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누의 자리 ㅣ 트리플 18
이주혜 지음 / 자음과모음 / 2023년 6월
평점 :
-20230804 이주혜.
제목 붙인 이 문장은 내 것은 아니고, 오래 전 알던 어떤 아이의 미니홈피 이름이었던가 그 아이의 메신저 상태표시글이었던가 그랬다. 나는 이 문장으로 후렴 삼은 노래를 만들려다 실패하고, 이런 제목의 소설을 쓰다가도 중도에 그만 두었다. 그런데 이주혜 작가의 단편 소설을 읽다 보니 아주 비슷한, 거의 같은 문장을 읽었다. 늦은 사람이 땡. 늦게 태어나고 늦게 쓰는 것은 죄이다. 땡탈락. 그렇다고 삐져서 그런 건 아니고 ㅋㅋㅋ하여간에 이 소설집은 나랑 맞지 않았다. 악성독후감이 이어질 예정이니 멘탈을 지키실 관계자는 자리를 피해주세요...
오롯이 예닐곱 단편소설 모은 책이 아닌 건 왠지 최선 아닌 차선작들만 모을 것 같다. 트리플 시리즈 첫번째로 읽은 박서련 책이 아주 많이 별로였는데, 이 책도 그래서 걱정했는데, 차라리 그래서 그렇다고, 세 편만 모은 책이라 그렇다고 믿고 싶었다.
우연히도 트리플 읽은 두 작가를 처음 만난게 다 장편소설이었고, 모두 괜찮은 작품이었다. 그런데 단편은 다 나랑 안 맞네? 별로네? 장편보다 좀 못 썼네? 싶었다.
한 권으로 긴 이야기 묶고, 한 권 굵은 책 옮겨내고 그러던 작가들이라 스케일이 늘 큰 건지, 단편에 너무 많은 것들을 욱여 넣고 있었다. 그래서 이야기 따라가는 내내 좀 안 맞는 옷 입고 허부적대는 느낌이 들었다.
그놈의(아니 그년의) 너인칭이 너무 많이 나와 거슬렸다. 소설 세 편이 다 너, 너, 하는데 와, 나 너인칭 진짜 싫어하는 구나, 이번에 알았다.
여기 등장하는 사랑에 나는 외계인과 외계인의 사랑을 보듯 한순간도 공명하지 못했다. 영화 ‘캐롤’의 원작이 소설 ‘소금의 값’이라는데 나는 둘다 보지 않을 듯하다. 나는 왜 여자를 살면서 여자가 이렇게 낯설까. 나에게는 여자가 많이 어렵다. 사실 사람은 사랑은 원래 다 어렵지...
+밑줄 긋기
-아니, 누는 다시 태어나지 말자.
-톳, 도톳, 탓. (도토리 떨어지는 소리)
(‘누의 자리’ 중)
-하이스미스가 소금 기둥이 되어버린 롯의 아내를 떠올렸다면 그것은 소설 속 캐롤과 테레즈의 고통에 집중했기 때문이겠지요. 만약 「마태복음」 구절에서 제목을 따온 거라면 고통보다는 사랑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 아닐까요? 소금은 짜야 한다. 그게 소금의 값이고 소금의 대가이다. 캐롤과 테레즈의 입을 빌리면 이런 말이 되겠지요. 이 사랑은 고통이다. 그게 이 사랑의 값이고 대가이다. 소금은 짜서 소금이고 이 사랑은 고통이지만 끝내 사랑이다.
-그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일 거야, 그렇지 않아?
(‘소금의 맛’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