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와 쿠스쿠스 - 요리하는 철학자 팀 알퍼의 유럽 음식 여행
팀 알퍼 지음, 조은정 옮김 / 옐로스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맘에 쏙 들었던, 제대로 요리 여행 이야기 해주는 책이었다.


영국의 에프터눈티와 피시앤 칩스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어떤 식으로 그 음식이 나왔고 그 나라 고유의 음식 문화가 되었는지 역사 이야기도 같이 곁들여주니 더 재밌고

그 음식을 눈으로도 먹는 느낌이 들었다. 에프터눈티를 먹었던 시초는 영국 왕족 부류들이 8시에 저녁을 먹었기 때문에 그들은 3-4시에 간식 겸 에프터눈티를 먹게 되었고 그게 하나의 사교문화가 되면서 유명해 졌다고 한다. 그리고 제대로 된 에프터눈티를 먹기 위해서는 유명한 관광지 말고, 한적한 시골에 제대로된 가게에서 먹기 팁 까지 알려주는 친절함까지 겸비한 팀알퍼의 글이 참 맛깔 스러웠다.


한국에서 9년동안 살고 있어서 한국 사람의 정서에도 맞게, 음식을 비유하고 알려주어서 더 공감이 가고 그 음식이 어떤 느낌인지 상상을 하면서 그 나라의 음식 문화를 접할 수 있어서 더 좋았다. 그리고 제일 재밌게 읽었던 남부유렵 이야기, 음식과 와인의 본고장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이야기가 정말 매력적이었다.

프랑스의 와인 사랑은 끝이 없었고 항상 잘 차려지 음식에 값 비싼 빈티지 와인을 먹는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생각보다 프랑스 사람들은 소박하지만 푸짐한 음식들과 마트나 슈퍼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와인들로 맛있고 즐겁게 취하지 않을 정도로 먹는걸 즐긴다고 한다.

계란노른자와 테크닉과 노력이 필요한 홀랜다이즈 소스도 매력적이었고, 빵이 주식인 프랑스 사람들의 바게트 이야기 또한 매력적이었다.

갓 구워낸 바게트와 고소한 향기와 식감의 유혹을 집까지 가져가면서 이겨낼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누구나 길에서 바게트 빵을 씹어먹으며 반 이상을 먹어버린다고 한다.

나같이 빵순이 한테는 바게트의 맛을 표현해 낸 대목을 읽으면서 당장 빵집에 갓 구워낸 바게트를 사러 가고 싶은 유혹을 참느라 힘들었다.


그리고 이탈리아 사람들의 소울푸드, 피자와 파스타 그리고 젤라또.

이탈리아 사람들에게 제일 중요한 걸 두가지 뽑는다면 섹스와 햇빛이라고 한다 그만큼 여자들을 좋아하는 바람둥이들이 많았고 햇빛이 강한 나라인 만큼 토마토에 대한 사랑이 아주 열렬했다. 막연히 생각했을 때 이탈리아 사람들은 게으르기도 하고 자유로워 보였는데 생각보다 엄청 보수적이라고 해서 놀랬다.

그들은 본 고장의 음식들만 즐겨 먹으며 프렌차이즈 음식이나 패스트푸드에 대한 경멸을 하며 심지어 자기 나라말고 다른 나라에 여행하는 것도 즐기지 않는다고 하니 놀라웠다.

심지어 이탈리아에 1년 동안 음식 공부를 하러 간 친구가, 이탈리아의 맛있는 피자와 파스타를 맘 껏 먹어본 며칠은 정말 황홀하고 질투날 정도였지만 나머지 1년동안은 정말 괴로웠다고 하니 이탈리아 사람들의 피자와 파스타에 대한 집착과 보수적인 경향이 어느 정도인지 알수 있었다.


그리고 스페인의 뜨거운 태양열을 식혀주는 냉스프가 나오게 된 계기와,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 원래 빠에야가 신선한 해산물 말고 육류와 달팽이가 들어간 음식이 전형적인 방법이라고 하다니 음식 문화를 제대로 알기 위해 알아 보는 일은  끝이 없는거 같다.

그리고 아주 우리나라의 경상북도도와 경상남도를 합쳐 놓은 크기 만한 작은 나라 벨기에에서의 훌륭한 맥주와 초콜릿 이야기도 재밌었다.

수많은 침공과 역사적인 아픔이 많은 나라였지만, 자기 들만의 고유 특색을 잃지 않고 적은 수량이지만 더 맛있고 특색있는 맥주를 만들어 냈고 최초로 프랄린을 만들어 내서 전통적인 쇼콜라띠에를 엄청나게 만들어 낸 초콜릿의 역사도 대단했다.


그리고 독일의 맥주가 나오게 된 문화에 대한 아픔도 알 수 있었다. 수질 좋은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던 독일은 질 나쁜 물을 어떻게든 먹고 살기 위해 아주 소량의 알콜을 넣고 발효해서 오랫동안 먹을 수 있는 맥주를 개발해 냈다고 한다. 그들의 아픔 만큼, 독일의 맥주 또한 아주 유명하고 역사가 오래남아 있는 문화를 알 수 있었다.



이 책의 제목이 왜 바나나와 쿠스쿠스 인지 알수 있었던건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서 였다.

팀 알퍼가 어렸을때 부터 바나나를 좋아하고 요리로서 바나나 팬케이크를 처음 만들면서 인연이 시작되었고, 오랜 유대인 집안에서 외할머니와 할머니의 각기 전혀 다른 나라에서의 문화와 식생활 이야기, 그리고 어렸을 때 먹던 외할머니의 하루종일 끓이는 정성어린 쿠스쿠스에 대한 냄새와 하루종일 기다리는 설레임이 담겨 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어릴 적 추억이 담긴 음식은 뭐였는지 생각도 하게 되고, 책에서 소개 해주는 각 나라의 음식과 문화를 보면서 여행하게 된다면 그 나라의 특색을 미리 알 수 있는 경험이 될거 같기도 하면서 미리 식도락 여행을 떠나는 느낌이 들어서 항상 군침 돋는 음식들을 상상하면서 책장을 넘기게 되었다.

때로는 음식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자신의 안 좋았던 경험을 이야기 해 주기도 하고, 소중한 추억과 웃지못할 에피소드 이야기도 가득한 요리 여행이야기!

정말 색다른 요리와 음식 경험과 요리에 대한 소중한 추억들이 가득한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