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개정판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저자는 제주도에서 육지로 이동할 때 가장 불편한 지역이 어디인지 묻는 도발적인 질문으로 삶과 개념의 괴리가 얼마나 큰지 파고든다. 관념상으로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실제에서 어떻게 비틀어지고 뒤집어지는지 여성학자의 시선은 낮은 곳으로 향해 있다.

 

페미니즘은 여성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계급, 성, 장애, 학력, 나이 등에 따라 차별과 타자성을 겪는 소수자의 입장을 견지하는 것임을 다시 각성하게 된다.

 

그 어느 나라보다 가족 중심을 지향하면서, 그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자녀 교육에 몰입하거나 가부장주의, 출세지향주의로 치닫는 도구적 가족의 모순을 파헤친 대목이나 성매매와 국가주의가 결합하면서 일본군위안부 할머니의 문제와 성매매 피해 여성의 문제를 이분법적으로 구별하는 비합리성의 문제를 지적한 대목 등이 특히 공감이 된다.

 

그 누구도 완벽하게 진골이 될 수 없기에 소수자의 차별, 인권에 집중해야 하고, 끊임없는 탈중심성의 지향을 통해 주체적 자각을 견인해 내고, 실질적 평등을 구현해내는 것, 그것이야말로 페미니즘이 나아갈 방향일 것이다.

 

다만, 페미니즘이 또 하나의 중심이 되면서, 페미니즘적 시각과 언어, 관습을 미처 받아들이지 못한 이들이 또 다시 교화의 대상이 되고, 타자화되는 데 대한 성찰이 부족한 부분이 조금은 아쉽다. 

의식은 바뀌었는데 몸이 바뀌지 않았다라는 개탄은, 일상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일상을 넘거나 일상을 극복하는 정치가 아니라, 모든 정치와 운동은 일상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머리가 변하는 것이 의식화라면 몸이 변하는 것은 변태다. 그래서 언제나 혁명보다 개혁이 어려운 거다. 혁명은 이름과 의식을 바꾸는 것이지만, 개혁은 몸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다. 개혁은 글자 그대로 살갗을 벗기는 것, 피가 쏟아질 수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