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 5무(無)와 5적(敵)을 넘어 조직의 심장을 깨우는 리더의 길
문성후 지음 / 오아시스 / 2024년 12월
평점 :
#리더는무엇을하는사람인가 #문성후 #카시오페아
현재 법무법인 원 외국 변호사로 재직 중이며 '리더의 태도'로 <세바시>강연은 조회수가 30만회 이상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최고의 리더전문가로 불리우기도 한다. 리더전문가는 리더십과 관련된 지식, 기술,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 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거나 리더를 양성하는데 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저자가 말하는 리더란 곧 역할(Role)이라는 것을 콕 찝어 강조하였다.
리더가 되면 역할도 중요하지만 그 공간에서 분위기를 어떻게 주도하며 이끌어가는가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공동체나 단체나 조직을 이끄는 힘은 어디에 있는가 생각하게 된다. 잘하기 위해서는 리더로써 '하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한다.
1. 리더십을 무너뜨리는 5무無
(무지, 무책임, 무능, 무관심, 무기력)
2. 리더가 경계해야 할 5적 敵
(위임 미숙, 교만, 고집, 불통, 방해꾼)
3. 리더가 반드시 해내야 할 것.
(자극, 도전, 결정, 도달, 조력)
목차에 리더가 조심해야 할 것들에 대하여 상세히 나와있다. 어느곳에서는 리더로써 모르는 것도 아는체하는 사람을 봤었다. 사람이라는 것이 참으로 요물인게 뭐냐면 상대의 자그마한 뉘앙스와 표현에도 그 뜻을 다 꿰고 있다는 거다. 대화를 하다보면 이 사람이 나를 존중하는지 존중하지 않는지 어떠한 사안에 대해 정말로 아는지 모르는지 귀신같이 안다는 것이다.
거짓말하는 리더는 왜 실패할까? 거짓이 거짓을 낳는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부류가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고 무어든 부풀려서 말하는 사람을 제일 경계한다. 무지한 리더가 되지 않으려면 끊임없이 배움의 자세여야 하며 게으르지 않아야 한다. 리더로써의 역할을 조직 팀원에게 떠맡길때에 리더로써의 자격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리더가 교만에 빠질때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교만해지기 쉬운 자리일수밖에 없는 건 주위에서 하고있는것에 대해 지적이나 조언보다는 무한 칭찬의 늪에 빠져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는 것은 정말 아주 드물기때문이다. 혹여 최측근이 조심스레 얘기해도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니 교만하지 않을수가 없다.
P.88 과거의 성공에 집착하는 교만한 리더일수록 자신의 '촉'또는 '감'을 신뢰합니다. '이건 이래서 그런 거야.'하고 단정하고 혹시라도 한두개가 적중하면 '거봐, 그럴 줄 알았어.'라고 생각합니다.
리더는 선입견과 편견을 내려놓고 매번 어린아이 같은 호기심으로 상황과 결과를 들여다봐야 합니다. 또한 '세상엔 내가 모르는 게 많다.'라는 사실을 늘 떠올려야 합니다. 과거의 경험에 매몰된 리더는 조직 차원에서도 필요가 없습니다.
과거에 영광에 심취했거나 미래에 대한 인사이트없이 자신이 거둔 성취는 다 자기 혼자 이뤄냈다고 생각하는 것이 교만이라고 생각한다. 겸손한 리더는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취하며 내적으로 강하고 자신감이 충만하다. 리더는 어떤 사람일까. 팀원을 끌어가야 하는 사람도 맞지만 리더는 성과를 이뤄내는 사람이다. 어떤 것을 행하였을때에 결과를 보여주는 사람이다. 행동과 태도의 일치가 결과로써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백화점에서 일했을때에 매장의 매니저는 매장 오픈부터 마감까지 고객의 니즈를 찾고 플랜A부터 D까지 생각하고 있었으며 진열대나 마네킹이 입고 있는 옷의 스타일도 요새 트렌드에 맞게 바꾸며 노력하니 그 결과는 확연하게 드러나서 리더는 뭔가 다르다는 것을 느꼈던 계기였다. 호객행위도 온라인으로 행사나 이벤트도 없이 리더의 생각있는 제스춰에 매장분위기와 손님이 오는것을 보고선 리더란 다르구나를 느끼기도 했다. 분위기를 주도하고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받을 만하고 배우고 싶었던 리더쉽이었다.
리더로써 아니 조직의 일원으로서라도 잘 해낼 준비가 되었느냐고 묻는다면 일단 주어진 것에 충실히 부지런히 해 낼 자신은 있다는 거다. 어디를 가든 성실함과 부지런함이 있다면 자신의 역할은 역량은 발휘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리더십 #자기계발서저는재밌어요 #뭔가파이팅하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