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터리 심리학 - 18가지 위험한 심리 법칙이 당신의 뒤통수를 노린다
스티븐 브라이어스 지음, 구계원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심리학 책을 처음 접해보는 데, 심리학에 대한 비판서라니 흥미진진했다.

심리학과 자기 계발서에 흔히들 말하는, 성공하기 위한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자세, 필요한 마음 가짐은 언제나 똑같은 얘기를 다른 팩트로

다르게 둘러서 이리 붙이고 저리 붙이고 말하는 책들이 많다.

 

나도 그런 고리타분하고, 그게 마친 정석인 양 따라하지 못하면 좌절하거나 자기 자신이 모자르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이해하지 못했고,

자기 계발서는 좋아하지도 않았고, 비슷한 분야를 읽더라고 쉽게 공감이 가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스티븐 브라이어스 그가 말해주는 심리학에 대한 비판서, 이 책은 정확히 말하자면 사람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양면성,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성향, 문제 해결 방법, 남 녀 차이점 등에 대한 이야기를 솔직하고 인간적으로 분석해 주는 이야기이다.

 

첫번째 챕터부터 내마음에 비수를 콱 꽂는 내용이 있었다. 자존감을 높이면 성적이 올라간다?

나 역시도 자존감이 어렸을때부터 낮았고, 지금도 왜 그때 자존감이 낮았을까 그 시절을 후회하고는 했다.

내용만 보면 자존감이 높으면 성적도 올라가고 , 맞는 말아닌가? 자신감이 생기니 당당해 질것이고, 뭐가 부러울 것인가.

그러나 한가지 빼먹은 부분이 있다. 그리고 나는 이 한가지는 제대로 배운거 같다.

그 답은 겸손이었다. 사회 심리학자의 말에 따르면 폭력적인 성향을 띤 사담 후세인 부터 악명높은 사람들은 낮은 자존감 때문이아니라 높은 자존감으로 공격성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고 겸손과 자기 자신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는 점도 전혀 없었다고 한다.

 

그렇다. 여기서 말하는 키포인트는 낮은 자존감으로, 발전의 밑거름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물론, 높은 자존감으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앞서나가고 당당하게 어깨를 피고 살수는 있지만 더 이상 발전은 할 수 없다는게,노력하지 않는게 높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의 성향이었다. 낮은 자존감은 사실 상당히 좋은거라고 말해주는 부분이 참 공감이 갔다.

나 또한, 항상 열등하다는 생각으로 노력하고 발전하려고 뒤돌아보는 습관을 가졌는데 , 그 부분이 참 스스로 너무 소심하다고 생각이 들고 참 못나보였는데, 다른 측면에서 보니 노력하는 낮은 자존감은 좋은 면이 더 많은 거 같다.

 

진정한 나를 발견하라, 자기 계발서나 수없이 많은 책들속에서 나 자신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 명상법,습관 등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기 위해서, 자아에 매달리면서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거나, 억지로 다이어리 정리하는데 시간을 낭비하고 있지는 않는가,

우리의 자아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어쩌면 다중적 자아를 가지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심리학적 이론이 정말 맘에 와닿았다.

어떻게 자기 자신을 한가지의 성향으로만 단정지을 수 있겠는가. 예를 들어 긍정적인 사람이라도 100% 긍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0.1%라도 부정적인 면이 있을 수도 있고, 우울하기도 하고 명랑하기도 하고, 사람의 이면은 한가지로 설명하기 보다 여러가지 성향이 적절히 잘 조화가 이루어져서 스스로의 잠재력을 찾는게 정말 중요한 숙제인거같다.

 

매순간을 소중하게 활용하라,우리들, 특히 한국인들은 진정한 여가 시간을 제대로 즐길 줄 모른다.

어느 나라보다 근무시간도 많을 뿐더러, 여가시간이 나면 그 시간도 자기 계발에 투자하고 어떻게든 시간을 아껴 쓰려고 아둥바중 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여가 시간이란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장난을 치거나 놀이를 하거나 친목 도모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걸 말한다.

우리들은 게으름의 미학을 어느새 잃어 가고 있고, 게을러 진다는 거에 대한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대기업에도 이 견해를 받아들여,구글은 '성실한 게으름'을 누릴 수 있도록 20%의 자유시간을 제공하고, 고어텍스 또한 독특하게 15%의 '장난시간'을 제공한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하기위해 어떤 업무방식으로일하고있느냐고물으면그들중상당수는돈을벌기위해서라기보다,일자체를즐겁게몰입할수 있는 게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참 놀라운 대답이다. 일 벌레가 가장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감히 상상도 못할 일이며, 사회 분위기도 아직 개방적이지는 못하기때문에 회사에서 게으름 피울 시간을 원하는건 아직 현실적이지는 못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자신 스스로라도 하루에 아무런 일을 하지 않고 게으른 시간을 즐기면서 자신의 하루를 더 능률적으로 집중할 수 있는 에너지를 줄 수 있는 게으름의 미학을 잘 활용하면 좋을 거 같다.

 

마지막으로 행복이라는 정의에 대한 물음표,

'행복하다는 걸 삶에 적절하게 어울리는 부산물로 생각해야지, 혼자 힘으로 덥석움켜쥘수 있는경품이 아니다'라고 비유했다.

행복의 원리를 맹목적으로 말하자면어떤 문제가 일어날시 고통을 덜어주고 즐거움을 최대화 하는걸 말한다. 어떤 일에도 부작용이따르듯이 행복이라는 기분 좋은장치에 대비하여 너무나 강력하게 실망하는 장치도 존재하기 때문에그 상관관계를 잘 이해하고 숙련시켜서 자기자신에게 행복이라는 단어와  부작용이 따르더라도  잘 극복 할 수 있고 잘 누릴 수 있는 현명한 지혜와 용기가 필요할 거라는생각이들었다.

 

 

- 너새니얼호손 작가의 말 中 -

" 행복은 마치 나비와 같아,우리가 쫓아가면 항상우리손 밖에 있지만 조용히 앉아있으면 어깨에 살포시 내려 앉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