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경 홍신 세계문학 5
허먼 멜빌 지음, 정광섭 옮김 / 홍신문화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소다 마모루의 <괴물의 아이>, 론 하워드의 <하트 오브 더 씨> 등 연이어 모비딕이 모티브가 된 영화가 개봉되면서, 자연스럽게 호기심에 불을 지폈다. <백경>의 그 무엇이 동양과 서양의 감독에게 다시 한번  깊은 감명을 불러일으켰을까 하는 호기심이 첫 장을 펼치게 한 방아쇠 역할을 한 셈이다.

 

멜빌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아브라함의 아들이었지만, 추방자가 된 이스마엘의 이름을 차용한 주인공을  관찰자로 삼아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모비딕을 쫒는 늙은 광기어린 에이헤브 선장, 규율을 지켜내려고 노력하는 일등항해사 스타벅, 그리고 고래 산업을 통해 돈을 쫓아 항해에 나선 인간 군상들을 촘촘히 따라가다보면 <백경>은 단순한 고래잡이 모험담일 수 없다는 데 이르게 된다.

 

역자의 표현대로 <백경>은 단순한 모험담으로 읽힐 수도 있지만, 정신 분석학, 사회학, 종교학, 철학 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가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불러일만한 풍성하고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한 때 직접 선원으로 일하기도 했던 멜빌은 스토리 중심의 소설 전개를 넘어서서 박물관학의 정수를 소설에 담아야겠다는 일념을 표출하기라도 하듯, 고래잡이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상을 담는다. 때로는 지리서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동물학을 담은 생물 도감이 되기도 했다가 법률 해석을 담는 법학서로 변모하기도 한다. 인생의 허무함을 탄식하며 영생을 구하는 신학서가 되었다가 인간은 도대체 누구인가에 천착하는 철학서로 뒤바뀐다.

 

인상깊었던 것은, 1500년대, 고래산업을 둘러싼 네덜란드의 법률 발전상. 첫번째 고래잡이 배가 작살을 던져 고래를 잡았는데, 불행히도 배가 작아 고래를 붙잡아두지 못한 경우, 재력과 규모에서 앞서는 두번째 배가 어부지리로 작살이 꽂힌 고래를 잡게 되면, 작살의 소유는 누구에게 있는가 하는 문제. 작살은 고래를 잡겠다는 의지로 던진 것이므로, 고래에 꽂힌 경우 작살의 소유는 고래에게로 귀속되며, 두번째 배가 작은 노력으로 작살이 꽂힌 고래를 잡게 되면, 고래와 더불어 작살의 소유권까지도 인정받는다는 식이다. 멜빌은 날카로운 통찰력을 바탕으로 고래 잡이를 통해 자본의 노동 잠식의 문제점을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또, 에이헤브는 한 쪽 다리를 일본해 근처에서 잃은 것으로 표현되는데, 울산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동해에서 고래가 자주 출몰했던 역사적 사실을 고려해보면, 실상은 모비딕을 처음 만난 곳은 동해 근처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다. 우리나라가 세계사에서 주목받지 못하다보니, 잘 인식되면서도 미지의 공간으로 일본해로 기술된 것이 아닌가 싶어 아쉬움도 남는다.

 

오직 모비딕을 잡겠다는 일념으로 나서는 에이헤브는 광기에 사로잡힌 인간인가, 아니면 끝내 죽을 줄 알면서도 숙명의 굴레를 담담히 받아들인 존재인가. 단번에 명쾌한 답을 주는 대신 읽을 때마다 새로운 답을 제시하는 <백경>이 아닐까 싶다.

스타벅..세번째 나의 영혼의 배는 항해에 나가네. 어떤 배는 항구를 떠나 그 후는 영원히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지. 스타벅. 어떤 자는 썰물 때에도 죽는다. 어떤 자는 물이 완전히 빠졌을 때, 또 어떤 자는 밀물 때에..나는 지금 방금 부서지려는 파도의 꼭대기에 있는 것 같군. 나는 나이를 먹었어. 자아. 악수하세...그들은 손을 마주잡고 서로 눈을 떼지 못했다. 스타벅은 눈물을 글썽거렸다..가지 마십시오! 선장님 가지 마십시오!..그러나 이이헤브는 아무것도 듣지를 못했다. 왜냐하면 그 자신이 소리를 크게 질렀고 보트는 무섭게 달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