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지 3 - 1부 3권 ㅣ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3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3부의 가장 큰 이슈는 평산리에 역병이 돌아 윤씨부인,
봉순네, 강청댁, 김서방, 문의원 등이 사망한 일이고, 두 번째 이슈는 조준구가 서울에서 가족을
데리고 낙향한 사건이다. 20권 중 이제 3권 읽었는데 이야기의
전개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것 같다. 서희에게 도움을 주는 인물들이 대거 제거 되면서 앞으로 조준구의
비열하고 역겨운 행동들이 전개될 것이다. 초록은 동색이라고 조준구 부부는 하나에서 열까지 닮았다. 아니 그의 아내 홍씨는 조준구를 능가하는 뻔뻔함을 소유하고 있다.
이제 서희를 도와줄 인물은 다리를 다친 수동과 어린 길상이와 봉순이 뿐이다.
평산과 칠성은 처형이 되었고 귀녀는 뱃속 아이 때문에 출산 때까지 생명이 연장되었다. 강포수의 지고지순한 사랑에 귀녀도 마침에 강포수의 마음을 알게 되고 뒤늦게 후회 하지만 되돌릴 수 없음을 안타까워
한다. 귀녀는 옥에서 아들을 출산한 후 처형되고 강포수는 아이를 데리고 멀리 사라진다.
칠성의 죽음으로 임이네는 아이 셋을 데리고 마을을 떠났으나 아무 곳에서도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마을로 돌아왔으나 반기는 이 하나 없었다. 하지만 용이만이 그를 불쌍히 여겨 돌봐주다 결국 아들을
낳게 된다. 강청댁이 살아 있을 때부터 임이네와 관계를 맺었으므로 요즘으로 치면 간통을 한 것이다. 용이에게 훌륭한 면도 있지만 여자 관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없다.
양반도 아니고 넉넉한 재산을 지니지도 않았으면서 만인의 연인이 되려는 몹쓸 사람으로 비춰진다. 아마도
추후 월선이와도 같이 살게 될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물론 강청댁이 살갑게 대하지는 않았지만 용이가
싫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용이의 바람끼 때문에 강짜를 부른 것이다. 강청댁도 한 많은 세상에 태어나
사랑 받지도 못하고 젊은 나이에 운명을 달리한 피해자인 것이다.
최참판댁의 하인 중 눈에 거슬리는 이는 삼수이다. 하인이라
하여 주인집에 무조건 적인 충성을 강요할 순 없지만 주인에게 음해를 가하는 것은 사람으로 도리가 아닐 텐데.....
가솔들이 똘똘 뭉쳐 서희를 보호하고 조준구에게 틈을 주지 않았으면 이것과 다른 이야기가 전개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최참판댁의 하인들을 보면 인간의 심리를 잘 묘사 한 것 같다. 삼월이도 조준구에게 처음엔 당했지만 이후엔 그와 어떻게든 연결하려는 행태를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어려운 일이 발생했을 때 나만 아니면 된다는 생각 또는 나만 잘되려는 생각
........... 이런 생각들은 결국 같이 망하는 지름 길인데
월선이는 간도에서 숙모와 국밥집을 해서 많은 돈을 벌어 고향으로 돌아와서 용이와 재회한다. 강청댁이 죽었지만 임이네가 용이 아들을 출산해서 그 틈을 뒤지고 들어갈 수 없음을 확인하고 낙심하지만 용이와의
만남은 지속한다.
삼월이는 준구와 관계를 하다 홍씨에게 발각되어 초 죽음이 되도록 맞지만 죽지 않고 살아
난다.
조준구와 삼수의 흉계로 마을사람들을 이간질 시키자 수동과 길상은 서희를 부추겨 고방을
털어 마을 사람들에게 기민 쌀을 풀었다. 이때 동참한 젊은이들은 윤보와 용이, 영팔이, 한조, 달수였다. 향후 이들의 행동이 어떤 형태로 의롭게 전개될 것인지 궁금하다.
평산리에 일본 헌병이 등장하고 순검을 하기 위해 농노들이 적게는 몇 백 냥 많게는 몇
천냥씩 들인다는 것으로 봐서 머지 않아 평산리에도 일본 놈들의 횡포가 시작될 날이 머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
김훈장이 조준구와 담소에서 거론되는 사단칠정과 이와 기, 호론, 낙론을 알아보자.
사단은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선천적인 마음씨로 측은지심(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자신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겸손하여 남에게 양보하는 마음), 시비지심(잘잘못을 분별하여 가리는 마음)이고,
칠정은 인간의 본성이 사물을 접하면서 나타나는 인간의 자연적인 감정으로 기쁨, 노여움, 슬픔, 두려움, 사랑, 미움, 욕망을 말하는 것이다. 4단은
맹자의 실천도덕으로 이황은 이를 理에서 나오는 마음이라고 하였고, 7정은 예기와 중용에서 나오는데 이는
氣에서 나오는 것이라 하였다. 이황은 이기이원론을 주장하며 기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으며 현실을
이루는 구체적 물질로 보았고, 이는 존재의 본질로 기의 존재를 가능케하는 시공간적 초월로 보아 인간은
이를 통해 기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기대승과 서경덕은 이와 기는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서로 떨어지지 않으니 다른 물건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성리학자 다운 논쟁인 듯 하다. 정의라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한 일이지 알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듯 싶은데 그 분들은 그것이 중요했었나 보다 7년 동안이나 논쟁을 했다고 하니.
호론 낙론은 조선 후기 노론 계통의 학자들 사이에서 사람과 사물의 성이 같은가 다른가를
놓고 벌였던 논쟁으로 인물성이론을 주장한 한원진의 견해에 동조하는 호서(충청도)지방 학자들과 인물성동론을 주장한 이간의 견해에 동조하는 낙하(서울)지방 학자들간의 논쟁을 말한다. 모든 사물에 정신이 있다면 이가 있다는
낙론과 인간에게만 이가 있다는 호론 간의 논쟁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토지가 좋은 책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이렇게 역사를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