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 제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지음 / 나무옆의자 / 2023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가겨울을지나온방식 #문미순장편소설 #나무옆의자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가 직면했을 때에 어떻게 살아가야 할것인가. 주인공 명주는 이혼한 뒤 어머니와 둘이 살면서 이악물고 살아내었다. 변변치 않은 형편에 어머니를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에 보낼 형편조차되지 않고 혼자 모시며 감내하며 살고 있었다. 옆집 청년 준성도 아버지를 모시며 현실의 어려움을 벗어나고자 대리운전과 물리치료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 공부를 했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시험에 떨어지기 일수였다.
일하면서 다리가 불편해진 명주. 일자리를 구하려해도 구해지지 않고 마땅찮은 몸으로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했다. 소설 초반부터 무언가에 맞은듯이 띵한 느낌. 나약해지고 나아지지 않는 삶을 살면 극한의 도덕적 결여가 되는 주인공의 행태를 보면서 나는 겪어보지 않은 상황이고 미래에 내가 겪을수도 있는 상황이 닥쳐올수도 있겠다 싶으니 사회시스템의 문제로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집으로 부르는 요양보호사제도도 어느나라에 비하면 대우나 처우도 좋지않고 간병, 도우미, 파출의 세가지의 일을 다하기때문에 요양보호사라고하지만 너무나 많은 일을 하고 있다. 국가에서 요양보호에 조금 더 깊이 개입을 해서 가정에서 어르신을 모시고 떠나가실때까지 간병과 돌봄으로 인해 일상이 무너지지 않는 제도가 필요하다. 우리집도 친할아버지와 친할머니의 간병과 돌봄을 함으로써 아빠형제들과의 불화, 요양시설의 높은 금액과 긴 요양시설의 생활로 나날이 가정경제는 더욱 어려워졌다. 현재는 백세시대 백세시대하지만 노인들의 나중을 생각한 국가에서의 준비는 무엇이 있는가 생각해본다.
왜 명주는 이런 최악의 선택을 하게 되었을까. 스스로 자기자신을 챙겨야 하는데 상황이 여의치 않는 현실에서 도덕적으로 해서는 안될 선택을 한 명주에게 나는 뭐라고 말해줄 수 있을까.
P.85
기초수급자 신청을 해보려 했지만 원인불명의 통증으로는 의사로부터 ‘근로능력불가‘라는 평가를 받기가 어려웠다. 가난을 증명하는것도 어렵고 수치스러운데, 몸이 아프다는 걸 증명하는 건 더 복잡하고 굴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