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빈치 코드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이창식 번역 감수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말 많고 탈 많은 다빈치 코드

장기간 최고의 베스트 셀러였고 수많은 작품평과 논란을 일으켰던 그 책을 드디어 읽었다.

유명서점의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는 책은 왠지 모르게 거부감이 들어서

선뜻 손에 잡지 못하는 이상한 책에 대한 입맛을 가진 내가 이 책을 읽은 계기는

다니던 영어학원의 학원등록하면 사은품으로 이 책을 주는 행사때문이었다.

평소 추리소설을 좋아라 하는 편인 나로서는 뭐 별 거부감없이 읽기 시작했고

끝까지 지루하지 않게 잘 읽었다.

 

너무 많은 얘기를 들어서, 너무 많은 조명을 받은 책이라

어떤 내용이었어도 그 기대치를 완벽히 채울순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읽는 이를 꽤 빨아들이는 초중반부에 비해 결말부분은 너무하다 싶은 느낌이 들었다.

전체적으로 재밌었고 꽤 흥미롭게 읽은건 사실이다.

 

하지만 이현세의 '남벌'이란 만화를 보면서 그랬듯이

너무 크게 벌려놓은 이야기를 어떻게 수습할지 당황하는 작가의 모습이 왠지 떠오른건

나만의 너무 지나친 비약인가? ^^;

특히 마지막에 총을 겨눈 적과 성물을 손에 든 주인공의 대치 장면에서

그 해결과정은 너무 허무하고 어이가 없었다. - -;

 

워낙 부풀려진 기대치에 비해 그 포스가 좀 약하긴 했지만 사실 읽은 시간이 아깝지는 않은

괜찮은 수작이라고 본다.  다시한번 느끼지만 이미 확 떠버려서 집중조명을 받고 있는 거라면

그것이 영화든 책이든 음악이든 뒤늦게 막차타는건 정말이지 불만스러운 일이다.

재밌게 즐기고서도 입에서는 나도 모르게 투덜거림이 나오니 말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5-02-24 1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제목이 아주 멋지군요. 무슨 예언서 같아요^^ 전 시종 재미없게 봤어요. 끝을 보고 역시나 했었던 기억도..

마태우스 2005-02-24 1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래도 우연이 너무 많이 남발되어서 시큰둥했던 것 같습니다. 제가 우연적인 상황설정을 아주 싫어하거든요.

maverick 2005-02-24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도 마태님의 실망을 만회하듯 마지막에 남주인공이 여주인공에 작업 들어가긴 하던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