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나라 우리가 몰랐던 아시아 2
박종현 지음 / 즐거운상상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나라>라는 부제가 보여주듯이, 읽고 나면 말레이시아에 대해 얼마나 무지한지, 그리고 얼마나 친근한 나라인지 새삼 깨닫게 된다.

 

말레이시아의  말라야 대학에서 석박사 과정을 거치는 동안 장기 체류하면서 현지 생활을 오랫동안 경험했고, 또 직업인 기자 정신을 발휘하여 쓴 글이라서 그런지, 피상적이지 않고 실제적이고 입체적인 말레이시아의 모습이 그려진다.

 

말레이시아는 인도계, 중국계, 말레이계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우러져 이루어진 국가답게 다문화의 다름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가 통용되면서 수년 째 퇴직 후 살고 싶은 나라 1위로 꼽힐 만큼 동남아시아의 중심 국가로 부상하고 있단다. 특히 이슬람 문화를 가졌으면서도, 기독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를 허용하고 있는 점도 다민족이 하나의 말레이시아를 이루도록 하는 통합의 기초로 작동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주요 동남아 국가를 2시간 내로 왕복할 수 있는 교통의 요충지라는 점도 말레이시아의 강점이다.

 

만 17세 이하 모든 국민은 남녀를 불문하고 군대를 가야하되, 추첨제를 통해 약 20%만이 입대를 하고, 복무기간이 3개월이라는 점, 지역의 술탄 중에서 5년마다 국왕을 선출하는 데, 술탄이 사실상 모두 말레이계여서, 국왕은 말레이계만 될 수 있다는 점, 제조과정, 제조 회사의 운영까지도 꾸란의 가르침을 준수해야만 인증을 받을 수 있는 할랄푸드 인증제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 할랄푸드가 아니면 제품 경쟁력이 현격히 떨어지므로,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세계적인 패스트푸드점조차도 할랄푸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 말레이시아 최고의 대학인 말라야 대학의 교직원 절반이 여성이며, 여성 총장은 물론 공직에 진출한 여성이 많아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은 편이라는 점, 이슬람 금융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으며, '진짜 아시아, 말레이시아'를 앞세우며 국가 브랜드 정책을 우리나라보다 한 발 앞서 내세웠을 정도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다는 점,  마하티르 총리의 정치적 역량, 우리보다 6개월 먼저 우주인을 배출했을 정도로 우주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다는 점, 우리나라가 신 행정수도 정책을 추진할 때 참고했던 푸트라자야에 대한 소개 등은 말레이시아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흥미로운 대목. 

 

종교로부터 시작된 절제된 생활 문화, 다민족을 품은 관용 정신 등이 깊게 뿌리 내린 사회 문화가 어떻게 자본주의의 물결 속에서도  통합, 안정, 신뢰의 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지 말레이시아가 그 해법의 단초를 제공하는 것 같다.

 

랑카위, 코타키나발루, 쿠알라룸푸르 등 주요 도시에 대한 소개도 되어 있어, 간략하지만, 여행객들에게도 도움이 될 듯.

 

저자의 의견대로, 동남아시아 국가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부족하고, 편견과 왜곡으로 점철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