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인간
이석원 지음 / 달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이석원, 그의 산문집 보통의 존재를 보고 나서 그가 쓴 장편소설은 어떨지 궁금해졌다. 

옥상이라는 비밀 정원, 출입통제 구역, 세상을 바라보는 지극히 현실적인 관찰자 시점으로 풀어나갔다.

처음에 옥상이라는 소재가 참 신선했고, 압도하는 시점이 있어서 옥상에서 벌어지는 장편소설이라고 생각을 했다.

스릴러 같기도 하고, 연애물 같기도 했던 도입부는 다른 소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석원 작가만의 러프한 글 솜씨가 돋보여서 신선했다.

 

'자네는 인생이 별로 달콤하지 않은 가봐, 빵을 그렇게 많이 먹는 걸 보니.' 용휘는 말했다.

'지금 제가 별로 달콤한 상태가 아닌 건 맞는데 행복한 사람들도 빵은 먹잖아요. ' 용우는 다그치듯이 대꾸했다.

 

용휘가 말한 달콤하지 않은 인생, 달콤한 인생은 뭐였을까,

 

방세옥이라는 이름으로 비밀에 쌓인 삶을 살던 그는,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 집착적으로 글을 쓰게 된다.

그 글이 등단하지는 못했지만 그의 글은 사람들에게 화제가 되었고, 그는 베스트 셀러 작가가 되었다.

 

그는 물질적으로는 부자가 되어 있었지만, 마음 한구석은 텅빈 껍질만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다.

용우와 제롬을 만나 친분을 쌓아 나가지만, 그는 여전히 자신을 철저히 감추면서 사람들이 자신을 알려고 하면 어떻게든 피하기에 급급하게 된다.

 

이석원의 글을 보면 유독 인간관계에 대한 글들이 깊숙하게 얘기 되는거 같다.

우리가 생각하는 사소한 인간관계에 대한 정의, 이성과의 관계보다 사실 우리는 동성끼리의 인간관계에 급급하고 서로가 상처를 받기도 하고 서로가 더 의지가 되기도 하는게 사실이다. 인간관계에 대해 우리가 말못하지 못하는 어떤 사소한 이야기, 이런 문제는 나만 고민하는 건가, 이런 이야기까지도 이석원은 콕 집어서 인간의 깊숙한 내면까지 열심히 이야기 해준다.

 

사람들은 관계에 대해 집착하거나 연연하는 것에 질척거림을 느끼고 애써 태연하게 피하거나, 자기는 쿨하다는 틀로 감추려고 한다.

그리고 서로 상처를 받기도 하고, 많이 의지를 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도 용휘, 용우, 제롬 세 남자에 대한 우정 , 인생에 대한 이야기, 본질은 어떤것인지 이야기 해준다.

용휘의 다른 삶, 감추려는 삶,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 드라마틱한 인생을 위한 노력들이 절절히 느껴졌다.

 

생각치도 못한 부분에서 반전에 반전이 있어서 상당히 신선했고, 인생에 대해 드라마틱한 결말이 아닌 지극히 현실적이고 쓸쓸한 결말이 좀더 와닿았다.

그는 음악활동도 하고, 글도 쓰는 사람이며, 보통의 존재를 보면 상당히 쓸쓸하고 인간관계와 자신의 본질에 대해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쓰여져 있었던게 오버랩되었다. 소설 또한 상당히 사실적이고 지금 현재를 드라마틱하게 바꿀 수없지만 , 실날같은 희망을 기다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쓸쓸하고 소소하게 쓰여져 있었다.

 

그가 생각하는 인생에 대한 이야기, 나 자신의 본질은 어떤 것인지, 인간관계에 대한 정의를 생각하면서 그에 대해 좀 더 궁금해졌고 신선한 그의 러프한 문체가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