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한다, 고로 철학한다 - 무엇이 과학인가
팀 르윈스 지음, 김경숙 옮김 / Mid(엠아이디) / 2016년 7월
평점 :
과학을 공부하는 것이 자연에 대한 물음표를 찍고 연구해서 느낌표로 만드는 것이라 생각 했다.
그리고 그 믿음을 가지고 공부했다.
그런데 과학을 공부 하면 할 수록 계속 알 수 있던 것은 과학은 정답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에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자연에 대한 해석을 동시대 사람들이 받아주는 것을 우리가 과학이론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니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지금 나는 과학을 암기과목이라고 말을 하지 않는다.
과학은 생각을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학문이다. 그 학문을 우리 초등학교 부터 배우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이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은 좋은 대학을 가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고, 옆에 있는 친구들이 경쟁상대라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다.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의무교육단계의 공교육인것이다. 그 공교육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것은 사물을 보고 이해할 때 과학의 논리적 사고 틀을 가지고 해석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과학 한다는 것은 곧 생각하는 방법을 그리고 해석하는 방법 배우는 것이다.
물론 대답은 H20 가설보다 자료를 잘 설명하면서 완전히 다른 과학적 이론이 "지금은" 없다는 것이다. 바로 이런 이유로 물의 기본 구조에 대해 화학자들이 거의 만장일치를 본다. - P159
이타적인 동기에서 주식 시장에 투자한다는 것을 상상하기 힘들다. 의식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투자에 대한 어떤 식의 이익이 포함된 표현형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는 친척 일을 빼놓고는 그 무엇에도 투자하지 않는다고 봐야하지 않을까? - P233
경제학을 공부하면-아마도 이기적인 것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을 경제학이 부추겨서인 것 같은데-이런 게임을 할 때 사람들이 더 이기적으로 된다는 증거가 나왔는데, 그 후에 경제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애초에 이기적인 학생의 관심을 끝다는 이론도 제기되었다. - P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