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 20대와 함께 쓴 성장의 인문학
엄기호 지음 / 푸른숲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성세대가 주장하는 20대를 향한 '성장'의 허상에 맞서 20대가 어떤 언어로 세상을 보고 있는지 20대가 쓴 글과 목소리로 대화하며 탐색했다.

 

저자는 강의 시간에 이루어졌던,  20대가 생각하는 대학, 교육, 정치, 가족, 사랑, 소비, 열정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 저자의 비판대로 '성장이 어떤 조건에서 가능한지 입다문 채, 우리 시대가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한 성찰도 하지 않으면서, 20대들의 성장을 이해할 언어도 없이' 20대를 속단했음을 고백하게 한다.

 

인간이 되고 싶다는 김예슬 선언에 대한 대학생들의 본심이 인상깊었다. 명문대 출신의 선언이었기에 주목받는다는 일침보다는 대학 서열 체제에 갖혀있더라도 대학이라는 사회에서 나름대로 적응하려고 몸부림치고 있다는 절규에 시선이 꽂혔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세태 속에서 대학을 부정할 수도 없고, 긍정할 수도 없는 20대 학생들의 실존을 앞에 두고 그저 속없이 낭만을 이야기하거나 열정을 발휘하라고 다그치는 것이 얼마나 철딱서니 없는 일인가 싶었던.

 

<P짱은 내 친구>를 보고 돼지 P짱과 동일시하면서 폭력과 독단으로 얼룩진 학교 문화를 타박하는 대목이나 가족간 대화가 없으면 소통이 없는 가족이라고 문제시하는 문화적 편견에 대한 지적, <브이 포 벤데타>를 통해 신성불가침의 영역으로 포장된 민주주의를 벗겨내면서 대학생의 탈정치화가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에 대한 도덕화가 문제라는 진단까지 읽다보면, 세대를 대상화하는 접근의 심각성을 깨닫게 된다. 그간 스스로 돌아보고 생각하고 느끼고 판단하여 내뱉은 목소리를 깡그리 묵살하고, 허락된 언어와 규정된 몸짓의 틀로 재해석하고 재단하면서 얼마나 실제를 왜곡하였을런지 말이다.

 

정리되지 않은 생각, 미뤄둔 판단, 객기어린 분노, 어정쩡한 나태, 대책없는 미룸, 방향없는 질주..날것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불안하고 두려운 과정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여정임을 다시 각성하게 한다. 

누군가와 공감한다는 것은 그를 나의 장소에서 환대하는 행위이다. 그에게 나의 장소에서 살 수 있도록 허락하고 나의 장소를 그와 공유하며 `우리의 장소`로 만드는 것이 환대의 행위이다. 이 환대를 통하여 나는 그와 함께 `세계`를 만든다. 세계는 객관적으로 주어진 외부 환경이 아니다. 오히려 세계는 소통하고 경쟁하고 공감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공감 능력이 활기에 차 있을 때 세계-내-존재로서 인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사람 사이에 있는 존재, 그리고 그 사이에서 스스로 인지상정이 있는 `인간`으로 되어가는(being)존재, 그것이 인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