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의 필생의, 눈부신 친구가 되는, 저 벅차고도 서늘한 우정의 과업을 놀랍도록 잘 포착한 소설!! 서정적 심미감은 서정적 문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깊은 시선에서 나오는 것임을 이 책을 읽으며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베리우스 치하의 전제정치: 법의 탈을 쓰고 행해지는 전제정치/몽테스키외 

 

"로마에는 국민에게 위해를 가하는 자들을 처벌하는 몇가지 불경죄에 관한 법이 있었다. 티베리우스는 이법을 교묘하게 잘 이용한 경우였다. 그는 이 법의 본래의 취지를 넘어서서, 자신의 증오심이나 불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면 우엇에나 적용했다. 비단 어떤 행위 뿐만 아니라 말이나 몸짓, 심지어 사상까지도 이 법의 적용범위에 포함되었다. 친구 사이의 대화에서 감정을 토로하는 데 뱉어진 말조차 사상으로 간주되었다. 그리하여 향연의 자유는 물론 혈연 사이의 신뢰, 노예의 충성심마저 더이상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군주의 기만과 우울증이 모든 곳으로 확산되었고, 우정은 위험한 것으로, 솔직함은 무모함으로, 미덕은 민중의 마음 속에서 지난 시절의 행복을 상기시키는 애착쯤으로만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법의 탈을 쓰고 정의의 색을 입혀서 행해지는 전제정치만큼 잔인한 것은 없다. 이는 뗏목 덕에 목숨을 건진 불쌍한 이들을 그 위에서 다시 밀쳐 버리는 것과 다를 바 없다"(몽테스키외, <<로마의 성공,로마제국의 실패 >>, 김미선 옮김, 사이, 2013, 199-200쪽)

 

-----------------------------------

 

1.

 

이 책은 몽테스키외로 하여금 <<법의 정신>>을 쓰게 한 모티브가 된 책이다. 로마의 멸망에 대한 정치사상가의 총체적 보고서. 개별 사료보다는 전체를 조망하는 방식으로, 역사가와는 다른 통찰의 눈으로 로마시대를 해석했다. 역사학자 뿐만 아니라 세정과 인정의 기미, 즉 인간을 해석하는 데도 훌륭한 책이다. 수상록을 읽는 기분.

 

몽테스키외는 로마제국의 멸망이 너무 이른 성공, 즉 번영에 있다고 보았다. 정복과 팽창의 속도가 빨라 관리와 지속의 체제로 미처 법을 바꾸지 못한 데에 그 원인이 있다 하였다. 정복의 법과 유지의 법은 달라야 한다!

 

오늘은 그가 쓴 <<로마의 성공,로마제국의 실패 >>를 읽다가 티베리우스의 전제정치를 설명한 부분이 그냥 읽혀지지 않아서 소개한다. 왜 멈추게 되었을까?  불경죄는 무슨 법과 닮아 있다.

 

전제정치를 효율적으로 돌아가게 하는 장치는 "두려움의 조장"이다. 독재는 공포를 먹고 자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터 벤야민...사랑이 싹트는 둥지(배경으로서의 공간) , 그리고 베껴쓰기

 

 

"사랑이 싹트는 둥지"(제가 임의적으로 붙인 제목)

 

원제: <알리는 말씀: 우리 모두 산림을 보호합시다> 중 일부

 

번역1

 

"사랑하는 남자는 연인의 '결점'에만, 여자의 변덕과 약점에만 애착을 갖는 것은 아니다.

얼굴의 주름, 기미, 낡아빠진 옷과 비뜰어진 걸음걸이가 모든 아름다움보다 훨씬 더 지속적으로  그리고 집요하게 그를 사로잡는다. 그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다.그렇다면 왜?

감각은 머릿속에 둥지를 트는 것이 아니며, 우리는 창문, 구름, 나무를 뇌가 아니라 오히려 우리가 그것을 보는 장소에서 느낀다는 설이 있는데 , 그러한 주장이 옳다면, 우리는 애인을 바라볼 때도 우리 외부에 있게 된다. 하지만 고통스러울 정도로 긴장하며 완전히 마음을 빼앗긴 채, 현혹된 우리의 감각은

여자의 광휘를 새들 무리처럼 빙빙돈다.  그리고 새들이 잎이 무성한 나무의 은신처에서 보호처를 찾듯이 온갖 감각은 애인의 육체의 그늘진 주름 , 품위없는 동작, 눈에 잘 띄지않는 결점 속으로 도피해 그곳에서 안전하게 은신처에 몸을 숨긴다. 그리고 그저 스쳐 지나가는 사람은 바로 이곳, 즉 결점이 있는 곳, 비난받을 만한 곳에 한 여자를 숭배하는 남자의 화살처럼 빠른 연정이 둥지를 튼다는 사실을 짐작조차 하지 못할 것이다."

 

(출처: <알리는 말씀: 우리 모두 산림을 보호합시다>,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 조형준 역, 새물결, 2007, 33쪽)

 

번역 2

 

 

사랑하는 사람은 애인의 '실수', 여성스러운 변덕이나 약점에만 연연해하지 않는다. 어떠한 아름다움보다 그의 마음을 더욱 더 오래, 더욱 더 사정 없이 붙잡는 것은 얼굴의 주름살, 기미, 낡은 옷, 그리고 기울어진 걸음걸이이다. 우리는 이를 이미 오래전에 경험했다. 어째서인가? 감정은 머리에 깃들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학설이 맞는다면, 또한 창문, 구름, 나무에 대한 우리의 감정은 머릿속이 아니라 그것들을 본 장소에 깃들어 있다는 학설이 맞는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애인을 바라보는 순간 우리 자신을 벗어난 곳에 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곳에서 우리는 고통스러울 정도의 긴장과 환희를 느낀다. 감정은 여인의 광채에 눈이 부셔서 새떼처럼 푸드득거린다. 그리고 잎으로 가려진 나무의 우묵한 곳에 은신처를 찾는 새처럼 감정은 사랑하는 육체의 그늘진 주름살, 투박한 몸짓, 그리고 눈에 잘 띄지 않는 결점을 찾아 그 안에 숨어 들어가 안전하게 은신처 안에서 몸을 움츠린다. 사모하는 사람에게 순식간에 일어나는 사랑의 떨림은 바로 거기, 결점이 되고 비난거리가 될 만한 것 안에 둥우리를 틀고 있다는 사실을, 지나가는 사람은 아무도 알아채지 못한다.  (<<일방통행로>>,최성만 외 역, 길,  )

 

----------------------

1.

이 짧은 단상의 제목이 왜 '산림을 보호하자'일까요. 우리가 사랑을 느끼는 곳이 우리 내부의 뇌가 아니라 우리의 감각이며, 타인을 바라볼 때조차도 본래의 모습보다 외부적 요소와 결합된 배경 속 모습에 더 현혹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렇듯이 '산림을 보호하는 것'도 우리가 무언가를 더 잘 느끼게 하는 그런 배경 공간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일 수 있지요. 같은 사람도  상이한 공간적 배경 속에서는 다르게 느껴지니까요? 연인의 옷도 걸음걸이도 주름도 기미도 다 일종의 그녀 바깥의 공간적 배경이지요. 우리는 주관적인 것에 진정성을 부여하는 습관에 물들어있지만 진정성이 발휘하는 곳이 꼭 내면공간만은 아니란 이야길 벤야민은 하고 싶었나 봅니다.

 

사랑이 싹트는 둥지가 결점이 있는 곳, 비난받을 만한 곳이란 말은 참 시사적입니다. 어쩌면 관계 속에서 내가 작용할 공간이 확보되는 곳을 원하는지도 모르지요. 또 대저 약점이 있는 곳에 바로 그 장점이 숨겨져 있는 법이기도 하고요!! 아무도 모르는, 세밀히 들여다 보고 사랑하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그런 그녀  혹은 그의 고유성!

 

2. 발터 벤야민은 텍스트를 베껴쓰는 일을 강조했어요. 그는 텍스트를 그냥 읽는 것과 베껴쓰는 것의 차이는 시골길을 비행기를 타고 풍경의 일부로 보느냐 아니면 걸어가면서 굽이굽이 펼쳐진 길의 멋진 조망을 세세히 맛보느냐의 차이와 같다는 것이죠. "베껴 슨 텍스트만이 그것에 몰두한 사람의 영혼에게 호령할 수 있는 반면, (텍스트에 의해 열린) 단순한 독자는 자기 내면의 새로운 광경들, 계속 다시 빽빽해지는 내면의 원시림 사이로 나 있는 길을 결코 찾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저 읽기만 하는 사람은 몽상의 자유로운 하늘을 떠돌며자아의 움직임을 따르지만 베껴적는 사람은 그러한 움직임에 호령하기 때문이다."(같은 책,27쪽) . 그런 맥락에서 벤야민은 중국 서적의 필사전통을 중국 문예문화에 공헌한, 중국 문화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라 보았고, 그 필사본들을 '중국의 공예품'이라 보았죠.

 

3.

저 역시 베껴 써보았어요!! 벤야민의 뜻에 따라, 그의 글에 대한 경의로!!

작가 김훈은 훌륭한 문장을 쓰려면 좋은 문장을 많이 외워야 한다고 하였어요. '문장을 외우는 것', 이 역시 '입으로 베껴쓰기' 이죠. 외우면서 되새김질 하는 것! 텍스트 원저자의 생각 속을 걸어서 갖고 나온 글들을 다시 내 생각 속으로 넣어 굴리는 일. 어쩌면 "번역"도 그런 것이겠지요. 그래서 베껴쓰기를 좋아한  벤야민이  그의 번역이론에서 수용자인 독자보다 원저자의 의도를 더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국유의 번역: "무릇 인생에서 우리를 슬프게 한 것이 예술에선 즐겨 감상할만한 것이 된다."

 

 

 

 

 

 

 

 

 

 

 

 

 

 

 

 

1.

어떤 분이 뷔르거의 이 시를 왕국유가 번역한 것을 놓고 원문보다 더 훌륭한 번역이라 하였어요.

왕국유는 뷔르거의 시를 뜻을 다치지 않고 시경에서 쓰는 문장형식을 빌어서 다시 쓴 것입니다.

이 또한 번역이지만 , 형식미를 본다면 새로운 작품이기도 하지요.

 

Gottfried August Bürger는 18세기 독일 발라드 시의 창시자로 알려졌지요. 뱀파이어를 등장시킨 시를 썼답니다.

 

"Ye wise men, highly, deeply learned,
Who think it out and know,
How, when, and where do all things pair?
Why do they kiss and love?
Ye men of lofty wisdom, say
What happened to me then;
Search out and tell me where, how, when,
And why it happened thus."


 - BURGER

 

嗟汝哲人,靡所不知,靡所不学,既深且跻。粲粲生物,罔不匹俦。各啮厥齿,而相厥攸。匪汝哲人,孰知其故。自何时始,来自何处?
  嗟汝哲人,渊渊其知。相彼百昌,奚而熙熙?愿言哲人,诏余其故。自何时始,来自何处?  (译文)/왕국유 번역

                                                          ————王國維先生《紅樓夢評論》

 

높고 심오한 지식을 지닌 철인들이여,

궁리해서 알려주세요.

만물들은 어떻게, 언제, 어디에서 짝을 짓는 걸까요?

왜 그들은 입맞추고 사랑할까요?

고귀한 지혜를 지닌 현자들이여,

말해주세요.

그때 무슨 일이 내게 일어났는가요?

어디에서, 어떻게, 왜 일이 그렇게 일어났는지를

알아내서 알려주세요.(tr by me)

 

----------------------------------------------

 

http://yanruojiangcheng.blog.hexun.com.tw/3362308_d.html

왕국유의 <<홍루몽평론 >>

 

Gottfried August Bürger의 시를 왕국유는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영문본에서 가져왔다. 실제 이 시가 원문에 있었는지 편집자나 번역자가 덧댓는지는 불명확...독어본을 봐야 암. 다른 영역본에는 없다.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Supplements to the Third Book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by Arthur Schopenhauer, translated by R B Haldane and J. Kemp  출처: 위키피디아 아랫부분 링크

--------------------------

 

2. 우아미와 숭고미

 

"무릇 인생에서 우리를 슬프게 한 것이 예술에선 즐겨 감상할만한 것이 된다."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인용된 괴테의 비유적 시를

왕국유가 <<홍루몽평전>>에서 재인용한 것입니다. 왕국유는 이를 '우아미'와 대비하여 '숭고미'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했지요. "말하자면 숭고미란 사물과 나의 관계를 잊고 즐거워하는 것으로, 이는 우아미에는 없는 것이다. 바로 이점이 이 두 미를 구별짓는 것이다. "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우아미는 사물과 나의 관계에서 긴장이 없습니다. 주객관이 저절로 일치하는것이죠. 저절로 아름답다고 여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당연히 아름다운 것이죠. 객관의 미는 우아미입니다. 아무런 되새김질 없이 누구나 인정하는 미. 물론 우아미에서도  숭고함을 느낄 수 있지만 그것은 미미한 정도고 낮은 차원의 숭고미입니다. 그러나 숭고미는 어떤 대상이 객관적으로가 아니라 자신의 주관적 수용을 거쳐 다시 아름다움으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객관과 주관의 거리가 멀수록 숭고미는 커지죠. 우아미에는 추의 미가 없지만 숭고미에는 '추의 미'가 있는 거지요!! 슬픔의 미, 슬픔의 즐거움도 그렇고요.

이것을 왕국유는 '경계'로 설명했어요. 한마디로 경계내의 미는 '우아미優美'이고, 경계를 넘나드는, 한 경계에서 다른 경계로 이륙하는 미는 '숭고미 壯美' 이지요! 인용문처럼 대상에 대한 자신의 슬픔을 잊고 기쁨으로의 경지까지 드높여지는 미", 단순한 초월이 아니라 내적 수용을 통해 승화시킨 미, 압도적 상태에서 대상에 대한 슬픔-관계-를 망각한 미...이런 게 숭고미라 본 거지요.

 

" 千復格代之詩曰:

    What in life doth only grieve us.
    That in art we gladly see.

 

凡人生中足以使人悲者,於美術中則吾人樂而觀之。此之謂也。此即所謂壯美之情,

而其快樂存於使人忘物我之關系,則固與優美無以異也

 

영문번역판:  "What in life doth only grieve us, That in art we gladly see."

 

원문:: "Was im Leben uns verdrießt, Man im Bilde gern genießt."---괴테/원문

원출처 : Parabolisch. [411] Was im Leben uns verdrießt,. Man im Bilde gern genießt[411]  

http://en.wikisource.org/wiki/The_World_as_Will_and_Representation/Supplements_

to_the_Third_Book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독일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둣방의 송곳처럼 펜은 쓰면 쓸수록 날카로워지고, 이윽고 수놓는 바늘처럼 예리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인간의 사상은 더욱더  모난 데가 없어져 간다. 

낮은 산에서 높은 봉으로 올라가면서 바라보는 경치처럼.

 

저작자가 한 사람을 증오하고 그 사람에 대해 통렬한 논란의 붓을 들고 있더라도,

만일 아직 그 사람의 좋은 면을 보고 있지 않다면 다시 한 번 붓을 놓아야 한다.

그에게는 아직 논란할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임어당, <<생활의 발견>>, 박병진 옮김, 육문사, 2007

 

---------------------

왕국유의 六不과 함께 나를 찌른 임어당의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