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콴유 - 작지만 강한 싱가포르 건설을 위해 살림지식총서 301
김성진 지음 / 살림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떠나기 전에 싱가포르에 대해 알아야겠다 싶었다. 작은 섬 나라가 어떻게 아시아의 용이 되었는지, 다민족 국가인데도 어떻게 잡음 없이 하나로 융합되었는지, 짧은 시간 안에 무에서 유를 창조한 싱가포르의 힘을 추적하다가 리콴유에 다다랐다.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쫓겨나고 인도네시아의 위협에도 굴하지 않은 리콴유의 리더십에 놀랐다. 리콴유는 포도밭을 지키려고 목숨을 내건 현대판 나봇 같다. 

 철저한 성과주의와 업적주의로 평정한 교육계, 노조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인민행동당 독주를
구축한 정치력,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측근은 물론 자신을 향한 독화살도 수용했던 철저한 원칙 주의, 외국인에게조차 동일하게 적용한 엄격한 법 정신. 고척동, 리센룽으로 이어지는 미래주도형 실용주의까지.


싱가포르 민주화를 위해 앞장선 프랜시스 서를 가학 고문하였다는 의심도 있다는 대목을 읽고
보니, 이제는 리콴유의 싱가포르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시도들을 만나보고 싶은 열정마저 생긴다. 
 

몇 가지 검색해 보니, 음악 대학이 없고, 자살률이 높아 거리에 자살 방지 로고를 곳곳에서 볼 수 있단다. 정치한 전략 수립에 실패해 명분을 잃고 결국은 무릎 꿇은 노조의 와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민주화 세력들...리콴유 가의 독주를 걱정하는 눈치도 있는 것 같다.

 

핸리 키신저는 '시대가 인물을 만드느냐 아니면 인물이 시대를 만드느냐 하는 오래된 논쟁에서 리콴유는 후자가 옳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며 극찬했다는데, 작은 섬나라 싱가포르에서 제대로 된  리더였다면, 생존을 위해서 리콴유처럼 나서지않을 수 없으리란 생각도 든다. 

 이제 그가 만든 시대가 어떻게 역사를 관통하고 또 다른 시대를 낳아가는지, 긴장하며 지켜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