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병원 사용 설명서 - 병원이 우리에게 말하지 않는 불편한 진실
강주성 지음 / 프레시안북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을 바꾸는 진짜 힘은 누구에게서 시작될까. 우문현답을 기대하는 이가 있다면, 이 책을 주저 없이 추천할 것이다. 백혈병과의 지리한 사투에서 기적적으로 승리한 후, 자신의 경험을 개인의 것으로 가두지 않고, 의료계의 개혁과 변화를 위한 초석으로 삼은 데 대해 저자에게 새삼 감사하다.  

 

 

자신이 딛고 선 땅을 갉아대면서 정진을 모색하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만큼 의료계의 문제를 의료계 스스로 들춰내는 것은 어려운 일일테다. 그러므로 의료인도, 보건의료 정책가도 아닌 저자가 순전히 자신이 겪은 아픔을 다른 이들이 똑같이 겪지 않도록 하고 싶다는 그  순수한 열정 하나로 시작한 이 운동이 더 값지고, 아름다운 것 같다. 덧붙여 어려운 길이지만 가시밭길에서 십자가를 지고 행군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힘이 난다.   

 

 

선택진료비의 비밀, 의료광고의 속임수, 비급여 항목의 재생산, 병원내 감염 문제, 다국적 제약회사의 횡포와 건강권 침해 등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문제를 속속들이, 그것도 쉽게 설명하여 이해하기 쉬웠다.  

  

 

원폭 피해자 2세 문제를 이끌어내 원폭피해자 지원을 위한 특별법 발의의 단초가 된 고 김형율 님, 글리벡 약가 싸움에서 환자의 정체성을 끝까지 잃지 않고 투쟁했던 고 김상덕님의 삽화가 내내 뇌리에 남는다. 시대를 동행하는 예수님의 모습으로, 그들의 짧은 삶은 활자들을 사를 만큼 열꽃처럼 뜨거웠다.  

 

 

‘생활습관병’이란 단어가 갖는 폭력성도 어설프게 이해했다. 자칫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기인한 질환이니, 전적으로 네 책임이다 식으로 몰아붙일 우려가 생기고, 그로 인해 의료보험제도의 구조적 문제를 외면할 수 있는 곁길이 될 수 있음도 상기하게 됐다. 전 국민의 1/4이 생활하는 학교에서 미리 건강을 가르쳐, 국민이라면 누구나 건강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하자는 보건교육 운동의 맥이, 보건의료 정책 개선의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저자와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전정신 - 한계를 뛰어넘는 성령의 힘 전병욱 두나미스 북스 2
전병욱 지음 / 규장(규장문화사)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낙심하지 않는 것, 그것이 영성이라고 강조하셨다. 


주저 앉고 싶고 피하고만 싶던 기로에서 말씀은 늘 등불이 됐다. 요셉은 그 형통함을 보고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알게 하였는데, 2009년, 나는 무엇으로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선포했나, 문득 부끄러워진다.  

목사님 말씀처럼, 유람선이 아니라, 전투함으로 살자. 부활의 능력이 온전히 투영되는 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류의 역사를 뒤바꾼 위대한 생각들 - 유가에서 실학, 사회주의까지 지식의 거장들은 세계를 어떻게 설계했을까?
황광우 지음 / 비아북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법의 목적은 평화지만, 그 수단은 투쟁이다' 예링의 선언이 이 책을 관통하는 맥을 제대로 표현한 것이 아닐까, 착각이 들 정도다. 


투쟁하지 않는 이들은 생각할 수 없고, 생각 없이는 역사를 바꿀 수 없으므로.러시아의 전시공산주의에 대한 통찰이 인상 깊다. 의식의 근본적인 변화, 자본의 축적 같은 인프라를 구축하지못한 혁명의 말로는 결국 스탈린에게로의 충성으로 귀결됐다. 

 지지 세력이 부족했던 정약용의 좌절과 전봉준의 참패.기득권에 가로막혀 천지개벽처럼 세상을 뒤집지는 못했지만, 면면히 흐르는 그 사상은 오늘에도 여전히 위대한 생각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권 비타 악티바 : 개념사 1
최현 지음 / 책세상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인권의 역사와 개괄을 한 눈에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집단인지적 시민권, 다문화 시민권은 뜻하지 않게 발견한 내용들. 논지를 세우는 데 좋은 재료가 될 원석.

 '정체성의 정치' 활자들에서 쉽게 눈을 떼지 못했다. 우리가 걷고 있는 이 길,이게 바로  정체성의 정치가 아닐까.캐나다 정치철학자 윌 킴릭카의 주장은 흥미로움을 넘어 숭고하기까지 하다.

'시민권은 자치권과 집단 대표권, 다문화권, 차별보상권이라는 세 가지 권리로 소수 종족을 보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춘의 문장들 청춘의 문장들
김연수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제는 시험 탓에, 오히려 강탈당한 시간을 다시 되찾은 것만 같은 충일함이 가슴으로 차올랐다. 낙엽 밟는 소리를 좋아했던 시인이 마로니에 공원 저 끝에서 저벅저벅 걸어올 것 같기도 했다.
바람이 휘휘 돌아나가는 골목길, 목적지도 없이 걷다가 뜻하지 않게 작은 서점에 들렀다. 간판과 좌표를 새겨두지 않은 게 후회된다. 


김광석 류의 그렁그렁한 목소리가 반지하 서점에 울려퍼지는 데, 주인은 까닥 '안녕하세요'인사하고는 금새 자기 일에 몰두한다. 인문사회학 서적으로 뒤덮인 책장에서 용케 김연수의 <청춘의 문장들>을 발견해냈다.  

시험이 계속 미뤄져 3시간여가 주어진 상황.지루하지 않게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보다 제 격인 책이 또 있을까.
 

자신을, 마음 한 중앙이 뻥 뚫린 도넛,으로 표현한 재치가 곰살맞다. 즉석 떡볶이가 졸아드는 모습을 기억하면서, 시간 시간 변해가는 인간에 대한 연민을 글로 옮겨가는 소설가. 만나보지 못했지만, 만나면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던 것처럼 편안할 것만 같다. 

 손님이라고는 나 밖에 없는 서점에서 스피커로 울려나오는 갖가지 투쟁적인 노래를 들으며, 주인이 손수 깎아 만든 듯한 탁자에 앉아 오도커니 책을 읽는 즐거움.

어제 같은 감성이면, 소설도 단숨에 썼을 것. 시어를 읽으며, 눈물을 훔치며, 청춘의 문장을 옮겨가는 소설가와 데이트하듯 조우한 시간...김연수, 잊지 못할 작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