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번째 이야기
다이안 세터필드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타고나길 천재로 타고 나는 작가가 있고, 아주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글을 써 내는 머리 좋은 작가들도 있다. 직장을 그만두고 5년동안 창작에 몰두, '열세번째 이야기'라는 데뷔작을 낸 다이안 세터필드는 후자이다. 전자의 작가들에는 열광하지만, 후자의 작가들에게는 호감을 느낀다. 저자는 자신의 분신같은 책벌레 아가씨를 저자가 열광하는 19세기 영국 소설 속 '같은' 곳으로 밀어 넣었다. 시대는 현대지만, 그 분위기는 놀랄만큼 19세기여서, 읽는 내내 19세기 영국 소설 읽은 기분이었으니깐. 

스릴러를 읽으면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단다. 700페이지 정도의 소설을 집중해서 읽는 것이 1000kca를 소모한다는데, 이 책은 560페이지 정도 되는데, 그 크기로 보나, 무게로 보나, 다이어트에 효과 있을 것 같다. 그 연구가 맞다면 말이다. (물론 그런 류의 연구는 믿고 싶은 것만 믿으면 되는 법이긴하다.)

각설하고, 이야기는 비다 윈터라는 대작가가 그녀의 전기를 쓰기 위해 아버지를 도와 헌책방을 영하고, 틈틈히 전기를 쓰는 마가렛 리를 부르는 것으로 시작한다. 열세가지 이야기를 냈지만, 어떤 사정인지 죄다 회수하고, 열두가지 이야기로 다시 나온 책에 대한 사람들의 끊임없는 궁금증.

평생 픽션만을 이야기하던 작가가 '진실'을 추궁받게 된다. 그녀만의 이야기를 자신의 전기작가인 마가렛에게 풀어놓게 된다.

옛날, 옛날에 미친 영주와 정신병원에 들어간 영주의 동생이 있었는데, 영주의 동생은 쌍둥이를 낳았지. 그 쌍둥이의 이름은 에멀린과 애덜린이었어. 동네사람들의 말로는 그들은 보통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을 하며, 행동은 꼭 미친애들 같았지.
 

미스테리가 풀리는 마지막은 쌩뚱맞기는 하지만,
19세기 미스테리 영국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런대로 재미있게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onnight 2007-06-14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보관함에 넣었다 뺐다 했는데 다시 넣어야겠어요. ;

하이드 2007-06-14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기와서 재미있게 읽었더랬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