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몸과 마음, 영혼까지 갉아대는 최악의 고통 속에서도 살아낸 빅터 프랭클 박사의 나찌 수용소 이야기다.  유태인이라는 이유가 바로 죽을 이유가 된 시대 상황, 모든 지위와 명예와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존엄성도 모두 폐기된 공간 속에서 그는 로고테라피의 산 증인이 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인간 정신의 황폐화, 좌절, 영혼의 추락은 환경의 변화나 그로 인한 숱한 상처 때문이라기보다는,  삶을 왜 살아야하는지 그 목표와 의미를 잃어버리면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기심을 채우고 욕망을 성취하는 목표로서의 꿈이 아니라, 인간을 초월한 대상으로부터 주어지는 꿈이 내면화될 때, 더 가혹하고 처절한 현실을 딛을 수 있다는 주장으로 이해했다. 눈앞의 현실이 막막하고, 디딜 땅도 없이 발 잃고 쫓기는 짐승처럼 방황할 지라도, 사는 이유를 체현할 수 있다면 그 어떤 곳에서도 흔들림 없이 곧은 자아를 지켜낼 수 있다는 확신. 살아냄으로써 자신의 이론을 정립하고 발전시킨 이의 육성이라서 더욱 가슴에 와 닿는다.  


   왜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그 어떤 상황도 견딜 수 있다는 니체의 선언이나, 내가 세상에서 한 가지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내 고통이 가치 없는 것이 되는 것이라는 도스토예프스키의 고백은, 빅터 프랭클 박사의 육성을 통과하면서 더욱 빛난다.  


   다이빙을 하다가 사고를 당해 목 아래가 모두 마비되었다는 제리 롱이 빅터 프랭클 박사에게 보낸 편지는 이 책이 도달하고 싶었던 목표를 가장 간명하게 보여준다.  ‘저는 제 삶이 의미와 목표가 충만한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운명의 날에 대한 나의 태도가 삶을 바라보는 내 자신의 신조가 되었습니다. 나는 내 목을 부러뜨렸지만, 내 목이 나를 무너뜨리지는 못했습니다. 저는 지금 대학에서 처음으로 심리학 과목을 듣고 있습니다. 나는 내 장애가 다른 사람들을 돕는 내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시련이 없었다면 내가 지금 도달한 인간적인 성숙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모든 인간이 죽어야 한다는  운명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그 운명의 여정을  진짜 깊이 있는 삶의 궤적으로 바꾸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의 선택과 책임에 따른다. 정신적 황폐화, 인간성의 상실, 정신과 영혼의 타락..이 모든 것을 단순히 환경 탓으로 사회 탓으로, 다른 사람들 탓으로만 돌릴 수 있을까. 그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에게서 선택의 자유를 뺏을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한 저자는, 결코 직면하고 싶지 않았던, 그래서 더욱 숨기고만 싶던 우리 자신 스스로의 책임은 없는지 신랄하게 묻는다. 선택의 자유의지를 인식하고, 책임감을 가질 때만이 주어지는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고, 또 건강하게 극복할 수 있다는 역설, 통렬하고 생생한 활자들이 그래서 더욱 고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