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국내 출간 30주년 기념 특별판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고전 문학. 이 어렵고도 지루한 타국의 옛이야기들을 어려서부터, 학생 때부터 읽어야 한다고 그렇게들 강조하고 권장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다른 건 몰라도 고전은 꼭 읽어야 한다는 그런 떠도는 말들이 오히려 독서에 반감을 가지게 만들지 않나 싶다. 근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 수준 높은 고전을 책린이한테 권하는 게 가당키나 한 건가. 아 물론 청소년 수준에 맞는 고전들도 있겠지. 그런 작품이라도 읽으면 한두 개쯤 얻을 건 있겠지. 그래도 나는 책린이가 충분한 사유를 즐길 때까지는 억지로 권하지 않는 게 낫다고 본다. 독서생활 n년차, 이제는 다양하게 읽으려고는 하는데, 고차원의 작품을 만날 때마다 매번 똑같은 속상함을 느낀다. 지금 이걸 읽을 단계가 아닌데 너무 빨리 만나서 이해도 못 하고 읽었다는 데에 의의를 둬야 하는 게 안타깝다. 그렇다고 훗날에 다시 찾게 될까? 그러지도 않을 거다. 인생은 짧고 읽어야 할 책은 많으니까. 독서력을 더 키우고서 어려운 책을 만났다면 지금보다는 더 즐길 수 있었을 텐데. 괜히 지금 읽어서 즐거움의 기회를 날려버렸으니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래서 독서는 단계별로 해줘야 된다.
그 단계별 독서를 하지 않은 탓에 이번 독서도 대 실패다. 몇 년간 지켜보기만 했던 밀란 쿤데라. 그의 글이 쉽진 않아도 읽을만하다고는 들었다. 하여 이건 재미있다고 주입시키면서 읽었는데, 과연 시작부터 심오한 저자의 인생철학이 대거 쏟아져 나와 정신을 바짝 차려야 했다. 1부만 읽고 요 정도면 소화 가능 범위다 했건만 2부로 넘어가니까 서사는 거의 없고 철학적인 문장들로 가득하여 잔뜩 쪼그라들었다. 아아 멀고도 멀었도다, 나님이여. 반성하고 있다. 읽으면서 ‘알랭 드 보통‘이 생각났는데, 그래도 알랭은 서사 베이스에 철학을 버무려서 읽기라도 수월했지, 쿤데라는 철학 베이스에 서사 몇 방울 짜넣어서 이게 소설인지 에세인지 전공서인지 아유 참 혼란하다 혼란해. 이상 책린이의 넋두리였습니다.
소련의 침공으로 공산주의에 물든 체코가 주 무대이다. 이 가운데 남녀 네 명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돌아간다. 많은 이성과 열심히 성생활을 즐기는 남자 1호는 누구에게도 마음을 주지 않는다. 그러다 여자 1호를 만나 한 집에 산다. 남자 1호는 여자 1호를 좋아하지만 여전히 바깥 생활을 즐긴다. 한편 남자 1호의 정부인 여자 2호는 만나고 있던 남자 2호를 떠나버린다. 대략 이 정도로 요약을 해뒀지만 이 책의 전개는 두서도 없고 주제도 썩 일관되지 않는다. 그만큼 어려운 책이다. 저자의 사상, 체코의 역사, 철학의 개념을 배워놓지 않았다면 쿤데라의 작품들은 패스하길 바란다. 여튼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사랑-결혼-삶-이성-직업-정치-종교 등등 다양한 분야를 파고든다. 알아듣기도 어렵고 글맛도 없었지만 저자의 침 튀기는 열변을 듣다 보니 결국 다 읽기는 했다. 여러분, 이거 소설 아닙니다. 아무튼 아님. 속지 마세요.
쿤데라가 말하는 가치관, 신념, 이상향에는 가벼움과 무거움이 공존한다. 그 많은 메시지를 이분법적 사고로 판단해도 되나 싶지만 일단 그렇게 받아들여본다. 가벼움을 원하는 쪽은 상대의 무거움을 느끼고서 멀어진다. 혹은 무거움이 좋은 쪽은 가벼움의 추구를 이해하지 못한다. 남자 1호는 이성들과의 육체적 사랑은 나눠도 정신적인 교감은 하지 않는다. 그에게 있어 육체적 사랑은 생명력을 가진 가벼움이며, 거기에서 자신을 찾고 정의한다고 믿는다. 그에게 반한 여자 1호는 콩밭에 가있는 남자 1호의 마음을 사야 한다. 그러기 위해 남자 1호의 무거움을 이용해야만 했으니, 그의 무거움은 그녀에게 가벼움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끝까지 읽어보면 서로가 반대되는 모습을 띄게 된다. 이로써 존재의 본질이 영원에 있지 않고 변하는 데에 있음을, 가벼움도 무거움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쿤데라는 그 많은 열변을 토한 거였다. 많은 내용 중 빙산의 일각만 겨우 알아들었으나 제대로 이해하고픈 생각은 안 든다. 그냥 리뷰도 패스할걸 그랬다. 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