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 한 송이가 있었습니다 ㅣ 베틀북 그림책 72
크베타 파코브스카 그림, 사이드 글, 이용숙 옮김 / 베틀북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
|
|
|
그 때 어떤 할아버지가 ‘꽃’을 보았고, ‘꽃’은 너무나 힘들고 지친 나머지, 색깔을 찾아 나섰던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말씀드렸습니다. 그러자 할아버지는 자신의 마음을 열어서 할아버지의 마음속에 피어난 수많은 아름다운 꽃들을 보여줍니다. ‘꽃’은 할아버지의 마음속에 들어갔지만 여전히 무지개나비를 만나지 못해서 ‘꽃’은 색이 없었습니다. ‘꽃’은 우울했습니다. 그때 갑자기 해바라기가 말을 건넸습니다.
“네 빛깔은 기막히게 아름답구나!”
“내 빛깔이라고?”
“그래, 넌 네 빛깔이 마음에 안 드니?”
꽃이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하자
해바라기가 다시 물었습니다.
“우리, 빛깔을 서로 바꿀래?”
꽃은 도리질을 하며 더듬더듬 대답했습니다.
“난 내 빛깔이 더 좋아!”
- <본문> 중에서
|
|
|
|
 |
크베타 파코브스카가 '색채와 형태의 마술사'라는 얘기만 듣고 덜컥 집어든 책이다. 예상보다 꽤 커다란 책이 집으로 배달돼왔고, 각 페이지마다 강렬한 이미지들이 눈을 즐겁게 해줬다. 알록달록, 형형색색의 색깔들은 그 옛날 작고 둥그런 철통 안에 든 과일향 사탕을 꺼내먹는 것 같은 달콤함을 선사했다.
북유럽을 대표하는 천재화가라는 파코브스카의 명성 때문인지 이란 출신 동화작가 사이드는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듯한 느낌이다. 그런데 '빛깔 없는 꽃의 자신의 색깔 찾기'라는 내용 역시 참 마음에 들었다.
사이드의 글과 파코브스카의 그림이 어우러져 꽃의 여행에 동참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아쉬운 점은 글자 크기가 압도당할 만큼 크다는 것인데, 그림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것 같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