 바뀌고, 세 명 이상의 조부모가 유태인이거나 - 두 명의 조부모와 배우자가 유태인인 경우 유태인으로 간주한다는 법령이 발표된다. 그에 따르면 엄마가 유태인이고 아빠가 비유태인인 야엘과 에밀리는 유태인이 아니다. 그러나 엄마가 살아 있을적 엄마는 세마 기도문을 알려주고, 하누카 촛불을 함께 켰으며 야엘이 열두 살이 되어 바트 미츠바를 치르고 어른이 되는 날을 기다리고 있었다. 자신은 유태인이라고 믿고 있고, 법은 아니라고 하고, 그들을 유태인이라고 차별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일들을 겪으면서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성장해가게 된다. 유태인에 대한 두 번째 법령이 발표되면서 유태인은 '유대교를 믿거나 1940년 6월 25일을 기점으로 증조부모 중 두 명이 유태인인' 사람이었다. 같은 날 발표된 또 다른 법령에 의해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도 제출해야 했다. 


경찰관들이 그들을 잡으러와서 집을 뒤지고, 에밀리와 커튼 뒤에 숨어 있는 장면은 조마조마하다. 

누가 커튼을 열었는지는 나오지 않는다. 에밀리는 오랫동안 다시 태어나면 무엇으로 태어나고 싶은지 물어보았다. 

나는 가끔 고민하고, 결정하지 못했는데, 그 순간 답을 떠올린다. 다시 태어나면 나 자신으로 태어나고 싶다고. 

그리고, 커튼이 열린다. 



"엄마, 미래가 그리웠던 적 있어요?"

그리움은 지나간 것들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정이란다, 야엘. 

뭔가 잃어버린 것에 대해 생각하면 느끼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면... 내 미래를 그리워할 수도 있는 거잖아요." 


어른에게 빼앗겨서 없는 미래를 그리워하는 야엘. 그렇게 아이는 과거가 아닌 미래를 그리워할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한 주는 몸도 마음도 여유 없었다. 둘이 보통 같이 가지만. 

지난 주말에 하루 한 두시간 일 하고 시간 널널했을 때 잘 했으면 되는데, 겔르게 보냈더니 한 주가 아주 빡셌다. 


오늘은 오후랑 저녁 잘 챙기고, 내일도 비슷하게 잘 챙기면 된다. 

토,일,월 어떻게 보내는지가 한 주를 크게 좌우해. 


미우라 시온의 <풀코스 창작론> 읽었는데, 역시 재미있는 사람이다. 피식거리면서 무한 읽고 싶은 글이다. 

그림 그리는 사람들 꾸준히 그림 그리면서 실력 나아지는 것 보는 것에 대한 로망이 있다. 그 결과물이 물리적으로 남는 것까지. 글로도 비슷한 거 할 수 있더라고. 아니, 글도 쓰고, 프린트해두면 결과물 남는거긴 하지만, 실력이 나아지는 것이 보이는지의 문제인 것 같기도 하고. 하지만, 그림도 글도 뭣도 안 할거면 이럴거야, 저럴거야 하는게 무의미하지. 


소설에서의 대화에 대한 조언 중 '현실의 대화를 자세히 관찰(청찰)해 문장 표현으로 적어 내려가기' 연습이 있다. 

묘사에도 관찰이 중요하다. "주의 깊게 자타를 관찰하고 눈에 들어오는 것, 느껴지는 감정을 머릿속에서 언어화하도록 노력" 하는 것이다. "언어화란 기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경과 감정에 대한 기억은 언어화를 통해 쌓이기 때문에 소설을 쓰는 도중 필요할 때마다 '그때 그 정경과 그때 그 감정'을 구체적으로 꺼내볼 수 있습니다. 이를 문장으로 적어 내려가는 것이 곧 묘사입니다." 


"화가는 눈에 들어온 것과 마음속 생각을 정확하게 그림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눈과 손이 연결되어 있다고 할까요. 정보를 그림으로 출력하는 능력이 날 때부터 출중했겠지만 가진 능력을 키우기 위해 수없이 많은 데셍을 거듭했을 것입니다. 소설도 마찬가지입니다. 눈에 들어온것과 느낀 감정을 머릿속으로 언어화하는 습관은 데셍 능력을 키우기 위한 훈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 소설을 쓸 때 정경이나 생각, 감정을 문장으로 표현하기가 수월해집니다." (86)


그림의 데셍 연습하는 것과 같이 보이는 것과 감정을 언어화하기.

계속 의식하며 노력해봐야겠다. 


어느 순간부터 뭉뚱그려 말하는 것에 질리고, '이상해' '죽겠다' '짜증나' 이런 말들을 지양하고 정확한 말을 구사해야겠다는 나만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 사명을 품고 있는 것만으로 묘사가 늘리 없지만, 위의 말들을 덜하게 되기는 했다. 이번 주에 있었던 일들은 글로 남길만하다. 트위터 140자 타래로 끄적이는 것 외에 글로 남겨봐야지. 내 마음과 내가 했던 행동들을 잘 들여다보고, 언어화하기. 



그윽한 양이 (영어 이름 Sand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서 빼고 올해 별 다섯 

글 잘쓰기로 유명한 60대의 매운맛, 글 잘 쓰네! 싶은 20대의 매운 맛, 말의 힘을 믿는 문학연구가의 구원의 글, 매운 주인공 검험 산파 아란 


나 먹는 매운맛은 안 좋아하는데, 매운맛 글은 좋아하나봐. 




서로에게 조금 덜 매워지고 있는 까만 고양이와 삼색 고양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읽는 책들과는 꽤 다르지만, 성인이 된 후 10대 후반에서 20대에 나의 책 길을 열어준 책들 네 권을 골랐다. 




지금은 당시의 밀도로 책을 읽어내기는 힘들 것 같다. 


다양한 좋은 책들을 매일 만나지만, 책을 덮고 나서도 마음에 남아 계속 떠오르는 책이라면 요즘은 이 두 권이다. 

















어제는 책의 날이었다. 





도서관에 갔더니 장미꽃을 줬다. 어제는 도서관 두 군데, 120km의 여정을 밟았다. 버스 한 번에 타고 앉아 가며 예쁜 계절의 연초록들과 바다도 잔뜩 보거나 잤지만.도서관 너무 좋고, 좋아하는 책들 잔뜩 빌려왔지만, 나갔다 왔다는 자체만으로도 넘 피곤해서 밤에 기절잠. 


어제 책의 날이라고해서 사고 싶었던 책들도 좀 샀다. 

뒤늦게 휴머니스트 세계문학에 꽂혀서 빌리고 사고 난리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나 2024-04-26 0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생 4권 중 상단에 시리즈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책 제목 좀 알려주세요

하이드 2024-04-26 11:03   좋아요 0 | URL
반지의 제왕, 사조영웅문, 빅슬립, 법의관 입니다.

리나 2024-04-29 08: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소녀는 따로 자란다 위픽
안담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문이 무성했던 책. 자신의 유년기 거울 같은 책이라서 다들 할 말이 많았다고 한다. 내가 마주한 나의 유년기는 이 책에 나오는 것 같은 소녀들에게도 소년들에게도 관심 없었던 유년기, 아니, 실은 거의 기억나지 않는 유년기라는 것. 그런 유년기의 내가 지금의 내가 되었구나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