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왜 무너지는가 - 특권과 반칙 극복할 돌파구, 신뢰와 법치에 대하여
정병석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리적으로 저자의 주장을 잘 풀어갑니다. 재밌게 술술 읽히고요. 책 안에 저자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외국 학자들의 저서도 많이 인용되어 있어요. 다른 독서를 위해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합법적 불공정사회 - 세상은 왜 공정해질 수 없는가? 법은 어떻게 우리 사회 불공정을 보호하는가?
우리사회정의 엮음 / 독서일가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여러 명의 저자가 우리 사회에 대해 분석하고 비판한 내용을 합친 것이다. 대표주제로는 정의란 무엇인가이며, 이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 각 계층의 전문가가 모여 쓴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의 시각으로 사회를 볼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조금은 통일적이지 않은 느낌도 들지 않을까 우려할 수 있지만, 대체로 한국을 더 좋은 사회로 만들기 위한 방향으로 글의 주제가 모아 지기 때문에 통합적 사고를 도울 수 있다.

한 명의 저자가 쓴다면, 중요하지 않은 챕터들도 있고, 조금 지루하게 읽을 부분들도 있지만, 여러 명의 저자가 썼기 때문에 자신이 쓰는 짧은 주제의 장들은 부차적인 것은 빼고 핵심적인 것만 쓰려고 한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각 챕터들을 읽을 때 계속 집중하게 되는 것 같다.

이 책의 놀라운 점은 한국의 법체계를 공격한다는 점이다. 법 자체의 폭력성에 대한 데리다를 인용하여 법 자체의 문제점을 공격하는 것은 이해가 된다. 그리고, 법이 사회적 약자를 위하기 보다는 기득권 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으로 근로기준법을 부정의하게 해석한 대법원 판결의 예를 들고 있다. 하지만, 대법원의 법률 해석은 그 법률 자체의 모호성에서 그러한 해석이 나왔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이는 사법의 문제라기 보다는 입법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국회는 이 책에서도 말하고 있지만, 사회적 약자인 을을 대변하기 보다는 갑인 대기업을 대변하는 쪽이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법률 자체가 대기업에 유리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는 모호한 법률이 있기에 법원이 대기업에게 유리하게 판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불공정 사회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나온다. 실천적으로 할 수 있는 것도 있고, 그러한 실천의 배경이 되는 사상, 정치 및 시민 의식에 대한 것도 나온다.

그런데, 책에서 말한 방법보다, 내 생각에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좀 더 이성적인 비판정신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은 왜 무너지는가 - 특권과 반칙 극복할 돌파구, 신뢰와 법치에 대하여
정병석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분석 및 비판의 인문 교양 서적은 한국인 저자보다는 외국인 학자가 쓴 글이 훨씬 깊이가 있고, 객관적인 논증이 돋보인다. 반면에 한국인 저자의 글들은 주관적이며, 비상적인 형태로 분석하고 어슬픈 자신만의 망상적 처방을 내 놓는 경우가 많은데, ‘대한민국은 왜 무너지는가는 이러한 염려가 없이 아주 잘 써진 책이다.




선진국과 다른 외국의 사례와 앞선 연구자, 학자들의 저작 및 주장을 덧붙여 배경 지식을 얻을 뿐 아니라, 저자의 주장에 대한 권위에 의한 근거까지 제공하고 있다. 외국 학자의 책이 좋긴하지만, 번역서를 보게 되면 오역이라던지 자연스럽지 않은 번역으로 인해 이해하기 힘든 경우도 있지만, ‘대한민국은 왜 무너지는가는 한국인 저자가 쓴 글이며, 이해하기 편하게 쓰여져 가독성이 아주 높다.

저자는 대한민국의 위기를 두 가지 점에서 짚고 있는데, 제도와 사회문화가 그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제도보다는 사회 전반의 문화와 구성원들의 인식에 대한 분석을 한다고 하였다. 저자의 전작인 조선에 대한 비판에서 제도적인 문제에 대해 논했기 때문에 현재 대한민국의 문제는 사회문화와 사람들의 인식에 대한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법치와 신뢰를 저자는 강조하고 있는데, 책을 읽으며 굉장히 동의하게 되는 주장이다. 신뢰에 대한 주장은 역사적인 맥락과 외국과의 비교를 통해 저자의 주장에 신빙성을 높여 준다. 또한 지금 우리 사회가 사회적 기득권, 지도층에서 신뢰가 무너진 것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다.

능력주의 사회에 저자의 생각은 조금 동의하기는 힘들지만, 일견 저자의 주장도 의미가 있다. 한국 사회는 아직 능력에 따라 분배가 되지 않는 사회였다는 것은 맞는 말이다. 그런데, 능력에 의한 분배가 되기도 전에 사회 계층에 따른 학벌 사회로 전환되면서 학벌 능력주의 사회로 가고 있는 중이다.

전반적으로 잘 쓰여진 책이며, 한국 사회를 분석하며, 이성적 비판을 위한 여러 논의들이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덟 가지 인생 질문 - 당신이 원하던 길을 가고 있는가?
J. 더글러스 홀러데이 지음, 안종희 옮김 / 마일스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이 원하던 길을 가고 있는가? 라는 질문이 부제로 되어 있는 이 책은 지금까지의 내 삶을 돌아보는 기준표로서, 그리고 앞으로 남은 내 삶의 이정표가 될 수 있는 책으로 읽게 되었다. 삶에 대한 의미는 인류에게 중대한 문제였고, 이러한 주제는 철학적 사고를 통해 여러 철학서에 저술이 되어 있다. 그런데, 철학자, 철학교수도 아닌 MBA교수가 생뚱맞게 이런 책을 쓴 다는 것이 신기했다.

이 책이 묻고 있는 여덟가지 주요 질문은 지금까지 철학자들도 던진 질문이며, 그에 대한 여러 해답을 내 놓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철학자들의 사변적 답변과 다르게, 저자인 더글러스 훌러데이 교수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적으로 우리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숨쉬는 답변을 내 놓았다.

책의 초반부분에 저자가 8살 때부터 아버지의 무신앙적인 태도와는 다르게 기독교적인 신앙으로 세상을 살겠다고 다짐했다는 곳에서 저자의 해답들에 대한 의심이 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책 전반은 기독교적인 인생의 답변이 아니라, 보편적인 인생의 답으로 되어 있다. 어느 정도는...

지금까지의 자신의 삶에 대한 기준표와 앞으로의 이정표에 대한 고민이 있는 사람이라면 가볍게 읽어봐도 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의 우주적 대실수 봄볕교양 2
루카 페리 지음, 투오노 페티나토 그림, 김은정 옮김 / 봄볕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과학사에서 발생한 과학자들의 실수를 재밌있는 일화를 통해 소개하는 책이다.

과학적 실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위대한 과학자의 어리석은 실수가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휼륭한 과학자는 어떤 오류나 실수가 없이 우리가 알고 있는 엄청난 과학적 발견들을 성취했을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그들도 실수를 통해 배웠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어떤 과학자의 실수가 이후에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아인쉬타인의 경우는 이미 유명해진 후에 우주상수라는 개념을 자신의 공식에 넣었는데, 이후 과학적 발견들이 이를 지지하지 않아서인지, 자신이 실수를 했다고 그 상수를 공식에서 지워버렸다. 하지만, 다시 새로운 천문학적 관찰 결과 이러한 우주상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과학자들은 깨닫게 된다. 연역적 사고방식인 수학보다 과학은 수 많은 오류와 실수를 극복하고 발전하는 학문이다.

이 책의 휼륭한 부분은 여러 과학자들의 실수를 일화적으로 보여주는 것도 있지만, 마지막 장에 있는 이러한 실수에 대한 저자의 관점이 말해주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학교 국어나 과학 교과서에 실어도 될 정도로 이러한 실수가 일어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고, 그러한 실수가 유용하다는 것을 설득하고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면 읽을 수 있지만, 책 내용은 전문적이고 어려운 부분도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