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 - 18세기 조선경제학자들의 부국론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이책은 우선 조선 선비=경제학자라는 방정식이 왠지 성립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차에, 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이라는 제목에 끌리게 되었다.
한정주 작가님이 서론에 밝혔듯이 경제학자와 경제 이론이라고 하면 '서양'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국민들의 무지보다는 교육과정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우리나라에는 경제는 거의 전무하다고 배워왔기 때문이다.
이것도 무리가 아닌것은 조선시대는 "농본상말론"과 "사농공상"의 신분제도가 엄연히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기본이 농업이었던 점에서 충분히 이해가 가는 편이지만, 반도국가의 지리적 위치와 비교해 보아서는 조금 의아한 제도이다.
이책은 크게 종농주의와 중상주의로 나뉘어 설명하고 있는 듯 하다.
정약용, 유형원, 이익으로 대변되는 토지개혁을 주장하는 중농학파와
박제가 유수원 박지원으로 대변되는 상업활동 강화하자는 중상학파이다.
이책의 두 파를 요약해 보면, 중농학파는 토지개혁, 토지분배와 자영농의 육성, 국가통제하의 상공업 발달을 주장하였고, 중상학파는 상공업의 발전, 상업적 농업경영과 부농의 확산, 자유로운 상공업 발전과 해외 통상을 주장하였다고 할수 있다.
극단적으로 중농학파와 중상학파로 나뉘는 몇몇 학자들도 있었으나,
특히 채제공과 이지암등은 어느 한 학파에 치우치기 보다는 중용의 이론의 제안한 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워낙 유명한 학자들의 등장에 눈이 휘둥그레 지기도 하지만,
난 이책을 통해 잘 모르던 학자와의 만남이 더욱 즐거웠고,
그 학자들의 사상과 이론에 더욱 매료되었다.
그중 한면이 채제공이었다.
안타깝게 신유박해로 채제공의 사상이 후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지만,
그의 사상은 매우 혁신적이었고, 추진력도 대단하였다.
시장과 상업활동의 자유를 옹호하면서도, 경제 신도시 화성을 건설한 그의 업적은 매우 놀라웠다.
채제공 뿐만 아니라, 이중환 역시 정말 대단한 업적을 남겼다.
사실 중상주의와 중농주의를 아무리 외쳐보았자,
논과 밭이 없는 곳에서의 중농주의는 무의미한 외침이며, 논과 밭이 비옥하나, 교류가 어려운 곳에서는 중상주의는 메아리와 같다.
그는 택리지를 통해 사회 양극화와 지역 불균형의 해법을 제시하였으며,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지리적 조건, 환경과 사회, 경제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의 안타까운 운명으로 단순 지리서로만 취급되는 아픔이 정말 안타까웠다.
또한 서유구의 임원 경제지는 너무 놀라웠다.
농업과 일상의 경제학을 113권 52책, 250만자로 일일히 나열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열정에 찬사를 보낼수 밖에 없었다.
물론 그는 중농주의 학파로 나뉠수 있으나, 그의 책에 대한 소소한 내용은 반드시 중농주의로만 귀결되지 않는다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토정비결로만 알고 있던 이지함 선생이 사대부 출신의 양반임에도 불구하고, 상인으로 직접 상업활동에 종사하여 실천적인 중상주의를 주장했다는 점에서도 놀라웠다.
그는 도덕지부고, 인재지부고를 주장하였으며, 이는 매우 어렵다고 단언하였다.
이것이 바로, 공정분배와 신분타파를 이야기 하는것으로, 조선의 현시점에서 어려움을 통감하고 있었던 것이다.
차익으로, 재물을 생산, 개발하는 중상주의를 주장한 것으로 보아,
그를 단순 중상주으로 몰고 갈수는 없을것으로 본다.
이와같이, 그동안 잘 알지 못하였고, 단편적인 모습만 알고 있던 학자들의 사상이
다른 유명 학자들의 사상보다 더욱 빛나보였다.
이런 주옥같은 그리고, 멋진 사상들이 주류의 빛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묻히고, 왜곡되어 왔으며, 경제=서양이라는 이상한 방정식으로 국한된 모습이 안타까웠다.
특히 이중환님의 사상이 묻혀버리고, 왜곡된 모습이 가장 안타까웠다.
아직도 우리는 우리 조상의 고민과 사상과 노력과 업적을 잘 모른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더 했다.
또한 아직도 이런 류의 사상적 충돌은 계속되고 있다.
현재 사회에서는 중상주의가 엄청난 힘을 발휘하고 있어, 중농주의의 목소리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럴때, 우리는 선조들의 고민과 사상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우리의 미래 경제학에 대해 발판을 삼아야 한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