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조선이라는 나라는 고리타분한 성리학을 신봉하는 따분한 사람들의
나라라고 생각을 해왔다. 그도 그럴 것이 지금 현재 우리들 사유 속에
가장 깊게 침투해 있는 부분이 아무래도 양반 사대부라고 하는 그런 유학
사상이 아닐까 한다.
유학사상 난 왠지 유학이라고 하는 것이 참 위선 적인 사상이라고 생각을 한다.
양반이라고 하는 신분 계층에 있는 사람들은 유학이라는 사상을 가지고 많은
백성들과 민중들을 옭아 매는 역활을 하는 강한 무기로 행세를 했으며 그 이면에
양반들은 인간의 본성을 몰래 나타내는 그런 사회 통제 수단이 아니였나 싶다.
이렇듯 나의 고정 관념 속에서 조선이라는 나라는 그닥 좋은 이미지가 아니다.
그런데 한편으로 나의 뿌리를 찾는 일에서 나는 조선을 찾아 올라가서 마치
조선이라는 시기에 만들어놓은 찬란한 문화 또는 세계최초 등등을 남발하며
자랑을 하려고 든다. 이런 이중의 잦대를 들이대고 있으니 내가 바라보는 조선의
시각이 제대로 되어 있을 법하지 않다.
여기 또하나 조선에 대한 생각을 해주는 책이 있다. 이 책속에 조선은 성리학 그것도 주자가
해석한 내용을 가지고 그것에만 맹신하는 그런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그런 광신(?)은 아마도
새로운 시도를 하지 못하게 하고 또 기득권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도구로서
군림하게 하는 하나의 장이 되었으리라 생각이 든다.
거부하지 않으리라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만들어진 "금속활자" 그것은 과연 누구를 위한 활자 였으며
우리나라의 가장 위대한 발명인 "한글"은 무엇을 위해 창제 된것인가?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아주 녹녹한 어조로 써내려 간다.
지금 이순간 나도 생각을 해본다. 과연 우리의 생각과 여러가지 논의 들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우리를 위한 것인가? 아니면 수많은 구호와 같은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아니면 이 나라를 위한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