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어 ㅣ 어른을 위한 동화 2
안도현 지음 / 문학동네 / 1996년 3월
평점 :
언제부터였을까?
'연어'를 어느 유행가 가사처럼 거꾸로 강을 거슬러 흐르는 대양의 물고기보다,
양상치에 매콤한 소스와 함께 싸먹으면 사르르 녹는 연어 샐러드로 기억하게 된 것은...
이 서글픈 현실 앞에서 만난 시인의 동화를
꿀단지 모시듯 두고 조금씩 자주 꺼내 먹었더랬다.
연어의 눈물겨운 회귀에 대해 모르는 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바다와 속삭이는 대화, 그들 가운데 갈등과 번민,
그리고 그 속에서 피는 사랑...
시인의 상상력은,
그간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가는
소중한 나침반이 되었다.
보고 싶다, 라는 말보다 더 간절한 말은 이 세상에 없을 것이라고 은빛연어는 생각한다.
.....
그리움, 이라고 일컫기엔 너무나 크고, 기다림, 이라고 부르기엔 너무나 넓은 이 보고 싶음. 삶이란 게 견딜 수 없는 것이면서 또한 견뎌내야 하는 거래지만, 이 끝없는 보고 싶음 앞에서는 삶도 무엇도 속수무책일 뿐이다.
<중략>
“별이 빛나는 것은 어둠이 배경이 되어주기 때문이죠?”
“그렇지”
“그리고 꽃이 아름다운 것은 땅이 배경이 되어주기 때문이고요?”
“그렇지”
<중략>
“사무친다는 게 뭐지”
“아마 내가 너의 가슴 속에 맺히고 싶다는 뜻일 거야”
“무엇으로 맺힌다는 거지?”
“흔적...... 지워지지 않는 흔적.”
<중략>
겨울이 오면 강은 강물이 얼지 않도록 얼음장으로 만든 이불을 덮을 것이다. 강은 그 이불을 겨우내 걷지 않고 연어 알을 제 가슴 속에다 키울 것이다. 가끔 초록강의 푸른 얼음장을 보고 누군가 지나가다가 돌을 던지기도 할 것이고, 그때마다 강은 쩡쩡 소리내어 울 것이다.
봄이 올 때까지는 조심하라고, 가슴 깊은 곳에서 어린 연어가 자라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