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왜 아픈가 - 사랑의 사회학
에바 일루즈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은 왜 아픈가>의 도발적 제목 아래 붙은 <사랑의 사회학>이란 부제에 마음을 뺏겼다.  그동안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등에서 사랑을 주제로 다루는 책은 수도 없이 접할 수 있었지만, 사회학적으로 사랑에 접근하겠다는 도전은 쉽사리 접해보지 못한 것이라 책장을 넘기기도 전에 기대감으로 잔뜩 부풀어 올랐다. 특히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감정사회학의 대가가 저자라고 하니, 분석의 결과에 대한 호기심은 독서를 밀고나가는 주된 힘이 되었다. 초반의 기대감을 꺾어버리는 책들이 수도 없이 많다는 것을 감안하면, 저자의 뚝심있는 집중력에 경의를 표할 수 있을 정도다.


저자의 문제의식은 그 어느 때보다도 사랑하고, 선택할 자유가 넓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사랑은 왜 아픈가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사랑의 아픔이란 과거의 트라우마가 되살아난 비극이라는 식의 심리학적 해석이나, 영혼에는 영향을 주지만 자존감은 건드리지는 않은 일종의 몸의 혼란이라는 의학적 담론을 거부하고, 사랑의 감정, 의례 등이 기본적으로 사회적으로 재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과거에는 자율과 선택의 폭이 부족한 상태에서 단지 주변에서 좋은 사람을 만나는 정도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사랑의 확실성이 담보되었다면, 선택과 자유의 폭이 넓어진 현대의 사랑은 좀 더 나은 사랑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가치 점수화된 상품성을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불확실성의 증가되었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철저하게 사랑의 결단을 개인의 책무로 환원하기 때문에 개인은 자신의 선택이 옳은 것인지, 합리적인지 고민하면서 불안에 시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과학의 등장으로 모든 영역에서 합리성이 확대되면서 사랑도 합리성의 기준으로 재단되기 시작했고, 더구나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사랑에서의 공정성, 평등의 가치가 강조되면서 사랑이 일종의 절차화를 덧입게 되었는데, 이것이 사랑에서 여성의 열등적 지위를 공고하게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즉, 사랑의 합리성과 절차주의가 강화되는 동안 사랑의 낭만성은 철저히 벗겨졌으며, 인간이 추구하는 인정의 요구가 제대로 충족되지 못하는 형편이 되었는데, 사회적으로 남성은 남성의 인정으로 충분하게 되었고, 여성은 본래적으로 남성의 인정을 추구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여성은 이성과 감성이 분리되는 경험이 더 증폭되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인터넷의 발달로 계량화, 경쟁, 유용성의 극대화, 시각화가 촉진되면서 사랑의 낭만 걷어내기는 가속화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소비사회에서 다양한 상품, 문화, 영상 등을 통해 사랑을 통해 얻어야할 감정, 상상력 등을 미리 소비하면서, 허구적 사랑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실제의 사랑을 시들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사랑을 사회학적으로 점검하는 가장 큰 강점은 사회 구조가 인간의 진솔한 감정과 내면을 어떻게 장악해나가는지 통찰을 보여준다는 점일 것이다. 개인적 틀에 갇혀 사안을 진단하는 대신 제 3자의 시선을 견지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따라가는 것은 충분히 재미있는 독서의 요소가 된다. 다만, 사랑의 아픔을 예리하게 분석한 것과 달리, 그러므로, 대안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분명한 결론 제시 없이 에둘러 용두사미격으로 마무리한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자칫 깨져버릴 수 있는 관계의 섬세함을 다루는 무수한 전략을 개발했다는 바로 그 `이유`로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문화의 많은 측면은 열정을 온전히 경험하고 펼쳐낼 능력을 자아로부터 앗아간다. 사랑하고 결합하는 과정과 맞물려 일어나는 의심과 불안함에 제대로 저항도 해보기 전에 포기하고 마는 일은, 그래서 일어난다. 사랑을 다루는 전략의 개발이 오히려 사랑을 지레 포기하게 만드는 정말 희한한 역설이 눈앞의 현실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