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북소믈리에가 될까
조선우 지음 / 책읽는귀족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소믈리에? 와인소믈리에는 많이 들어봤어도 북소믈리에라...

처음에는 책 제목이 너무 신기했고, 어떤 내용이 들어 있을지 호기심이 생겼다.

우리들의 요즘 흐름에 대해 천천히 얘기해주는 저자의 말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특히 베스트 셀러에 집착하고 책을 많이 읽고, 유행하는 책을 꼭 읽으면 주위사람들에게 뒤쳐지지 않는다고 생각을 한다.

그래서 사람들의 습관이 베스트 셀러 책을 많이 읽기에 집착하고 항상 쫓아가는 흐름이 있는 거 같다.


나 또한, 베스트셀러를 순위를 보기는 하지만 그 책들을 꼭 읽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 중에 한명으로서 많이 공감이 갔다.

책을 많이 읽고 사람들이랑 똑같은 걸 꼭 읽어야 한다는 압박감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관심 분야의 책 1권을 온전히 내것으로 만드는게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내가 추구하는 독서 방향과 같아서 더욱 공감이 가고 재밌었다.


신토피칼 독서법! 이 독서법은 초급독서 부터 시작해서 제 2단계인 점검 독서로 가고 제 3단계인 분석 독서에서 제 4단계에 이르는 독서방법에 이른 단계를 말한다.

신토피칼 독서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 한 권만이 아니라 몇 권의 책을 읽는 법을 말한다. 같은 주제에 대하여 2종 이상의 책을 섭렵함으로서 그 주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 하게 되는 독서법! 이 신토피칼 독서법에 이르면, 한 권의 책으로 여러권의 책들 까지 섭렵하면서 완전한 나만의 책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계기가 될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나도 항상 책을 보면서 궁금한 단어나 책 내용이 나오면, 찾아 보거나 검색 하는데에만 그치지 그 책들을 봐야지, 생각만 하지 실천은 제대로 하지 못할 떄가 많다.

이런 독서법이 정밀한 독서법으로 우리의 생각 서랍을 만들어 주는 습관을 만들어 준다는 개념이 성립 되면서 많은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바로 실천 하고 싶어지는

욕구가 마구 생겨났다.


그녀가 계속 강조하는 패턴 독서법 처럼,모든 인간사 뿐만 아니라 자연계, 사회 현상들이 허브를 이루는 네트워크 상태의 패턴을 이룬다고 한다. 우리들만의 패턴화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 관심사,환경에 맞는 독서방법을 만든다면 크게 독서 효과를 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가져야 할 관점의 다양화!! 우리들은 옳고 그름을 구분할 수 있는 판단력을 기르기 위해서 라도 예리한 관점의 칼날을 다듬어야 할 기회는 보장되어야 한다는 저자의 말처럼, 우리들이 진화하기 위해서 꼭 해야할 사고의 확장, 관점의 다양화,사색의 진보를 위해서 우리들의 시야를 꼭 넓혀야 할 자극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지적 자극을 통해 독서에 대한 즐거움을 만끽하고 다양하게 읽고 세상을 넓게 보는 시야와 습득력, 지적 능력까지 겸비 한다면 우리들은 정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인간으로 진화할 것이다.  사색과 통찰, 연구하는 것을 인간의 본성 중 일부라 생각하며 한쪽으로 치우치고 모든 사람들의 능력을 쫓아가고 유행에 쫓는 로봇이 되는게 아닌, 다양한 감성과 지식, 자신만의 관점과 다양한 시선을 가진 인간으로 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독서에서 꼭 찾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드었다.


그리고 저자가 추천해주는 책 100권 중에서, 한번 쯤 두고두고 읽어 보고 싶은 책들도 있었고 고전에 관심이 없는 내게 재밌게 고전을 읽고 곱씹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던거 같다. 그녀가 데미안을 통해 처음 느꼈던 감정과 고찰을 통해, 철학까지 전공을 다시 생각하게 된 계기를 독서를 통해 얻었다고 하니 독서의 힘은 사람마다 정말 큰 역할을 하는 거 같다.

고전 소설과, 데미안, 니체 등 저자가 소개해주는 고전과 작가들의 정신처럼 나도 어려운 책에 대한 고정관념만 가질 것이 아니라 넓은 시야로 볼 수 있는 , 쉽게 넘어가는 책은 아니지만 단어 하나 하나를 곱씹어보면서 많이 느끼고 생각해주는 책들을 읽음으로서 성장하고 진화해 나갈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