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W TO READ 라캉 ㅣ How To Read 시리즈
슬라보예 지젝 지음, 박정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지젝의 날카로운 언어와 압축적인 문장을 해독하는 데 일부 어려움은 있지만,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라캉을 어떻게 읽고 적용해야하는지 초보자에게 분명한 길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길을 찾아낼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난해하고 전문적인 개념들을 통합할 때는 아무래도 좋은 전문가의 안내를 만나는 것만큼 큰 행운은 없을 터. 이런 점에서 <How to read>시리즈는 출간 목적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라캉은 무의식은 어떤 불합리적인 충동이 덩어리처럼 굳어져 우리의 의식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고,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고 본다. 지젝의 표현을 빌리면, '자아가 정복해야 할 야생적인 충동의 저장고'가 아니라 '외상적 진실이 말을 하는 장소'라는 것.
지젝은 프로이드에서 시작된 정신분석학이 단순히 정신병리를 분석하고 해석해 환자를 현실 생활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면, 라캉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 속에서 환자의 욕망을 대면하도록 함으로써 철학적 면모를 드러낸다고 표현하고 있다.
라캉은 우리가 말을 할 때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말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 세상의 다양하고 복잡한 규칙, 전제들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행위라면서, 이러한 슈용을 따를 것인지 말 것인지 적정의 지점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대타자가 작동한다고 개념화했다. 보통 대타자는 늘 나를 지켜보는 신, 이데올로기, 어떤 사람 등이 될 수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대타자를 인식하는 주체가 그것이 존재하는 것처럼 행위할 때만 존재하며, 대타자는 개인 존재의 기반이 된다는 것이다.
라캉에 따르면 대타자가 엄연히 작동하는 현실에서 선언, 발화 등은 텅빈 텍스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상은 강제적인 것인데도, 주체가 어느 한 사회에 속하기 위해 자신이 스스로 선택했다고 받아들이도록 요구될 수 있다는 것, 그러므로 주체가 변모하는 순간은 행위의 순간이 아니라 선언의 순간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라캉은 또 상호수동성에 주목한다. 미디어의 발달로 수동적 관람자에서 벗어나 타자가 연출한 스펙터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규칙을 세우는데 까지 나아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상이 나 대신 쇼를 즐기고 나는 그 대상을 관찰하는 것으로도 충분해지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수동성의 문제는 가짜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는데, 무언가를 바꾸기 위해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바꾸지 않기 위해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활동과 참여에 지나치게 몰입하므로, 좌표 전체를 바꿀 진짜 행위를 전혀 하지 않는 기만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통찰을 제공한다.
따라서 열심 정치를 한다고 믿으면서도 실제로는 정치를 하지 않으며, 열심히 기도하며 믿음이 견고해지고 있다고 자위하지만 오히려 기도 행위에만 매몰됨으로써 신을 만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일갈한다.
또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라는 점, 평범한 대상을 숭고하게 만드는 어떤 것을 라캉은 소문자 a로 불렀는데, 이를 통해 파시즘과 차별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해석한다. 또 이성의 차원에서는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아 문제될 것이 없는데, 초차아의 차원에서는 즐기라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어떻게 물신주의의 분열로 나아가는지도 추측하게 한다.
일부에서는 라캉이 터무니없는 말놀음으로 정신분석학을 오도하였다고 비난했지만, 스스로 사회적으로는 정신병리적 행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현실을 직면하게 한 라캉의 유산을 고려한다면, 어렵더라도 라캉에 대해서 반복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인간은 타자로서 욕망한다`라는 말은 인간의 욕망은 `탈중심화된` 대타자, 상징적 질서가 구조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주체는 타자 자체를 욕망하는 존재로 경험하는 한해서만, 타자를 불가해한 욕망의 자리로 경험하는 한해서만, 불투명한 욕망이 그, 그녀로부터 발산되는 것을 경험하는 한에서만 욕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