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 명화에서 찾은 물리학의 발견 ㅣ 미술관에 간 지식인
서민아 지음 / 어바웃어북 / 2020년 2월
평점 :
'본다'는 것은 사실 '이해한다'를 포괄해야 '봄'의 진정한 목적으로 성취할 수 있을텐데, 돌아보면 '이해함'의 방식이 줄곧 편협하지 않았나 싶다. 기껏해야 시대로 분류하거나, 화가와 특징적 화풍을 단편적으로 연결하여 가까스로 꿰어맞추다보니, 그림을 '본다'는 것은 때로는 노동에 가까운 고역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물리학'의 프리즘을 통해 그림을 보는 방식을 하나 배우고 나니, 그림 보기가 여간 재미있는 게 아니다. 몇 가지 물리학 책을 읽은 기억도 되살아나 활자로만 읽었을 때는 이해되지 않던 개념이 명화 속에서 구현되니 그 뜻도 더 간명하게 정리된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누가 뭐래도 저자의 독특한 이력이지 않을까 싶다. 물리학 전공자이면서 화가이기도 한 저자의 전문성은 이 책의 가치를 더욱 두텁게 한다.
첫 장부터 흥미진진하다. 흑점의 감소와 기후변화의 상관성을 먼저 읽고 그로 인한 폭설, 혹한의 풍광이 담겨진 그림이 소개되니, 화가가 살던 시대로 걸어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다
파동과 인상파, 빛의 산란과 오키프, 퀀텀닷의 원리와 스테인드 글라스, 원자의 진동과 댄스의 역동성, 빛의 명암과 원근법, 프레넬 효과와 빛의 특성에 따른 모네의 연작, 망막의 인식과 착시 효과를 활용한 쇠라, 세포와 칸딘스키, 보색 효과와 고흐, 옵아트의 과학, 무질서와 잭슨 폴록, 상대성 이론과 달리, 메타 물질과 마그리트, 양자역학과 피카소, 테라헤르츠와 그림의 생애 등 각각의 챕터가 흥미롭다.
저자가 주장한대로 화가 역시 '보고 인식하는'는 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쫓는 과학자의 또 다른 이름일런지 모르겠다.
물리학자의 시각에서 명화와 화가의 삶을 재조명할 것이다. 물리학과 미술의 상호작용으로 잉태된 작품들을 살펴보고, 현대 과학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미술작품 분석 기법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려 한다. 마음을 열고, ‘물리학‘이라는 새로운 눈으로 다시금 그림을 감상한다면 그동안 느낀 것과 전혀 다른 새로운 감동을 느끌 수 있을 것이다. - P8
|