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지내나요, 청춘 - Soulmate in Tokyo
마이큐.목영교.장은석 지음 / 나무수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청춘'이라는 단어가 낯설게 느껴진다. 이팔청춘(열 여섯살)의 딱 두 배를 살았으니, 내 인생도 이제 청춘의 끄트머리 쯤에 접어들었을 것이다. 이팔청춘에 생각했던 서른 둘의 나는 어떤 모습이었던까? 그 때의 상상과는 조금 다른 현실을 살아가고 있지만, 글을 업으로 삼고 살아가는 것만큼은 그때의 생각에서 크게 비껴나지 않은 것 같다.  

청춘의 끄트머리, 생각보다 많은 것을 경험했다. 누군가는 결혼을 하고 누군가는 이혼을 하고 누군가는 세상을 떠나고 누군가는 새로 태어나고 누군가는 사랑을 하고 누군가는 그 사랑 때문에 누군가를 증오하고... 이 순환의 메커니즘을 알아버린 나는, 잠시 익숙한 길을 떠났다. 낯선 길에서 곧 돌아와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곧 돌아와야 할 짧은 여행길에, 이 책은 후배로부터 받은 깜짝 선물이었다. 도쿄를 여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건네준 이 책은 묵묵히 예술가의 길을 걷는 서른 즈음의 세 친구(사진가, 미술가, 음악가)의 도쿄 여행기다. 화려한 도시 이미지보다는 뒷골목 인간 군상들의 사람냄새 나는 풍경과 예술가적인 감수성을 담아 써내려간 에세이들의 모음. 비록 오사카와 교토를 여행하고 돌아왔지만, 일본이라는 나라를 다시 한번 다른 사람의 프리즘을 통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돌아온 익숙한 길 위에서의 시간은 또 빠르게 흘러간다. 언젠가 다시 낯선 길 위에 설 날을 기대하며 오늘도 내 작은 발로 꾹꾹! 청춘의 마지막 길 위를 밟아내려가야겠다.  

 

   
 

 20대, 30대, 더 배고프고 더 슬퍼도 돼. 그게 나중에 너의 밑거름이 될 거야. 젊으니까 더 힘들어도 돼. 무슨 말인지 알겠지? 

..............................................<본문> 중, 사진작가 김중만씨의 말  

 

잊지 마, 언제든 시작하는 법을 잊지 않는다면 무엇이든 시작할 수 있다는 걸 

...............................................<본문> 중에서  

 

머리가 굵어지면서 깨닫게 된 사실 하나는, 나의 의도와 그들의 받아들이는 해석 사이의 여백.  "난 그런 뜻이 아니었어." "난 그렇게 느꼈는 걸" 

................................................<본문> 중에서 

 

여행을 통해 깨닫는다. 삶은 무엇을 이루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사는 그 자체가 의미있는 것임을, 그리고 여행을 통해 나는 생각한다. 여행이라는 쉼 속에서 빨리 도달 못해 안달하는 나를, 미래를 두려워하는 나를, 어디쯤인지 초조한 나를, 천천히 내려놓기로, 그리고 잊지 많기를. 중요한 건 지금 이 순간이라는 사실을!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