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이 원하는 교회, 교회가 그리는 교회 - 한국교회 추락을 막아야 한다
김도인 외 지음 / 글과길 / 2025년 8월
평점 :
#세상이원하는교회,교회가그리는교회_김도인외7인지음 #글과길 #한국교회추락을막아야한다
요즘 들어 교회 관련 책을 많이 읽게 된다. 이 책들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위기를 날카롭게 진단하면서도 단순한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목회 현장의 고민과 구체적인 사례를 담아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목차는 ‘세상이 생각하는 교회’, ‘교회가 보여주고 있는 교회’, ‘성경이 보여주라는 교회’, ‘세상에 보여주어야 할 교회’로 나뉘어, 교회가 다시 빛과 소금이 될 수 있을지를 묻는다. 옛날 교회는 쉼과 따뜻함, 공동체의 풍성함으로 사람을 품는 느낌이 강했지만, 지금의 교회는 권위적이고 경직된 이미지, 이기적이고 소극적인 집단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 답답함의 이유를 생각해보면, 교회가 세상과 단절되어 있고 개방적이지 않으며, 일부 교회의 이웃과의 거리감과 내부 갈등이 교회를 답답한 집단으로 보이게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다.
P. 139
공적 신앙은 선택이 아닌 교회의 본질이다. 복음은 개인의 경건에서 멈추지 않고, 세상의 아픔에 응답하는 공공의 행동으로 드러나야 한다. 교회는 더 이상 ‘안에서만 거룩한 공동체’가 아니다. 세상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하나님 나라의 대사관이 되어야 한다.
P. 319
교회가 세상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말보다 삶으로, 외형보다 본질로, 숫자보다 진실로 나아가야 한다.
나부터도 말로만하는 신앙인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공적 신앙은 공적인 영역에서 교회의 위치와 사회속에서의 역할을 설명한다. 공적 신앙은 겸손과 더불어 다른이들을 향한 존중을 담아 그렇게 하는 것이다. 교회 내부에만 머무르면서 경건만 강조하는 것은 충분치 않다. 교회의 역할을 반쪽만 수행하는 것이다. 복음은 개인의 신앙에만 머무르지 않고 세상의 아픔과 불의에 응하는 행동으로 구체화 되어야 한다. 이웃과 함께 공동체가 세상과 부딪치면서 살아움직이는 하나님 나라를 증거해야 한다.
근교에 있는 교회는 예전만큼 사랑이 눈에 띄지 않을 때가 있다. 주변을 살펴봐도 직분자가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나, 시장 상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물론 이것이 교회만의 문제는 아니다. 서로가 연결되기 쉽지 않은 요즘 시대의 현실도 함께 작용하고 있다. 교회가 이웃과 단절된 이유는 무엇일까. 화려한 외형이나 숫자에 기대는 신앙이 아니라, 말이 아닌 삶으로 드러나는 신앙, 외형보다 본질을 먼저 살피는 신앙, 형식보다 진실에 집중하는 신앙이 필요하다. 세상과 단절된 그들만의 리그는 결국 하나의 모임일 뿐, 교회가 아니다. 교회의 생명력은 내부 경건이 아니라 세상과 연결되는 공적 신앙에서 나온다. 말뿐인 신앙이 아니라, 삶으로 증거하는 신앙을 보여줄 때, 세상은 교회를 다시 바라보고 신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