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59
송찬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9년 5월
평점 :
'고운 봄날 이 거친 시집을 꽃 피는 시집으로 잘못 알고 찾아오는 나비에게 오래 머물다 가진 마시라고 해야겠다'는 작가의 겸손한 인삿말과는 달리, 이 한 권의 시집은 나비가 둥지를 틀고 싶은 꽃밭이었다.
동화와 시를 오가는 발랄한 상상, 그러나 결코 지나침이 없는 절제되고 소박한 말들의 밥상. 달콤함보다는 포근함이 더욱 어울리는 송찬호의 꽃밭에 자주 머무르게 될 것 같다.
그리고 나는 오래된 만년필을 만지작거리며 지난 날 습작의 삶을 돌이켜본다 - 만년필은 백지의 벽에 머리를 짓찧는다 만년필은 캄캄한 백지 속으로 들어가 오랜 불면의 밤을 밝힌다 - 이런 수사는 모두 고통스런 지난 일들이다!
.............................................................................'만년필' 중에서
빗속 천둥과 번개가 토란 잎 위에서 뒹굴었고 그다음 전라의 젊은 남녀가 태양을 피해 토란 잎 그늘로 뛰어들었다 그러고 보면 세상을 한껏 치장하는 앵무새의 혀, 사자의 갈기, 원숭이의 다이아몬드 꼬리, 잉어의 수염 등은 한낱 삶의 가면에 불과하다
.............................................................................'토란잎' 중에서
산토끼가 똥을/ 누고 간 후에 // 혼자 남은 산토끼 똥은/ 그 까만 눈을 / 말똥말똥하게 뜨고 / 깊은 생각에 빠졌다 // 지금 토끼는 / 어느 산을 넘고 있을까?
............................................................................'산토끼 똥'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