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뱀>
 

김재혁

뱀의 몸뚱어리
비늘 하나 하나에 새겨진
땅과 하늘의
고통과 아름다움,
그 비늘 한 조각을 떼어내
책갈피에 끼우면,
논두렁 사이로 풍겨오는 비린내,

그 한 조각을 몸에 박고
책장 사이를 기어다닌다,
모든 문자를 배로 문지르며
오색찬란한 뱀으로의
환생을 꿈꾸는
나는,


김재혁 시집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에서

 

---------------------------

1

시인이 1999년에 낸 첫시집에 수록된 시다.

누군가의 젊은 날의 꿈을,

그것도 이뤄가고 있는 실현의 도정을 들여다보는 마음은 흐뭇하다.

 

머리에 하늘을 이고 온 땅을 배로 기어다니면서

세상의 고통과 아름다움을 비늘에 새기는 뱀을

은유어로 내세워, 시의 화자는 빛나는 시인이 되고자 하는

자신의 꿈을 말한다.

그가 살면서 섭렵한 모든 문자를 어루만지고 조탁해

땅과 하늘, 다시 말해 세상 모든 것들의 고통과 아름다움을

비늘처럼 편편이 시로 형상화하는-새기는- 그런 시인!

그리하여, 온 삶이 찬란히 빛을 발하는 시로 모자이크된 시인!

 

감히 말하건대, 이 시는 그 빛나는 한 조각이다.

시인과 뱀을 연결시켜 하나의 시적 알레고리를 만든 시적 발상은 놀랍다.

더우기 알레고리적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도 '한 편의 살아있는 그림'을 보는 듯한 조형적 형상화도 탁월하다. 이런 그만의  독창적 스타일이 젊은 날의 시에서 발아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시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데에 의미로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不是再见>



我们告别了两年
告别的结果
总是再见
今夜,你真是要走了
真的走了,不是再见

还需要什么?
手凉凉的,没有手绢
是信么?信?
在那个纸叠的世界里
有一座我们的花园

我们曾在花园里游玩
在干净的台阶上画着图案
我们和图案一起跳舞
跳着,忘记了天是黑的
巨大的火星还在缓缓旋转

现在,还是让火焰读完吧
它明亮地微笑着
多么温暖
我多想你再看我一下
然而,没有,烟在飘散

你走吧,爱还没有烧完
路还可以看见
走吧,越走越远
当一切在虫鸣中消失
你就会看见黎明的栅栏

请打开那栅栏的门扇
静静地站着,站着
像花朵那样安眠
你将在静默中得到太阳
得到太阳,这就是我的祝愿

 

----------------------------

* 옮겨 봅니다.

 

우리들이 이별의 뜻을 전한 지 두 해가 흘렀다.

고별의 결과는

으례 안녕을 고하는 결별로 끝나지.

오늘 밤,  너는 곧 떠나야 하고,

이제 정말 떠났다. 하지만 난 안녕이라고 하진 않겠다.

 

떠날 때 뭐가 더 필요하지?

손은 차가왔고 손수건은 없었다.

편지는? 아, 편지가 있었지.

그 접혀진 종이의 세상 속에

우리들의 화원이 그려져 있었다.

 

우리가 이전에 그 꽃밭에서 놀 때는

깨끗한 층계위에 그림을 그렸었지.

우리와 우리가 그린 그림은 어울려 춤을 추었고,

춤추다가 하늘이 어두워진 것도 잊었다.

거대한 화성이 천천이 우리 위를 돌고 있다는 것도.

 

지금 아직도  불꽃은 타오르고 있다.

밝게 미소지으며 아주 따뜻하게.

나는 깊이 생각한다. 네가 다시 나를 만나러 올거라고,

그래서 연기처럼 바람에 흩어지진 않을 거라고.

 

떠나거라, 사랑이 아직 완전히 불타버리지 않아

길을 아직 알아 볼 수 있을 때.

떠나거라, 길은 가면 갈수록 멀어질테니.

모든 것이 벌레울음 소리에 사라질 때야

너는 곧 새벽의 울타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부디 그 울타리의 문짝을 열고

조용 조용히 서 있어라.

꽃 송이가 달디 달게 잠자는 것 처럼 서 있으면

곧 고요한 침묵 속에서 태양빛이 너에게 가리라.

태양을 얻어라, 이는  너를 보내는 나의 축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Erinnerung (Eduard Mörike)


An C. N.

Jenes war zum letztenmale,
Dass ich mit dir ging, o Claerchen!
Ja, das war das letztemal,
Dass wir uns wie Kinder freuten.

Als wir eines Tages eilig
Durch die breiten, sonnenhellen,
Regnerischen Strassen, unter
Einem Schirm geborgen, liefen;
Beide heimlich eingeschlossen
Wie in einem Feenstuebchen,
Endlich einmal Arm in Arme!

Wenig wagten wir zu reden,
Denn das Herz schlug zu gewaltig,
Beide merkten wir es schweigend,
Und ein jedes schob im stillen
Des Gesichtes gluehnde Roete
Auf den Widerschein des Schirmes.
Ach, ein Engel warst du da!
Wie du auf den Boden immer
Blicktest, und die blonden Locken
Um den hellen Nacken fielen.

"Jetzt ist wohl ein Regenbogen
Hinter uns am Himmel", sagt ich,
"Und die Wachtel dort im Fenster,
Deucht mir, schlaegt noch eins so froh!"

Und im Weitergehen dacht ich
Unsrer ersten Jugendspiele,
Dachte an dein heimatliches
Dorf und seine tausend Freuden.
- "Weisst du auch noch", frug ich dich,
"Nachbar Buettnermeisters Hoefchen,
Wo die grossen Kufen lagen,
Drin wir sonntags nach Mittag uns
Immer haeuslich niederliessen,
Plauderten, Geschichten lasen,
Waehrend drueben in der Kirche
Kinderlehre war - (ich hoere
Heute noch den Ton der Orgel
Durch die Stille ringsumher):
Sage, lesen wir nicht einmal
Wieder wie zu jenen Zeiten
- Just nicht in der Kufe, mein ich -
Den beliebten Robinson?"

Und du laecheltest und bogest
Mit mir um die letzte Ecke.
Und ich bat dich um ein Roeschen,
Das du an der Brust getragen,
Und mit scheuen Augen schnelle
Reichtest du mirs hin im Gehen:
Zitternd hob ichs an die Lippen,
Kuesst es bruenstig zwei- und dreimal;
Niemand konnte dessen spotten,
Keine Seele hats gesehen,
Und du selber sahst es nicht.

Dieses war zum letztenmale,
Dass ich mit dir ging, o Claerchen!
Ja, das war das letztemal,
Dass wir uns wie Kinder freuten.

우리말로 옮겨봅니다.



그것이 마지막이었구나.
내가 너와 함께 걸었던, 클레첸이여!
그래, 그것이 마지막이었지.
우리가 어린애처럼 즐거웠던 것은.


그날 우리는 눈부신 햇빛 아래

소나기 오는 넓은 거리들을  

함께 부지런히 달렸지

비를 피하려 한 우산을 쓰고

몸을 바싹 붙이고 아늑하게.
마치 요정의 방안에 있는 것처럼.
음, 드디어 팔짱을 꼈었지

우리가 무슨 말을 할 수 있었겠는가 
우리 둘 심장이 그리 거세게 뛰고있는데!

둘 다 그것을 느꼈지만 말하진 않았지.
그리고 각자  자기 얼굴에 피어나는 홍조를
우산에 비쳐든 햇살 탓이라 돌리면서.

아! 그때 너는 천사였다!

고개 수그리고 땅만 내려다 보던 너.

하얀 목덜미에 굽슬거리던 황금빛 머리칼.

내가 말했던가!

 

"아마 우리 등 뒤의 하늘엔 틀림없이 무지개가 걸려있을거야.

그리고 거기 저 창가엔 기쁨에 넘쳐

메추리가 여러 번 울었던 것도 같아 "


그때 함께 걸으면서 나는 생각했지.

어린시절 우리가 처음 하던 장난을.

네가 자란 고향마을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그 기쁨을. 
"아직 기억하고 있을테지" 내가 네게 물었었지.

"큰 통들이 뒹굴던

이웃집 뷔트너마이스터네의 작은 뜰을.

일요일 오후면 거기 통안에 들어가

편안한 방처럼 즐겁게 얘기하고 책을 읽었잖아.

그사이 일요교회학교가  끝났지.

(나는 듣는다. 우리를 둘러싼 고요속에서

그때 그 오르간 소리를)

그래, 둘이 다시 한 번 그때처럼

책을 읽을까, 꼭 통안이 아니더라도 좋아,

우리 둘다 좋아하는 로빈슨 이야기를 읽자."

 

대답 대신 넌 미소를 지으며,

나와 함께 마지막 모퉁이 길을 돌아갔지

그때 나는 네가슴에 꽂혀있는 작은 장미를

달라 하였고, 넌 수줍은 눈길로 재빨리 그꽃을 내게

내밀고 떠났다.

떨리는 손길로 나는 그 꽃을 입술로 가져가

두번 세번 강렬하게 입을 맞추었지.

누구도 그것을 비웃지 않았고,

아무도 그것을 보지 못했고,

너조차도 그것을 보지 못했지.

기억해보렴, 너를 바래주어야 했던

그 낯선 집 앞에 멈춰서서

나, 너의 손을 잡았지.

 

그것이 마지막이었구나.
내가 너와 함께 걸었던, 클레첸이여!
그래, 그것이 마지막이었지.
우리가 어린애처럼 즐거웠던 것은.

 

--------------------------------

 

 

곽명규 소설가의 소설집 <<사랑의 기쁨과 슬픔>>에 실린  중편 소설 <사랑의 뿌리>를 읽으면서

뫼리케의 이 시가 생각났습니다.

황순원의 "소나기" , 영화 "건축학개론"도 떠오르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Marriage 결혼

By Robert Creeley 1926–2005 Robert Creeley

The first retainer   
he gave to her   
was a golden
wedding ring.

The second—late at night   
he woke up,
leaned over on an elbow,   
and kissed her.

The third and the last—
he died with
and gave up loving
and lived with her.
 
옮겨 봅니다
 
<결혼>
 
그는 첫 의뢰비로
그녀에게
황금 결혼반지를 바쳤다.
 
두번째 의뢰비로,
밤늦도록 자지않고,
팔꿈치에 기대어
그녀에게 키스하였다.
 
세번째이자 마지막 의뢰비로,
죽어서 함께 누워야했다.
사랑을 포기하고
그녀와 살다가.
 
 
---------------------------
 
풍자가 돋보이는 시. 간결한 시어.
미국 시인 중 내가 좋아하는 시인 로버트 크릴리...릴케가 죽은 다음해에 태어나 2005년에 사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하서 김인후에 관한 역사서 <대숲에 앉아 천명도를 그리네>(백승종저, 돌베개)를 읽다가 위의 挽詞를 발견했습니다.

16세기 조선의 시인이자 성리학자였던 하서 선생이 부인을 사별한 친구를 위해 써 준 애도시입니다.

저자의 번역이 좋아 그대로 옮기고,어미만 몇 자 고쳤습니다. (같은 책, 84쪽)

 

當時結髮共靑春。牛女何期參與辰。惆悵百年經苦樂。只今還是夢中身。

其二
鶴髮偏親襁褓兒。春風三十落花飛。空餘壁上靑鸞鏡。不減從前明月輝。

출처: 河西先生全集卷之七   七言絶句  < 挽李适室 >(a_033_151d)

 

 

결발(結髮: 결혼)할 땐 모두가 청춘이었지.

견우 직녀 헤어질 줄 누가 알았을까.

슬프다! 백년 괴로움 즐거움 다 겪더니,

이제 와 꿈속의 몸이 되었어라.

 

학발(鶴髮: 흰머리)의 시아버님, 강보에 누운 아기

삼십이라, 봄바람에 꽃잎 날아 떨어졌네.

속절없다, 홀로 남은 벽에 걸린 청란 거울

밝은 달은  예처럼 빛나건만.

 

* 청란(菁鸞)은 부부 사이를 상징하는 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